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참전 메타버스 기기 또 한번 꿈틀…삼성·LGD도 공급 경쟁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애플 참전 메타버스 기기 또 한번 꿈틀…삼성·LGD도 공급 경쟁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0회 작성일 23-06-06 15:59

본문

뉴스 기사
본문이미지
빅테크대형기술기업 공룡 애플이 MR혼합현실기기를 공개하면서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도 분주하다. 메타버스3차원 가상세계기기를 현실감 있게 구현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가 필수적이다.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끌고 있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주목하는 파트너로 손꼽힌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이 5일현지시간 MR헤드셋인 비전 프로를 공개했다. 앞서 XR증강현실기기를 출시한 메타에 이어 애플까지 메타버스 기기 시장에 진입하면서 시장 개화 시기가 한층 앞당겨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메타버스 시장이 다시 한번 꿈틀대면서 기기에 탑재되는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도 덩달아 커질 수 밖에 없다. 디스플레이는 메타버스 기기의 핵심기술로, 기기 성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가상현실을 실감 나게 구현하기 위해서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가 필요하다. 화면 반응 속도가 느리거나 움직임이 매끄럽지 못한 경우 몰입감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심하면 어지러움증도 유발할 수 있다.

현존하는 디스플레이 중 가장 가상현실 구현에 뛰어나다고 평가받는 것은 마이크로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다. 실리콘 웨이퍼를 기판으로 사용해 올레도스OLEDoS·OLED on Silicon라고도 불린다.

디스플레이 기업들도 미래 먹거리로 마이크로 OLED를 점찍고 개발과 양산에 주력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전문 시장조사업체인 DSCC는 XR디스플레이 시장 규모가 지난해 9억4000만달러에서 올해 3배 가량인 25억 달러까지 커지고, 4년 후인 2027년엔 73억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 마이크로 OLED 시장 경쟁에서 가장 앞서 있는 것은 2016년 가장 먼저 기술을 개발한 일본의 소니다. 애플의 비전 프로도 소니의 마이크로OLED를 사용했다. LG디스플레이는 비전프로 외부에 사용된 OLED를 공급한 것으로 전해진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도 소니의 뒤를 바짝 뒤쫓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해 8월 마이크로 OLED 개발에 나선다고 공식 발표하고, 연말엔 해당 팀을 신설했다. 지난달 미국의 마이크로 OLED업체인 이매진을 2900억원에 인수하고, 또 4월 초엔 3년간 4조1000억원을 토입해 세계 최초로 8.6세대 IT정보기술용 OLED 생산시설을 새로 구축하기로 했다.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대표이사 사장은 "XR기기는 향후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XR 관련 사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마이크로 OLED 양산 시점을 2024년으로 계획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퀄컴, 구글과 협력해 올해 중 내놓을 XR기기에 삼성디스플레이의 마이크로 OLED가 탑재될 전망이다.

LG디스플레이 역시 마이크로 OLED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2021년 가상현실 기기용 마이크로 OLED를 공개했고, 지난달엔 좀 더 고휘도의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업계는 애플이 이번에는 소니를 협력사로 선택했지만 다음 세대의 MR기기 협력사론 LG디스플레이를 선택할 확률이 크다고 보고 있다. 소니가 플레이스테이션 VR2 등 메타버스 기기를 출시하는 만큼 애플이 경쟁관계가 없는 LG디스플레이를 선택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LG디스플레이의 계열사인 LG이노텍이 필름형 반도체 기판인 2메탈CoF칩온필름를 판매하는 것 또한 LG계열사와의 협력 가능성을 높다고 보는 이유 중 하나다. 해당 기판은 디스플레이와 메인 기판을 연결하는 반도체 패키징용 기판으로, 자유롭게 접거나 말 수 있는 세계 최소 두께로, XR기기에 최적화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 관계자는 소니와의 경쟁관계 등에 대한 질문에 "메타버스 기기 시장은 이제 막 개화 단계"라며 "고객사들이 다음 세대 기기를 양산할 시기에 맞춰 공급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 초기 단계인만큼 1세대 기기들을 통해 보완할 점을 연구하면, 다음 세대 때 오히려 유리한 위치를 가져갈 수 있다는 의미다.

[관련기사]
제니, 남성 사이서 춤 어땠길래…"끔찍" 외신 혹평
"다른 男과 갔던 호텔 영수증" 첫사랑 못 잊는 57세 독신남 사연
"3000만원 못 모은 30대女 걸러라" 직장인 글에 시끌
"꿈에서 로또 1등, 번호는 못 봐" 다른 복권으로 20억 대박
"쌀자루에 女시신" 18년 미제 연쇄살인 단서는 엽기 토끼
"이래서 이혼했네"…맞선 자리서 보이면 안 되는 남여 행동은
강남길 "혼자 아이 둘 키우며 요리 직접…독립시키니 다 귀찮아"
"안 잡혔다면…" 정유정, 혼자 사는 명문대생 찍은 이유 섬뜩
60세 변우민 "11살 늦둥이 딸에 아빠=39살 세뇌 중"
"난 럭키가이" 노홍철 美비자 만료→티켓팅 3분 남기고 반전
44세 엄마 채림, 20대 같은 동안 미모 눈길…"먹고 마시고 즐기자"
"中화장품에 밀렸다"…설화수에 열광했던 중국인들의 변심
"왜 울어" 3개월 영아 때리는 모습 홈캠에…산후도우미의 최후
철인3종 경기 한강 훈련 중 60대 사망…협회 "머리 숙여 사죄"
"7만원 과자, 외부인 장사"…지역축제 바가지 단골 해명, 진짜 문제는

한지연 기자 vividhan@mt.co.kr

ⓒ 머니투데이 amp;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81
어제
726
최대
2,563
전체
408,45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