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최태원·정의선 만난 UAE대통령 "한국에 애착 많다"종합 > 경제기사 | natenews rank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경제기사 | natenews rank

이재용·최태원·정의선 만난 UAE대통령 "한국에 애착 많다"종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4-05-28 17:32 조회 7 댓글 0

본문

뉴스 기사
무함마드 UAE대통령-韓 재계총수들, 협력방안 논의…최태원 "좋은 말씀 나눴다"
정기선 "한국 좋아하고 앞으로 많이 같이하자고 해"
방시혁·김택진 등도 참석…K-컬처 등 신산업 UAE 진출 가능성도

서울=연합뉴스 성혜미 장하나 이승연 기자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비롯한 재계 총수들이 28일 1박 2일 일정으로 국빈 방한한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과 만났다.

재계는 이번 회동을 계기로 탄소중립 스마트시티인 마스다르 시티 등에서의 협력과 원자력발전소 등의 추가 수주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재용·최태원·정의선 만난 UAE대통령 quot;한국에 애착 많다quot;종합

◇ 기업별로 UAE 파트너십 소개…최태원 "좋은 말씀 나눴다"

이날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간담회에는 이 회장을 비롯해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정기선 HD현대 부회장, 허태수 GS그룹 회장, 이재현 CJ그룹 회장,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 이규호 코오롱 부회장, 구본상 LIG 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번 간담회는 무함마드 대통령이 요청해 성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의선 회장이 이날 오전 일찌감치 롯데호텔을 찾은 데 이어 대부분의 참석자는 오후 1시 전후로 속속 롯데호텔에 도착해 보안 검색을 거친 뒤 별도 수행원 없이 면담장으로 향했다.

간담회는 2개 세션으로 나뉘어 총 1시간가량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먼저 UAE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대기업들이 기업별로 UAE와의 추가 협력 방안 등에 대해 설명했고, 이어 하이브와 무신사 등이 기업별로 소개하며 인사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 총수들은 이 자리에서 각 그룹의 주력 사업을 중심으로 첨단기술과 국방·방산,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향후 수주 기회를 모색한 것으로 알려졌다.

PYH2024052811530001300_P2.jpg

간담회에 앞서 취재진에게 UAE와의 파트너십과 협력 방안에 대해 얘기하겠다고 한 최 회장은 행사 직후 "좋은 말씀을 많이 나눴다"고 밝혔다.

정기선 부회장은 취재진과 만나 "한국을 굉장히 좋아하고 앞으로 많이 같이 하자는 말씀을 많이 했다"며 "분위기도 굉장히 좋았고 한국에 애착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말씀을 많이 했다"고 전했다.

PYH2024052812140001300_P2.jpg

◇ "중동은 미래 먹거리 보고"…원전·방산 등 추가 수주 기회 잡을까

중동은 최근 산업 대전환을 추진하면서 석유화학, 신재생, 도로교통 등 다양한 부문의 인프라 투자를 진행 중이다.

특히 UAE는 탄소·쓰레기·자동차가 없는 도시를 목표로 마스다르 시티를 개발하고 있고, 아즈반 태양광 사업 등 대형 프로젝트도 추진 중이다.

로이터통신은 지난달 UAE가 2032년 가동을 목표로 수개월 안에 두번째 원전단지 건설을 위한 입찰에 나설 것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삼성은 삼성물산이 UAE 바라카 원전 건설에 참여하는 등 건설·엔지니어링 분야를 중심으로 파트너십을 유지하고 있다.

그간 "중동은 미래 먹거리와 혁신 기술 발휘 기회로 가득 찬 보고寶庫"라고 밝혀 온 이재용 회장은 2019년 UAE 출장에서 당시 왕세제였던 무함마드 대통령을 만난 이후 꾸준히 친분 관계를 유지해 왔다. 무함마드 대통령은 같은 해 방한해 이 회장의 안내로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반도체 생산라인을 견학했으며, 5G 이동통신, 반도체, 인공지능AI 등의 협력 강화 방안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장은 2022년 회장 취임 후 첫 해외 출장지로 UAE 바라카 원전 건설 현장을 택하기도 했다.

