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내렸다고? 어딜 봐서"…생필품값 고공행진에 한숨만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물가 내렸다고? 어딜 봐서"…생필품값 고공행진에 한숨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53회 작성일 23-06-08 18:38

본문

뉴스 기사
quot;물가 내렸다고? 어딜 봐서quot;…생필품값 고공행진에 한숨만


“담은 것도 몇 개 없는데 장 볼 때마다 20만원이에요.”

서울 송파구에 거주하는 50대 직장인 A씨는 대형마트에 갈 때마다 한숨만 나온다고 토로했다. ‘할인’, ‘세일’, ‘특가’ 등이 적힌 상품만 집어 드는데도 가격이 만만치 않아 부담스럽다는 것이다.

A씨는 “4인 가구라 유독 더 체감하는 것 같기도 하지만, 물가가 올라도 너무 올랐다”며 “조금이라도 아껴보려 생전 안 해본 산지직구, 공동구매, 구독서비스 등을 이용 중”이라고 설명했다.

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보다 3.3% 상승한 111.13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20년을 기준치100로 잡았을 때 지표인데 2021년 10월3.2% 이후 1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지표상으로는 분명 낮아졌지만,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곡소리’가 나온다. 전반적인 물가상승률이 둔화하고 있을 뿐, 먹거리와 전기료 등 체감하기 쉬운 품목들의 가격은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기 때문이다.

먹거리의 경우 ▲치즈21.9% ▲어묵19.7% ▲피자12.2% ▲빵11.5% ▲햄버거10.3% ▲김밥10.1% 등이 모두 전년 동월보다 올랐다. 가공식품과 외식 부문 세부 품목 112개 중 31개의 상승률이 10% 이상이었다.

서민 음식의 대표 격인 라면도 지난달 가격상승률13.1%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라면 물가가 오른 건 지난해 9월 이후 8개월 연속이다. 종전 최고 상승률은 2009년 2월14.3%이었다.

news-p.v1.20230608.55bc141a95824af39ebc4a1346c11e4d_P1.jpg


가정 내 지출 부담도 크지만, 인건비까지 고려해야 하는 식당가에서는 상승 폭이 더 크다.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올해 4월 서울 지역 삼계탕 한 그릇 가격은 1만6346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1만4500원보다 12.7% 급등한 수준이다.

점심 한 끼 가격도 부담스러운 수준에 이르자 직장인들 사이에서는 저가 한식뷔페, 저가 초밥집, 중저가 뷔페 등이 주목받는 분위기다. 데이터 조사·분석 기업 아하트렌드가 외식 프랜차이즈 3800개 브랜드를 조사한 결과, 올해 1~4월 뷔페, 무한리필, 샐러드바 형태의 외식 브랜드 검색량이 전년보다 102% 늘었다.

외식물가가 크게 오르면서 소비자들도 씀씀이가 인색해졌지만, 자영업자들도 어렵긴 매한가지다. 서울 강남에서 음식점을 운영하는 한 업주는 “재료비에 인건비, 가스비 등을 다 고려해야 해 정말 죽을 맛”이라고 호소했다.

외식·식품업계에서는 체감경기 불황이 한동안 지속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먹거리 가격은 하방 경직성이 커 한번 오르면 좀처럼 내려가지 않는 데다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데서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특정 요인이 가격 인상을 부추기는 것이 아니라 전방위적으로 모든 부분에서 추가비용이 발생하고 있다”며 “소비자로서도, 기업으로서도 탈출구가 보이지 않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871
어제
726
최대
2,563
전체
407,84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