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게 말라죽는 전염병 올해 첫 확인…금사과 더 오르나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검게 말라죽는 전염병 올해 첫 확인…금사과 더 오르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2회 작성일 24-05-14 21:14

본문

뉴스 기사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사과나 배나무가 말라 죽는 전염병이 올해 처음으로 충북과 충남에서 확인됐습니다. 몇 년 전에도 이 감염병이 퍼지면서 역대 최대 피해가 발생했는데 안 그래도 비싼 과일값이 더 치솟는 건 아닌지 걱정입니다.

김형래 기자입니다.

<기자>

사과나무 가지와 잎이 불에 탄 것처럼 검붉게 말랐고, 배나무 가지는 새카맣게 시들었습니다.


어제13일 충북 충주의 사과 과수원과 충남 천안의 배 과수원에서 올해 첫 과수화상병이 확인됐습니다.

과수화상병은 과일나무의 가지와 잎, 꽃 등이 화상을 입은 것처럼 검게 말라 죽는 전염병인데, 아직 별다른 치료제가 없습니다.

일단 발병하면 주변 나무까지 전부 매몰 처분하는 게 유일한 대책이라 과수구제역으로도 불립니다.

[사과 재배 농민 : 가지 끝에서부터 널브러지기 시작하면서, 쭉 내려오면서 다 시커멓게 돼 버리는 거예요. 해결책도 이건 없는 거야 뭐.]

기후 변화로 인한 겨울철 이상 고온은 과수화상병 확산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지목됩니다.

[오창식/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수 : 겨울철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면 세균이 죽는 숫자가 적어서 좀 더 많은 세균이 겨울을 나면서 살아남아서 봄에 증식하는 세균 숫자가 훨씬 많은 거죠.]

실제로 평균 기온이 1973년 이후 가장 높았던 지난 2019년 겨울, 이듬해 축구장 563개 면적에 해당하는 과수원 394ha가 이 병에 감염돼 손실보상금만 728억 원에 달하는 역대 최대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그런데 올해도 병원균 확산에 유리한 환경이 만들어졌다는 점은 우려되는 대목입니다.

[권철희/농촌진흥청 농촌지원국장 : 평년보다 기온은 2℃ 높고 강수량은 91.5mm가 많아 과수화상병이 많이 발생했던 2020년과 유사한 기상조건으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지난해 냉해 피해로 사과 생산량이 줄어 올해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여기에 과수화상병까지 겹칠 경우 과일값 고공행진이 이어질 수 있어 정부는 위기 경보를 격상하고 대응에 나섰습니다.

영상취재 : 최호준, 영상편집 : 남 일, VJ : 박현우

김형래 기자 mrae@sbs.co.kr

인/기/기/사

◆ 벨트 못 풀고 "살려달라"…"누전에 의식불명" 전기차 논란

◆ 김호중 옷 입고 교통사고 자수…매니저와 운전자 바꿔치기?

◆ "사진에 우리 애 없다" 부모 분노…협박편지에 교사 기겁

◆ 편의점 바로 옆 편의점?…"왜 허가 내줬나" 기존 점주 분통

◆ 판돈 빌렸다 폭행·사채…"네 아들 돈 갚아" 어른까지 협박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자> 앵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804
어제
928
최대
2,563
전체
417,09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