PYH2023011618100001300_P2.jpg

SK그룹은 작년 1월 UAE 국부펀드 무바달라와 자발적 탄소시장VCM 아시아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맺은 바 있다. 당시 최 회장이 직접 MOU 체결식에 참석해 서명했다. SK에코플랜트는 UAE에서 그린수소와 그린암모니아 사업 개발을 추진 중이다.

PYH2023011619000001300_P2.jpg

정의선 회장도 중동 시장에 공을 들이고 있다. 현대차는 작년 12월 UAE 국부펀드와 MOU를 맺고 수소와 그린알루미늄, 친환경 모빌리티, 미래 항공 모빌리티AAM 부문에서의 사업 협력 등을 추진하기로 한 바 있다.

한화의 방산계열사 한화시스템은 2022년 1월 UAE와 11억달러약 1조3천억원 규모의 중거리지대공 유도무기체계M-SAM 천궁-II 다기능레이다MFR 수출 계약을 맺었다.

HD현대는 조선·해양 플랜트 수주 외에도 석유제품, 전력기기, 건설장비, 태양광 모듈 등을 UAE 시장에 판매하고 있다. 정 부회장은 면담 전 "일반 상선, 함정을 포함한 조선 분야나 건설기계 분야,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서 더 많이 협력할 수 있는 방법을 계속 찾고 있다"며 "저희 장점을 잘 설명드리고 오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GS그룹은 UAE 국영석유회사ADNOC와 원유 개발 사업, 블루암모니아 개발 프로젝트를 함께하며 협력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UAE는 GS칼텍스의 주요 원유 공급처이기도 하다.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의 UAE 국빈 방문을 계기로 양국의 협력 분야가 에너지, 방산뿐 아니라 수소, 바이오, 스마트팜, 디지털 전환, 메타버스 등으로 다변화된 만큼 이 자리에서도 미래 산업 분야에서의 추가 협력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이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무함마드 대통령은 오는 29일 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국빈 오찬을 할 예정이다. 국빈 오찬에는 이재용 회장과 최태원 회장, 정의선 회장, 김동관 부회장, 허태수 회장 등도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에서는 UAE의 300억달러 투자 약속에 대한 후속 조치 등이 나올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다.

UAE는 지난해 1월 윤 대통령의 국빈 방문 당시 300억달러 규모의 투자 약속을 한 바 있다. 양측은 총 48건의 MOU를 맺기도 했다.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오전 열린 한·UAE 비즈니스 투자포럼 축사에서 "한국과 UAE의 교역 규모는 수교 당시인 지난 1980년 2억달러에 미치지 못했으나,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발전한 지금 208억달러로 100배 이상 증가했다"며 "이는 양국 기업인들이 이뤄낸 성과"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PYH2024052810210001300_P2.jpg

◇ 방시혁·김택진 등도 면담…자금 투자 토대로 협력 발전 기대

이날 재계 총수들과의 면담 이후 방시혁 하이브 의장과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조만호 무신사 총괄대표, 송치형 두나무 회장 등 각 산업계 대표 기업인과의 면담도 따로 진행돼 눈길을 끌었다.

업계에서는 막대한 국부 펀드를 등에 업은 UAE의 자금 투자를 토대로 K팝, 패션 등의 영역에서 협력 관계가 구체적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K-패션 브랜드의 중동 지역 진출 가능성도 언급된다.

업계 관계자는 "석유 이외의 영역에서 신사업을 넓히길 원하는 UAE는 음악과 드라마, 영화 등 콘텐츠 기반의 엔터테인먼트에 패션까지 더한 K-컬처를 아부다비에 이식하기를 원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hanajjang@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저수지 옆 굿판에서 무슨 일이…무속인 익사 미스터리
"정상이냐, 병원 가봐야"…대법 "무례하지만 모욕죄는 아냐"
김호중 사고 전 스크린골프 모임에 정찬우도…"이후 동행 안 해"
122m 협곡 아래 추락했지만… 美 10대 청소년 기적적 생존
"성폭행당했다" 무고 혐의 20대, 녹음 파일 증거에 실형
천도재 지내다 저수지 빠진 무속인 구하려던 남녀 2명 숨져
순천 향림사 인근 대밭서 100년 된 차밭 발견
생후 15개월 아이 때려 사망…검찰, 친모·공범 각 30년 구형
부산 돌려차기 가해자 동료 수감자 "보복하려 탈옥 계획 세워"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