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6,500배 더 학습"…네이버 AI, 챗GPT에 도전장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한국어 6,500배 더 학습"…네이버 AI, 챗GPT에 도전장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54회 작성일 23-08-25 07:43

본문

뉴스 기사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챗GPT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네이버가 자체 개발해 처음 공개했습니다. 한국인을 가장 잘 이해하는 인공지능이라고 네이버는 설명했는데요. 구글이나 메타 같은 글로벌 기업이 주도하고 있는 이 분야에서 얼마나 호응을 받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정준호 기자입니다.

<기자>

전기차 시장 규모와 동향을 찾아달라는 문장에 인공지능이 관련 문서를 찾고, 보고서도 대신 만들어 줍니다.

그래프를 그려달라고 하면 알아서 그려줍니다.

이미지를 편집하고 어울리는 문구를 넣는 것도 대화만으로 가능합니다.

네이버가 공개한 생성형 인공지능 하이퍼클로바X의 서비스들입니다.

미국의 챗GPT보다 한국어를 6천500배 더 학습했습니다.

[성낙호/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기술총괄 : 한국 문화와 맥락을 가장 잘 이해하고 있는 언어 모델인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클로바X는 네이버의 한국인을 가장 잘 이해하는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입니다.]

기존 챗GPT는 한국어 데이터가 부족해 다소 엉뚱한 대답을 내놓거나 문장 구성에도 취약점을 보였습니다.

클로바X는 번역 코딩 문서 작업을 돕고, 인공지능 검색 서비스 큐는 한국어 질문의 의도를 파악해 응답의 정확도를 높입니다.

[김용범/네이버 서치 US AI 기술총괄 : 쇼핑 목적의 질문은 구매까지 연결해주고 장소를 검색하는 질문은 장소 정보에 추가로 예약까지 해주는 것처럼….]

챗GPT에 이어 구글의 바드와 메타의 심리스까지.

이미 해외 인공지능들은 대화와 검색을 넘어 프로그램을 코딩하고, 100가지 언어를 번역할 수도 있습니다.

국내 기업들은 한국어 특화 모델로 뒤늦게 추격에 나선 셈입니다.

KT는 인공지능 믿음을, LG는 엑사원을 공개했고, 카카오도 오는 10월 코GPT 2.0을 선보입니다.

국내 인공지능들이 내수용에 그치지 않도록 주요 언어에 대응하는 원천 기술력을 확보하고 추가 서비스를 통한 AI 상용화에도 속도를 내야 합니다.

영상취재 : 이상학, 영상편집 : 이승열

정준호 기자 junhoj@sbs.co.kr

인/기/기/사

◆ 여성 뒤 갑자기 빨리 걷던 남성…덮치고 끌면서 풀숲으로

◆ "사장님네도 먹을 텐데…기름때가" 바가지 뜨고 화들짝

◆ 뒤쫓아가 찌르고 또 찌르고…잔혹함 잡아낸 살점 하나

◆ "폭탄 터지는 줄…4년 전 똑같다" 송도 홈플러스 무슨일

◆ "오늘은 전갱이 좀…" 매일 새벽 4시 30분 공포의 시간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amp;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앵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339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09,85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