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 이상 시나리오…韓수출 500억달러 감소 가능성
페이지 정보

본문
- 美 트럼프정부, 韓에 25% 상호관세 부과
- 기존 최악 시나리오 20% 부과보다 높고,
- 日 24% EU 20% 등 주요 경쟁국보다 불리
- 수출 감소액 기존 전망 448억달러 웃돌듯
- 기존 최악 시나리오 20% 부과보다 높고,
- 日 24% EU 20% 등 주요 경쟁국보다 불리
- 수출 감소액 기존 전망 448억달러 웃돌듯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예고대로 한국을 비롯한 모든 국가를 상대로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밝혔다. 특히 대한국 관세율은 최악을 가정한 기존 시나리오20% 부과보다도 많은 25%로 책정됐다. 올해 수출이 최대 448억달러약 66조원 줄어들 수 있다는 기존 전망치 이상의 충격이 우려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10%α알파의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품목별 차등 가능성은 있지만 10%의 기본관세는 당장 오는 5일부터, 국가별 플러스 알파 세율은 9일부터 시행한다.
중국이 34%기존 부과 20% 포함 54%로 가장 높고 △베트남 46% △대만 32% △인도 26% △한국 25% △일본 24% △유럽연합EU 20% 등 순이다. 주요국 중 캐나다·멕시코는 제외됐으나, 이들 국가는 이미 25%의 관세 부과 계획을 확정한 가운데 두 달째 ‘보류’ 중인 만큼 보편관세 시행과 함께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 또 철강과 자동차, 반도체 등 품목은 상호관세를 적용하지 않기로 했지만, 이미 25%의 품목 관세 부과가 확정됐거나 향후 부과될 가능성이 크다.
한국은 결국 앞선 예상보다 높은 것은 물론 모든 품목에 걸쳐 일본·EU 등 주요 경쟁국보다 더 높은 대미 관세를 부과받게 된 것이다. 한국 정부는 트럼프 정부가 문제 삼은 높은 최혜국대우MFN 관세율13%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사실상 0%대 관세를 적용받는 미국엔 해당 사항이 없다고 미국 측에 설명했으나, 미국은 여전히 현실과 다른 MFN과 각종 비관세장벽을 언급하며 상호관세 부과를 강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히려 한국이 미국에 사실상 50%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며 25%의 상호관세가 ‘할인’Discount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기존 최악 시나리오 이상의 결과를 받아들게 된 만큼 수출을 비롯한 우리 경제 충격도 불가피하게 됐다. 산업연구원KIET은 앞서 트럼프 관세 조치에 대한 4개 시나리오별 분석 보고서에서 대중국 60%, 한국 20%, 멕시코·캐나다 10%을 최악으로 보고 대미국 수출이 13.1% 감소할 수 있다고 봤는데 실제론 그 이상의 타격이 우려된다. 지난해 대미 수출 1278억달러 기준 167억달러보다 더 많은 수출 감소가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역시 비슷한 시점에 9개 시나리오별 분석에서 대미 수출이 152억~304억달러 줄어드는 것을 포함해 전체 수출액이 53억~448억달러 감소할 수 있다고 봤는데, 당시 최악 시나리오가 모든 국가에 대한 20% 관세 부과중국 60%였던 만큼 실제 수출 감소액은 이보다 커질 수 있게 됐다.
한국은 지난해 사상 최대인 6855억달러를 수출했고, 정부는 올해도 수출 7000억달러 이상산업연 7002억달러을 목표로 삼아 왔는데, 기존 최악 시나리오 플러스 알파α 500억달러 이상 수출이 줄어들 수 있게 된 것이다.
