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K이노엔 케이캡, 중동·북아프리카 진출 계약 체결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HK이노엔 케이캡, 중동·북아프리카 진출 계약 체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55회 작성일 24-04-23 11:32

본문

뉴스 기사

HK이노엔의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이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까지 영역을 넓힌다.


HK이노엔 케이캡, 중동·북아프리카 진출 계약 체결

HK이노엔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사진제공=HK이노엔]

HK이노엔은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현지 제약사인 타부크 제약과 중동·북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의 완제품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타부크 제약은 케이캡에 대한 독점 유통 및 판매 권리를 갖게 된다.


케이캡은 HK이노엔이 국산 30호 신약으로 개발한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억제제P-CAB 계열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다. 2019년 출시 이후 국내에서 누적 5536억원의 원외처방 실적을 기록하며 시장 점유율 1위로 올라섰다. 복용 후 30분 이내에 빠르게 약효가 나타나고, 6개월까지 장기 복용 시에도 유효성 및 안전성을 확보했다.


이 같은 실적을 토대로 해외로도 빠르게 진출하고 있다. 이번 계약을 포함해 총 45개국에 기술 또는 완제품 수출 계약이 체결됐다. 이 중 중국, 필리핀, 멕시코, 페루 등 7개국에는 현지 출시까지 이뤄졌다. 미국, 캐나다, 브라질 등 3개국에서는 기술이전을 통한 현지 개발도 진행 중이다.


타부크 제약은 사우디아라비아를 중심으로 중동·북아프리카MENA 17개국에 탄탄한 영업력을 갖춘 선두 제약사로 꼽힌다. 앞으로 활발한 영업 활동을 통해 케이캡의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높일 것이란 기대다. MENA 지역은 국민소득이 높은 국가를 중심으로 의약품 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있어 향후 성장 가능성이 큰 시장으로 꼽힌다.


곽달원 HK이노엔 대표는 “이번 MENA 지역 진출을 통해 케이캡은 파머징 마켓인 동남아시아, 중남미, 중동·북아프리카 시장에 모두 깃발을 꽂았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스마일 셰하다 타부크 제약 최고경영자CEO도 “HK이노엔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사우디아라비아를 포함한 MENA 지역 국가 국민들에게 우수한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옵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관련기사]
"축의금 10만원 냈는데 갈비탕 주다니"…하객 불만에 갑론을박
"초등 남학생이 여학생들 성추행" 아파트 공지문 파장
부모 연봉, 아파트, 해외여행까지…끝없는 비교에 우울한 아이들
"죄송해요, 점심엔 김 고명 뺄게요"…김플레이션에 떠는 자영업자
"무한리필집에서 비싼 우설만 50인분" 日 진상 논란 시끌

2024년 사주·운세·토정비결 확인!
지출 많은 가정의 달, 통장 잔고를 지킬 방법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664
어제
928
최대
2,563
전체
416,95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