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2년까지 72만ℓ 추가생산"···삼바, 압도적 1위 굳힌다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2032년까지 72만ℓ 추가생산"···삼바, 압도적 1위 굳힌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62회 작성일 23-06-06 17:31

본문

뉴스 기사
[바이오 USA];■ 제2 바이오캠퍼스 청사진 공개;7.5조 투입 18만ℓ 공장 4개 조성;5공장 가동 시기도 5개월 앞당겨

2032년까지 72만ℓ 추가생산···삼바, 압도적 1위 굳힌다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가 5일현지 시간 ‘2023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 USA’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송도 제2바이오캠퍼스 사업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삼성바이오로직스

[서울경제]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가 총 7조 5000억 원을 투자해 조성할 송도 제2바이오캠퍼스를 2032년까지 완전 가동하기로 했다. 18만 ℓ 규모인 5공장을 그대로 본떠 6·7·8공장도 각각 18만 ℓ로 만들고 공사 기간을 대폭 줄이는 등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초격차를 위한 속도전에 나서 경쟁사들을 완전히 따돌리겠다는 전략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5일현지 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2023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 USA’에서 제2바이오캠퍼스 조감도와 생산 규모, 완전 가동 목표 시점 등 마스터플랜을 공개하며 글로벌 CDMO 선수주 행보를 본격화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달 1일 단일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시설로는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4공장을 완전 가동한 데 이어 제2바이오캠퍼스의 시작인 5공장의 목표 가동 시기를 당초 2025년 9월에서 같은 해 4월로 5개월 앞당긴다는 방침을 세웠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날 5공장의 공기 단축과 함께 전체 제2바이오캠퍼스 규모도 확정 발표했다. 5·6·7·8공장 모두 18만 ℓ로 2032년까지 제2바이오캠퍼스에만 총 72만 ℓ 규모의 생산 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제1바이오캠퍼스까지 합치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총생산능력은 132만 4000ℓ에 달한다. 이는 세계 최대 규모로, 경쟁사와의 격차는 더 벌어진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제2바이오캠퍼스에 항체약물접합체ADC 전용 생산 시설도 내년 중 건설할 계획이다.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이날 현지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현재 9곳의 고객사와 12개 제품에 대한 생산 계약을 체결했고 29곳의 고객사와 44개의 제품에 대한 수주 계약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보스턴=이재명 기자 nowlight@sedaily.com

[서울경제 관련뉴스]
살인 후 경쾌한 발걸음 정유정, 유치장서 한 행동 더 소름
"퇴근 후 회스키회위스키 홈술 한 잔? 편의점서 다 해결"
‘주유소 흡연’ 벌금으로 막는다···과태료 얼마까지?
사교육비 26조..선행학습 광고 처벌법 만든다
극단 선택, 보험금 안 나오지만···대법원 인정한 예외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83
어제
726
최대
2,563
전체
408,45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