정부도 대응 마련에 나섰지만 당장 내일4일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결과가 나오는 등 탄핵 정국이어서 당분간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외교 등 실효 있는 대응에 나설 리더십이 약화한 상황이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트럼프 관세 발표 직후인 이날 오전 7시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장·차관과 긴급 경제 안보전략 대책반TF 회의를 열고 “글로벌 관세전쟁이 현실로 다가온 엄중한 상황”이라며 “정부가 가진 모든 역량을 쏟아부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이날 오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주요 경제단체와 업종별 협회·단체와 함께 긴급 민·관 합동 대책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 관련기사 ◀
☞ “김수현, 미성년 교제 맞아도 처벌 어려워” 변호사의 분석
☞ 챗GPT에 ‘尹탄핵 결과 물어보니…“ㅇㅇ 가능성 90%”
☞ 전한길, ‘폭싹 속았수다 특별출연?…통편집 이유는
☞ 위치 어디길래…필러 맞은 국내 30대女 2명 사망
☞ "김치 역겹다" 조롱에 행인 폭행…서경덕 외국 유튜버 강제 추방해야
|
중국이 34%기존 부과 20% 포함 54%로 가장 높고 △베트남 46% △대만 32% △인도 26% △한국 25% △일본 24% △유럽연합EU 20% 등 순이다. 주요국 중 캐나다·멕시코는 제외됐으나, 이들 국가는 이미 25%의 관세 부과 계획을 확정한 가운데 두 달째 ‘보류’ 중인 만큼 보편관세 시행과 함께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 또 철강과 자동차, 반도체 등 품목은 상호관세를 적용하지 않기로 했지만, 이미 25%의 품목 관세 부과가 확정됐거나 향후 부과될 가능성이 크다.
한국은 결국 앞선 예상보다 높은 것은 물론 모든 품목에 걸쳐 일본·EU 등 주요 경쟁국보다 더 높은 대미 관세를 부과받게 된 것이다. 한국 정부는 트럼프 정부가 문제 삼은 높은 최혜국대우MFN 관세율13%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사실상 0%대 관세를 적용받는 미국엔 해당 사항이 없다고 미국 측에 설명했으나, 미국은 여전히 현실과 다른 MFN과 각종 비관세장벽을 언급하며 상호관세 부과를 강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히려 한국이 미국에 사실상 50%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며 25%의 상호관세가 ‘할인’Discount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역시 비슷한 시점에 9개 시나리오별 분석에서 대미 수출이 152억~304억달러 줄어드는 것을 포함해 전체 수출액이 53억~448억달러 감소할 수 있다고 봤는데, 당시 최악 시나리오가 모든 국가에 대한 20% 관세 부과중국 60%였던 만큼 실제 수출 감소액은 이보다 커질 수 있게 됐다.
한국은 지난해 사상 최대인 6855억달러를 수출했고, 정부는 올해도 수출 7000억달러 이상산업연 7002억달러을 목표로 삼아 왔는데, 기존 최악 시나리오 플러스 알파α 500억달러 이상 수출이 줄어들 수 있게 된 것이다.
정부도 대응 마련에 나섰지만 당장 내일4일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 결과가 나오는 등 탄핵 정국이어서 당분간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외교 등 실효 있는 대응에 나설 리더십이 약화한 상황이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트럼프 관세 발표 직후인 이날 오전 7시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장·차관과 긴급 경제 안보전략 대책반TF 회의를 열고 “글로벌 관세전쟁이 현실로 다가온 엄중한 상황”이라며 “정부가 가진 모든 역량을 쏟아부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이날 오전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주요 경제단체와 업종별 협회·단체와 함께 긴급 민·관 합동 대책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
▶ 관련기사 ◀
☞ “김수현, 미성년 교제 맞아도 처벌 어려워” 변호사의 분석
☞ 챗GPT에 ‘尹탄핵 결과 물어보니…“ㅇㅇ 가능성 90%”
☞ 전한길, ‘폭싹 속았수다 특별출연?…통편집 이유는
☞ 위치 어디길래…필러 맞은 국내 30대女 2명 사망
☞ "김치 역겹다" 조롱에 행인 폭행…서경덕 외국 유튜버 강제 추방해야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단독] IMM, 교보생명 풋옵션 판결에 항소…지분 매각도 안 한다 25.04.02
- 다음글"요즘 외국인 관광객 올영·다이소 가요"…위기의 면세점 고군분투 25.04.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