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올해 韓성장 전망 1.6→1.5% 하향…내년 성장률도 0.2%p↓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OECD, 올해 韓성장 전망 1.6→1.5% 하향…내년 성장률도 0.2%p↓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2회 작성일 23-06-07 16:00

본문

뉴스 기사
세계 성장률 2.6→2.7% 상향…올해 韓 물가상승률 3.4%로 내려
내년 하반기까지 현 금리수준 유지 전망…재정건전성 제고 권고

PYH2023060111530005100_P2.jpg

세종=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올렸으나, 한국 경제 성장률을 종전 1.6%에서 1.5%로 하향 조정했다.

내년 성장률도 기존 2.3%보다 0.2%포인트p 내린 2.1%로 예상하는 등 이전 전망보다 한국 경제의 회복 속도가 느릴 것으로 봤다.

7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OECD는 이런 내용의 경제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GYH2023060700180004400_P2.jpg[그래픽] OECD 경제 전망
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 프랑스 파리에 본부가 있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7일현지시간 2023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지난해 3.3%에서 0.6%포인트p 내려간 2.7%로 제시하면서 2024년에는 2.9%로 소폭 반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circlemin@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 올해 한국 성장률 1.5%로 내려…내년 2.3→2.1% 하향

OECD는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5%로 제시했다. 지난 3월 중간 경제전망에서 제시한 1.6%에서 0.1%포인트 내린 수치다.

OECD는 2023년 한국 성장률을 2021년 12월에 2.7%로 제시한 이후 작년 6월 2.5%, 9월 2.2%, 11월 1.8%, 올해 3월 1.6% 등으로 계속 하향 조정해왔다.

OECD는 이번 전망에서 세계 경제 성장률을 2.6%에서 2.7%로 0.1%포인트 올려잡았다.

OECD가 이번에 제시한 한국 전망치는 정부1.6% 등보다는 낮고 한국은행1.4% 등보다는 높다. 국제통화기금IMF·1.5%, 한국개발연구원KDI·1.5% 등과는 같다.

OECD는 방역 조치 해제 등에 대면 서비스 중심으로 민간 소비가 회복되고 있으나, 고금리 등으로 민간 투자가 다소 부진하다고 현 경제 상황을 진단했다.

아울러 중국 등 글로벌 수요 둔화에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도 감소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고금리와 주택시장 부진이 민간소비와 투자에 단기 부담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중국 경기 회복에 따른 수출 반등이 이를 상쇄하는 등 내년에 수요 기반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OECD는 내년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올해1.5%보다 높은 2.1%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 3월에 제시한 수치2.3%보다 0.2%포인트 낮다. 내년 경제의 성장 폭이 이전 전망보다 작아진 셈이다.

OECD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IMF2.4%와 한국은행2.3%, KDI2.3% 등보다 낮다.


PYH2023060607450001300_P2.jpg

◇ 올해 물가 3.4%↑…"현 정책금리 수준, 내년 하반기까지 이어질 것"

OECD는 올해 한국의 물가 상승률을 3.4%로 예상했다. 이전 전망치3.6%보다는 0.2%포인트 낮아졌다.

OECD는 공공요금과 서비스 가격의 조정이 아직 이뤄지지 않으면서 향후 물가 상승세가 완만하게 지속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내년 하반기에 물가 상승률이 목표치인 2%에 도달할 것으로 보면서 그때까지 중앙은행의 정책금리가 현 수준3.5%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물가 상승률은 전망치는 2.4%에서 2.6%로 상향 조정했다.

◇ "유류세 인하보다 취약계층 직접 지원…재정건전성 제고해야"

OECD는 유류세 인하 조치와 관련해 취약계층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이 더 낫다고 권고했다.

정부는 당초 지난 4월 말에 종료될 예정이었던 유류세 한시 인하 조치를 서민 경제의 부담 완화 등을 이유로 오는 8월 31일까지 연장한 바 있다.

급격한 인구 고령화에 대비해 재정건전성 제고 추진도 권고했다. 재정준칙, 연금 개혁 등이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OECD는 규제 완화로 대기업·중소기업 간 생산성 격차와 노동시장 이중 구조를 완화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육아휴직 지원 확대와 방과 후 돌봄 개선 등 일·가정 양립에 초점을 맞춘 정책 노력, 효율적인 온실가스 감축 등도 권고했다.

encounter24@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정유정 사이코패스 지수 28점대, 연쇄살인범 강호순보다 높아
"이번 학기 헛수고"…티웨이 대학생 홍보포스터 논란속 철거
혼합마약 투약·대마흡연 벽산그룹 3세 징역형 집유
검찰 성관계 불법촬영 골프장 회장 아들 추가 기소
"04년생 술마셔도 되나요?"…만 나이 통일 아직은 아리송
쥐머리? 오리목?…중국 대학 구내식당 이물질 해명 의혹·논란
필리핀 경찰에 피살 한인사업가 부인 "정부가 실체 밝혀달라"
대구 북구 하수도관에 백골 시신…관로 점검 중 발견
멀쩡한 우수관 덮개 팔아 돈챙겼나…팔공산 관리사무소 시끌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64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10,07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