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은행, 주담대로 부업 중…중저신용대출 공급은 감소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인터넷은행, 주담대로 부업 중…중저신용대출 공급은 감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6회 작성일 23-10-15 10:30

본문

뉴스 기사
[이투데이/정상원 기자]

카카오뱅크 34% 달해…중저신용자대출 이자수익의 2.4배
최근 가계대출 급증의 원인으로 지적

카카오뱅크, 주담대 판매연합뉴스
카카오뱅크, 주담대 판매연합뉴스

인터넷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 이자수익 비중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은행의 본래 인가 취지가 중·저신용대출 공급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부실 우려는 작으면서도 손쉽게 이자수익을 올릴 수 있는 주담대 확대는 부적절한 영업 행태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15일 금융감독원이 서범수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카카오뱅크의 올해 상반기 총이자수익은 9593억 원으로, 이 중 33.8%인 3245억 원이 주담대 이자수익으로 집계됐다.

카카오뱅크의 총이자수익에서 주담대 이자수익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상반기 12.8%376억에서 하반기 13.8%423억 △2021년 상반기 16.7%576억, 하반기 19.3%850억 △2022년 상반기 24.4%1358억, 하반기 29.5%2173억에 이어 올해 상반기에는 34%에 육박했다.

반면,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이자수익 비중은 △2021년 상반기 7.9%272억에서 하반기 11.1%489억 △2022년 상반기 14.3%798억, 하반기 14.7%1081억까지 높아졌다가 올해 상반기 14.1%1354억로 하락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주담대 이자수익3245억은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이자수익1354억의 2.4배에 달하는 셈이다.

케이뱅크의 주담대 이자수익 비중도 늘고 있다. △2020년 하반기 1.8%7억에서 △2021년 상반기 6.3%55억, 하반기 6.8%102억 △202년 상반기 10%207억, 하반기 11%346억에 이어 올해 상반기 14.7%616억까지 상승했다.

토스뱅크의 경우 그동안 주담대를 취급하지 않아 이에 따른 이자수익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지난달 전·월세 보증금 대출을 출시한 데 이어 내년에는 주담대 상품을 출시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존 은행에 이어 인터넷은행마저 빠르게 주담대를 확대한 것이 최근 가계대출 급증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체 인터넷은행의 주담대 잔액은 △2020년 말 4조7000억 원 △2021년 말 10조3000억 원 △2022년 말 15조6000억 원 △2023년 9월 말 24조1000억 원으로 증가했다. 전년동기14조6000억 대비 65% 급증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8월 “인터넷은행은 신파일러금융거래 이력 부족자에게 자금을 공급한다는 정책적 목적이 있는데, 지금과 같은 주담대 쏠림이 제도와 합치되는지에 대해 비판적 시각이 있다”며 “이런 것도 점검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오기형 의원도 “금융당국이 금융대출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제대로 적용하고 가계부채 총량 축소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카카오뱅크는 “실수요자 위주의 주담대 공급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면서 “상반기에는 생애최초 주택구입 고객 등에게 최대 0.7%포인트p의 금리 할인을 제공, 금융 비용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투데이/정상원 기자 jsw@etoday.co.kr]

[관련기사]
주담대 ‘7%’ 넘었다…막차 탄 영끌족 고금리 ‘비명’
당국 제동에도 은행서 돈 끌어다 썼다…9월 주담대 2.8조↑
치솟는 주담대 금리…부동산 시장 거래 절벽 골 깊어진다
김주현 금융위원장 "정책 모순 아냐…가계부채 문제 원인은 은행 50년 만기 주담대"
신협, 뱅크몰과 주담대 업무 제휴…"고객에게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정보 제공"

[주요뉴스]
눈 앞에 벌레가 보인다?…‘비문증’ 주의 [e건강~쏙]

나만 몰랐던 최신 뉴스 영상 이투데이TV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231
어제
1,607
최대
2,563
전체
410,35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