폭우 땐 지하차도 피해 가야…만약 진입한 상황이라면?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폭우 땐 지하차도 피해 가야…만약 진입한 상황이라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52회 작성일 23-07-17 07:43

본문

뉴스 기사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청주 오송 지하 차도에서 일어난 안타까운 사고로 비가 많이 올 때는 지하차도를 최대한 피해 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일반적인 지하차도의 경우, 바닥까지 깊이가 4.5미터나 돼서 빗물이 쏠리기 쉽고, 특히 밖에선 차도 안쪽 상황을 알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만약, 혹시라도 이미 진입한 뒤라면 반드시 창문을 열고 주행해야 합니다.

박예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행하는 차량 사이로 흙탕물이 빠르게 들어차고 물살에 차량도 제 속도를 내지 못합니다.

겨우 경사로를 벗어나자 도로 바닥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오송 지하차도 사고는 갑자기 둑이 무너지며 3분 만에 완전히 잠기면서 피해가 컸습니다.

일반적인 지하차도의 노면 구조입니다.

지하차도의 깊이가 최소 4.5미터나 돼 인근의 빗물이 쏠릴 수 밖에 없습니다.

또 시작과 끝 부분이 경사면으로 돼 있어 운전자들의 시야엔 물이 얼마나 찼는지 쉽게 가늠이 되지 않습니다.

[이송규/한국안전전문가협회 협회장 : 딱 들어가기 전까지는 타이어가 잠기지 않아요. 점점 들어갈 때 잠기거든요. 그만큼 저지대는 물이 전부 다 쌓이게끔 돼 있거든요. 1~2분 만에 차가 전체가 침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많은 비가 올 경우엔 유사시 탈출을 위해 창문을 열고 진입해야 합니다.

침수로 시동이 꺼지면 창문을 내릴 수 없고, 수압 차로 인해 문을 열 수 없기 때문입니다.

지하주차장과 같은 다른 지하시설도 마찬가지입니다.

차량 밖으로 나왔다면 최대한 빨리 비상구로 탈출해야 합니다.

이동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높은 곳에 올라가 시간을 벌어야 합니다.

[이송규/한국안전전문가협회 협회장 : 탈출해서 지붕 위에 있는 것도 상당히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차가 완전히 침수되지 않고 약간 뜰 수 있거든요.]

많은 비가 내릴 경우, 지하시설 등 저지대에는 몇 초 만에 수십 미터의 물이 찰 수 있는 만큼, 차간 거리 확보나 저속 운행 등 보다 적극적인 보호운전이 필요합니다.

영상취재 : 양지훈, 영상편집 : 오노영, CG : 서승현

박예린 기자 yeah@sbs.co.kr

인/기/기/사

◆ "그렇게 타면 안돼요" 직원 무시…휴가 일주일 후 숨졌다

◆ "매형과 차 지붕 올랐지만…" 여행가던 20대 마지막 말

◆ 밤되면 이혼 고민하는 아내…틱톡에 39만 게시글 공감

◆ 토사물 닦은 6호선 청년 만났다…후일담 전한 오세훈

◆ "자기들 한다던데 터졌네, 인재다" 작년 찍은 현장에 답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amp;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앵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505
어제
726
최대
2,563
전체
407,47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