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3040세대, 이대로 가다간 30년 뒤엔…" 무서운 경고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한국 3040세대, 이대로 가다간 30년 뒤엔…" 무서운 경고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66회 작성일 24-04-09 18:10

본문

뉴스 기사
120세 시대가 온다
10 인구학자가 본 2050 대한민국

"30년뒤 디지털 익숙한 액티브 에이징 등장…실버산업 꽃핀다"

인구학 대가 조영태 서울대 교수
디지털 기기 능숙한 베이비붐 세대
80대엔 지능형 로봇도 충분히 활용

30년 뒤 중위 연령 60세로 초고령화
정년 연장·연금개혁 서두르지 않으면
노인만 사는 사회로 도태될 수도

quot;한국 3040세대, 이대로 가다간 30년 뒤엔…quot; 무서운 경고

▲ 30년 뒤 우리나라 인구의 중위 연령이 60세가 되며 ‘액티브 에이징활기찬 노년’ 계층이 많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금까지의 노년층과는 달리 왕성한 사회생활과 능숙한 디지털 기기 활용이 특징인 세대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인 ‘챗GPT’를 통해 30년 뒤 장수사회를 그려봤다. 챗GPT


“30년 뒤 고령층은 지금의 어르신과는 다른 모습일 겁니다. 진짜 ‘액티브 에이징활기찬 노년’이 구현되는 것이죠.”

조영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 이솔 기자

국내 인구학 연구의 대가인 조영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인구정책연구센터장는 9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30년 뒤 대한민국 사회를 이같이 예견했다. 기술 발달로 고령층의 건강 수명이 늘어나는 것은 물론 디지털 기기 활용도 능숙해 현재 어르신과는 확연히 다를 것으로 내다봤다. 조 교수는 “베이비붐 1세대1955~1963년생는 스마트폰, 컴퓨터 산업을 이끌어 온 사람들”이라며

“이들이 80세 이상 초고령층이 될 때는 굉장히 다재다능하기 때문에 로봇을 쓰더라도 하나의 기능만 쓰는 것이 아니라 플랫폼과 연동되는 뭔가를 더 원할 것이고, 굉장히 적극적이고 활발한 활동을 하는 세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액티브 에이징의 특성은 소비에서 두드러진다. 10여 년 전부터 고령층을 타깃으로 한 실버산업이 유망하다는 전망이 잇따랐지만, 정작 현장에선 수요가 미미해 시장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았다. 조 교수는 “시장에선 베이비붐 1세대가 90~100세 노인이 됐을 때를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실버산업이 뜰 거라는 얘기가 많았지만 국내에서 찾을 수 있는 건 요양원, 요양병원 몇 군데밖에 없다”며 “30년까지 가지 않고 10년만 지나도 ‘실버산업의 규모의 경제’가 형성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30년 뒤 한국 사회에 액티브 에이징만 있는 건 아니다. 청년 인구 감소가 심각한 수준으로 내몰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현재 인구 변화 추세를 보면 30년 뒤 초고령화는 더 가속화된다. 조 교수는 “30년 뒤 중위 연령총인구를 연령순으로 나열할 때 정중앙에 있는 사람의 해당 연령은 60세”라며 “나이가 60세가 됐는데도 본인보다 더 어르신이 우리 사회에 바글바글한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고령층이 많아지고 청년층이 줄어들수록 적지 않은 한국의 부모들이 자녀를 해외로 보내는 ‘브레인 드레인인재 유출’ 사태가 나타날 수 있다”며 “똑똑한 친구들이 계속 해외로 나가고 돌아오지 않는다면 30년 뒤 대한민국은 정말 노인끼리만 사는 사회가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조 교수는 지금이라도 결혼과 출산 문화를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결혼과 출산을 하지 않는 것이 문화화되고, 굉장히 빠르게 고착화하고 있다”며 “이를 되돌리기 위해서는 2030년대, 2040년대를 조망하고, 지금까지 해온 제도와 정책은 인구 성장기에 만들어놓은 것이니 급감하는 데 맞춰서 미리 바꿔주는 방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정년 연장이나 연금 개혁 문제 등을 인구 변화에 맞춰서 대비하지 않으면 현재의 ‘저출산 문화’라는 물줄기를 되돌리기 어렵다는 뜻이다.

조 교수는 또 30년 뒤를 준비하기 위해선 대기업부터 중소기업에 이르기까지 모두 수출 전선에 뛰어들어야 한다고 했다. 인구 감소로 내수 시장의 위축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라는 게 그의 주장이다. 그는 “성장 공식대로 진행했는데 생각만큼 일이 잘 안 풀리는 것을 기업들은 느끼고 있다”며 “스타트업을 하는 청년 역시 마주해야 할 시장이 글로벌이라는 생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인공지능AI을 도입해 생산력을 올릴 수 있지만 AI가 소비까지 대신해줄 수는 없는 것”이라며 “기업들은 점점 더 해외에서 돈을 많이 벌어오게 하고, 그 돈으로 국가는 사회적 부양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형창 기자 calling@hankyung.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2,548
어제
2,965
최대
3,216
전체
596,73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