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가치, 전쟁 중인 러시아 루블보다 많이 떨어졌다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원화 가치, 전쟁 중인 러시아 루블보다 많이 떨어졌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9회 작성일 24-04-13 09:31

본문

뉴스 기사
서울의 한 은행 지점에서 직원이 달러화를 정리하고 있다./연합뉴스

서울의 한 은행 지점에서 직원이 달러화를 정리하고 있다./연합뉴스

미국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줄어들며 달러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이달 들어 대한민국 원화의 가치가 세계 주요국 가운데 가장 많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전날 오후 3시 55분 기준 달러 대비 주요 31개국 통화 가치의 변화를 의미하는 ‘스팟 수익률’ 비교에서 원화 가치는 지난달 29일 대비 2.04% 떨어져 하락 폭이 가장 컸다. 전쟁 중인 러시아 루블-1.69%, 이스라엘 셰켈-1.54%이나 화폐가치 변동성이 높은 브라질 헤알-1.54%보다 하락 폭이 크다. 일본 엔화는 같은 기간 1.26% 떨어졌다.

전날 서울 외환시장에서도 원·달러 환율은 전날 대비 11.3원 오른 1375.4원을 기록하며 17개월 만에 최고치로 장을 마쳤다. 지난해 말 종가1288.0원 대비 6.78%, 지난달 말 종가1347.2원에 비해서도 2.09% 올랐다. 원·달러 환율이 1375원 선을 넘긴 것은 외환위기 때인 1997~199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인 2008~2009년, 미국의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이 나타났던 2022년 정도를 제외하곤 없다.


원화 약세의 가장 큰 원인으로 미국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달러화 강세가 꼽힌다. 최근 발표된 3월 비농업 일자리 고용지수나 소비자물가지수CPI 등의 경제 지표가 시장 전망치를 웃돌면서 금융투자업계에선 미국 금리 인하 시점이 당초 예상했던 6월보다 늦춰질 것이란 전망이 확산하고 있다. 유로·엔 등 6개 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날 105.6을 기록, 작년 11월 이후 5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중국 위안화와 일본 엔화가 특히 절하 압력을 받으면서 이들과 유사한 흐름을 보이는 원화도 동반 약세라는 분석도 나온다.

환율 상승은 수입 물가가 높아지고 달러화 표시 부채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어 관련 기업이나 국가 재정에 부담이 될 수 있다.



[ 조선닷컴 바로가기]
[ 조선일보 구독신청하기]

정순우 기자 snoopy@chosun.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356
어제
726
최대
2,563
전체
408,32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