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보, 이젠 우리도 살까?"…서울 아파트거래 31개월만에 月4천건 회복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여보, 이젠 우리도 살까?"…서울 아파트거래 31개월만에 月4천건 회복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2회 작성일 24-04-25 22:49

본문

뉴스 기사
공급부족 우려 확산하며
재건축용 노후아파트보다
신축 위주로 선점 움직임
서울아파트값 5주째 상승

여전히 매물 쌓이는데다
금리인하 지연은 걸림돌


quot;여보, 이젠 우리도 살까?quot;…서울 아파트거래 31개월만에 月4천건 회복

서울 아파트 월간 매매거래량이 지난달 4000건 돌파를 앞두고 있다. 서울에서 한 달간 4000건 이상 손바뀜된 것은 2년 7개월 만이다. 윤석열 정부 들어선 처음이다. 전문가들은 서울에서 공급부족에 대한 우려 심리가 확산하면서 신축급 아파트를 서둘러 매수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한 것이라고 진단한다.


25일 서울시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3월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3964건25일 기준을 기록했다. 아직 계약 신고기간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이 일주일 남은 점을 고려하면 4000건 돌파는 무난할 것으로 예측된다. 서울시는 국토교통부실거래가시스템을 통해 매일 아파트 매매 수치를 업데이트하는데, 하루 전인 24일 기준 3월 거래량이 3900건이었다.

서울 아파트가 한 달간 4000건 이상 매매된 것은 지난 2021년 8월4065건 이후 2년 7개월 만이다. 직전 달인 2월2511건과 비교해도 한 달 만에 1453건 이상58% 거래가 늘어났다.

3월 거래량 증가는 특별한 정책대출 없이 이뤄졌다는 점에서 의미부여할 만하다. 정부가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을 위해 특례보금자리론을 한시적으로 시행했던 기간지난해 2월~올해 1월에도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월 4000건에 못 미쳤다. 올해도 신생아 출산가구 대상 특례대출이 있지만, 대상 가구2023년 이후 출산 가구가 제한적이라 거래량 증대 효과는 미미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특히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스트레스DSR 도입 등 속에서 달성한 수치라 주목된다”고 말했다.

news-g.v1.20240425.7e5d3f5b1af7433d82ca5f4643964b9a_P2.jpg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많이 증가한 원인으로 공급부족이 꼽힌다. 고금리 기조에 공사비 급등 등 악재가 겹치며 지난해부터 신규주택 공급 실적이 급감하고 신축 아파트 부족 문제가 대두되면서 실수요자들 위주로 신축급 아파트를 선점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권영선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 팀장은 “전셋값이 계속 오르는 등 신축 물량 부족 우려가 커지면서 실수요자 매수세가 붙었다”고 말했다.

실제 3월 거래가 활발한 곳들 대부분이 신축급 단지들이다. 중저가 아파트가 밀집해있는 노원구에선 월계동 ‘월계센트럴아이파크2020년 준공·859가구’와 ‘노원센트럴푸르지오2021년 준공·810가구’이 3월 한 달간 12건과 11건씩 거래되며 노원구에서 가장 활발했다. 중계동 ‘중계주공2단지1800가구·9건’, 상계동 ‘상계주공5단지840가구·2건’ 등 재건축 추진단지와 대비됐다.

지난달 가장 많은 손바뀜된 송파구288건의 경우 국내 최대 단지인 ‘헬리오시티9510가구’에서만 39건 매매가 이뤄졌다. 송파구 대장주인 잠실동 ‘엘리트엘스·리센츠·트리지움’에서도 거래가 끊이질 않았다. 엘스와 리센츠는 각각 14건씩, 트리지움은 16건 거래됐다. 신천동 ‘파크리오’도 지난달 20건으로 헬리오시티에 이어 송파구에서 두 번째로 많이 거래됐다. 송파구와 노원구281건에 이어 강서구226건, 강동구211건, 성북구204건, 마포구195건 순으로 손바뀜이 많았다.

서울 아파트 시장은 거래가 활발해지며 가격도 오름세다. 이날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4월 넷째 주22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5주 연속 올랐다. 반면 인천은 다시 보합으로 내려앉았고, 경기도는 2주째 하락했다.

다만 거래량 증가와 가격 상승이 앞으로도 이어질지는 전문가 의견도 엇갈리고 있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금리인하 시그널이 나오지 않는 한 완만한 회복세나 보합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권 팀장도 “ 대세 상승기에 접어들기보다는, 가격과 거래량이 더 떨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현재의 공급부족 우려가 하반기에 더욱 부각돼 가격 상승세가 강할 것이란 의견도 냈다. 두성규 목민경제정책연구소 대표는 “공사비 급등에 따른 공급부족 이슈는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이라며 “금리 인하 여부와 관계없이 서울 아파트 가격, 특히 신축은 오름세를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1억 번다길래 시작했는데” 1년도 안돼 절반 그만뒀다…실제 연봉 평균 4천만원 미만

“TSMC 깜짝발표에 삼성전자 초긴장”…삼성에 없는 1.6나노칩 하반기 생산

“꿈의 열차가 왜 이래?”…직장인들 외면, 개통 한달째 썰렁한 GTX-A

김흥국 “국힘서 고맙다는 전화 한통 없어, 한동훈과 소주 한잔 하고 싶다”

“정부, 의대생 털끝이라도 건드리면 파국”…의협 차기 회장, 한양대 의대생 수사에 강경대응 예고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99
어제
726
최대
2,563
전체
408,47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