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잠 설칠 걱정 없어요"…디카페인 커피 수입 5년새 300% 급증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밤잠 설칠 걱정 없어요"…디카페인 커피 수입 5년새 300% 급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4-01-18 07:31

본문

뉴스 기사
지난해 6521톤 수입…디카페인 비중도 늘어
"커피 즐기면서 건강 생각하는 소비자 많아"
중저가 프랜차이즈도 잇따라 디카페인 출시

카페인에서 해방돼 자유롭게 커피를 즐기고 싶은 소비자가 늘면서 디카페인 커피가 각광받고 있다. 지난해 디카페인 커피 수입량은 5년 만에 300% 가까이 뛰었다. 급증하는 수요를 따라잡기 위해 스타벅스 같은 대형 커피 전문점뿐 아니라 이디야, 더벤티 등 중저가 프랜차이즈도 잇따라 디카페인 커피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quot;밤잠 설칠 걱정 없어요quot;…디카페인 커피 수입 5년새 300% 급증

디카페인 생두·원두 수입량 2018년 1724톤→2023년 6521톤

18일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디카페인 생두·원두 수입량은 2018년 1724톤에서 지난해 6521톤으로 5년 만에 278% 증가했다. 1년 전인 2022년 6933톤 대비 소폭 줄어들었지만, 이는 이상기후, 원두값 인상으로 전체 커피 수입량이 20만5065톤에서 19만2623톤으로 감소한 영향이 크다.


전체 커피 수입량에서 디카페인 생두·원두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3.38%에서 지난해 3.39%로 소폭 늘었다. 2018년 1.09%와 비교하면 크게 뛴 수치다.


이처럼 한국인의 커피 사랑은 디카페인 커피로 점차 확산하고 있다. 디카페인 커피는 일반 커피보다 카페인 함량이 90%가량 적어 지나친 카페인 섭취가 불러오는 수면장애, 불안감 등에서 자유롭다. 코로나19 이후 건강을 중시하는 이들이 늘면서, 디카페인 커피의 주요 소비층이 과거 임산부 등 카페인에 취약한 소비자에서 일반 소비자로 확산했다는 것이 업계 분석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디카페인 커피 주문량의 60% 이상이 오후 2시 이후에 몰린다"면서 "과거에는 카페인의 각성 효과 때문에 커피를 마시는 소비자가 많았다면, 이제 커피 맛 자체를 즐기면서도 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디카페인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ae_1705530666341_694551_0.jpg

이디야커피, 더벤티 등 중저가 프랜차이즈도 가세…"디카페인 커피 판매량 꾸준히 늘어"

디카페인 커피 수요가 빠르게 늘자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같은 대형 커피 전문점 외 중저가 커피 프랜차이즈들도 서둘러 디카페인 커피를 출시하는 중이다. 지난해에만 이디야커피, 더벤티, 컴포즈커피 등이 디카페인 커피를 내놨다. 한 커피 프랜차이즈 관계자는 "디카페인 커피를 판매하려면 다른 커피머신을 사용해야 하는 등 가맹점주 부담이 있지만, 수요에 발맞추는 가맹점들이 점차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추세는 실제 매출 변화로도 이어지고 있다. 스타벅스의 디카페인 커피 판매량은 2018년 600만잔에서 2022년 2500만잔으로 4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해의 경우 판매량이 전년 대비 5% 이상 늘었다. 투썸플레이스도 지난해 디카페인 커피 판매량이 전년 대비 32.8% 증가했다. 투썸플레이스 관계자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 디카페인 취급 점포수가 1556점으로 1년 전보다 10% 이상 늘면서 판매량이 크게 뛰었다"고 설명했다.


이디야커피 역시 지난해 1월 디카페인 커피 출시 이후 12월까지 1년 동안 월 평균 10%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더벤티도 지난해 3월 출시 이후 디카페인 커피 매출이 월 평균 5% 이상 늘었다.



임온유 기자 ioy@asiae.co.kr

[관련기사]
"제가 칼국수를 모르겠어요?" 뉴진스 민지 발언 사과에 또 악플
"사내 불륜 저질러서 애 생겼대" 카더라 남발했다간 명예훼손
"우리집 등기부등본 몰래 떼서 본 속물 같은 여친, 결혼해도 될까요"
입소문난 푸딩부터 집어든 한국인…日편의점 이렇게 달랐다
지적장애 진단받아 현역 입대 피한 아이돌 그룹 리더 집행유예

2024년 사주·운세·토정비결 확인!
[2024 신년기획] K인구전략, 양성평등이 답이다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33
어제
1,607
최대
2,563
전체
411,05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