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파업에도 K제약·바이오 1Q 호실적 예고…"공백 장기화 우려는 여전...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의료파업에도 K제약·바이오 1Q 호실적 예고…"공백 장기화 우려는 여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52회 작성일 24-04-21 14:02

본문

뉴스 기사
본문이미지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 1분기 매출 컨센서스. /사진=윤선정 디자인기자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1분기 호실적이 예고된다. 의정갈등의 골이 깊어졌지만 주력 제품의 해외 수익성 등 성과로 일단 1분기는 무난히 넘긴다는 전망이다. 다만 주요 기업의 실적 양상이 대부분 상저하고上低下高 곡선을 그릴 전망인 가운데, 의료공백 장기화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고금리 기조 지속 가능성으로 향후 실적에 타격이 있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2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대체로 성장할 전망이다. 컨센서스증권사 평균 전망치를 기준으로 보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1분기 매출은 918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시작한 인천 송도 4공장 6만ℓ리터 규모 부분 가동 등으로 매출이 개선될 것이란 예측이다.

셀트리온도 1분기 매출 성장세가 예상된다. 해당 분기 매출 컨센서스는 727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7%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셀트리온헬스케어와 합병 영향으로 영업이익은 90% 이상 감소한 61억원을 기록, 일시적 둔화가 예상됐다. 유한양행의 1분기 매출 컨센서스는 4668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5.4% 오를 전망이다. 김준영 메리츠증권 애널리스트는 "처방 매출 제품은 주로 고혈압·이상지질혈증·당뇨병 등 대사질환의 치료제로 전공의 파업 영향은 존재하지만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같은 기간 한미약품 매출 컨센서스는 전년 동기 대비 10% 오른 3981억원으로 예상됐다.


SK바이오팜의 1분기 매출 역시 106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5%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영업이익은 61억원으로 예상되며 흑자전환이 전망됐다. 동아에스티로부터 받은 미국 엑스코프리세노바메이트·뇌전증 치료제 한국 등 상업화 권리 이전 관련 계약금 50억원이 분기 흑전에 기여한단 분석이다.

다만 이 같은 호실적 전망에도 업계는 마냥 웃을 수만은 없는 분위기다. 기업의 주요 성과 대부분이 하반기에 몰려있는 상저하고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의정 갈등 장기화와 금리인하 지연 가능성 등 외부 악재가 겹친 탓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신약 개발사는 연초 글로벌 빅 이벤트인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의 파트너링 미팅을 통해 협상·검증 단계를 거친다"며 "파트너사도 연말까지는 실적을 내야 한단 입장이라 보통 1월에 딜을 시작하고 연말에 끝내는 형태라 실적이 상저하고 그림을 보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의료공백 사태가 더 길어질 경우 기업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단 반응이 나온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신약 임상 중 특정 부위 관련 부작용이 나와도 이를 봐줄 만한 의료진이 없다 보니 진행이 미뤄지는 경우도 있다"며 "국내 병원 환자 치료 숫자 자체가 줄어들면 약을 사용하는 횟수도 감소해 전통 제약사에게도 힘든 시기가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란-이스라엘 갈등에 따른 지정학적 불안감과 미 연준의 매파적통화긴축 선호 입장 선회도 우려되는 지점이다. 앞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최근 물가 안정에 예상보다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며 금리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이동건 SK증권 애널리스트는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 속 금리인하 기대감은 추가로 후퇴했다"며 "바이오텍의 경우 보텀업Bottom-up 관점에서의 모멘텀 공백 구간인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초록 공개 전까지는 주가 부담이 클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업계 관계자는 "바이오주가 가장 활황일 때 미국 금리가 제일 낮았을 때였고 작년 말부터 바이오주가 부활 조짐을 보였던 이유도 올해 금리인하 가능성 때문이었다"며 "고금리 기조가 생각보다 길어지면 주가 흐름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푸바오, 푸바오" 강 사육사가 부르자 푸바오가 중국서 한 행동
"침대에선 아기처럼" 전진♥류이서, 김지민이 경악한 스킨십
"저 둘이 잔 거 같아" 직원들 불륜 헛소문 낸 30대 점장의 최후
"무 사왔으니 김치 만들어줘" 설렁탕집 찾아온 진상 손님
"군의관 복구 38개월 너무 길다" 복귀 조건 내세운 전공의들
이혼 서유리 "너무 후련하고 좋다, 난 자유"
명절에 친할머니 찾아가 살해한 남매…보완 수사로 자백 받아낸 검찰
금·관·구도 올랐다…계속 오르는 서울 아파트 전세
"4억벌면 세금1억" 개미런 부르는 금투세, 서학개미는 더 뗀다
용준형♥ 현아, 다리 길이가…늘씬 각선미 과시하며 타투 공개
논란의 금투세, 해외로 떠나고 주식도 옮기고…엑소더스 K증시
"초6 아들 가방에 전자담배…장난감이라는데 맞나요?" 엄마 고민
의대 정원 5058→4000명대?…오락가락에 수험생·대학가 혼란
"80층?..20층부터 고비"…123층, 2917개 계단 올라보니[르포]
눈물의여왕 김지원, 기억상실에 수술 거부…김수현 "제발 살자"

홍효진 기자 hyost@mt.co.kr

ⓒ 머니투데이 amp;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38
어제
726
최대
2,563
전체
408,51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