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일 벗은 청년도약계좌…우대금리 모두 적용해야 연 6%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베일 벗은 청년도약계좌…우대금리 모두 적용해야 연 6%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2회 작성일 23-06-08 17:39

본문

뉴스 기사
은행연합회 1차 금리 공개...기본금리 3.5~4.5% 선
소득·은행별 우대금리 더하면 최대 6.5% 가능
오는 12일 최종 공시까지 눈치 싸움 예상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202306081823587304.jpg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의 주요 대선 공약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의 금리 초안이 8일 공개됐다. 6%대 고금리를 기대했던 것과 다르게 뚜껑을 열어보니 기본금리 3.5%에 소득별 우대금리 0.5%가 대부분이었다. 은행별 우대금리를 더하면 평균이 6%와 엇비슷해지긴 하나 우대금리 조건을 모두 충족하기는 쉽지 않은 만큼 실질적으로 6%대 금리를 적용받는 청년은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기본금리 3.5%, 최고금리 6% 다수

이날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청년도약계좌 참여 은행 12곳의 1차 기본금리는 3.5~4.5%선에서 결정됐다. 청년도약계좌는 만 19~34세 청년을 위한 목돈 마련 상품이다. 5년 동안 매월 40~7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 보조금에 비과세 혜택 등을 더해 5000만원 안팎의 자산을 형성할 수 있다. 연소득 75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 청년이 대상이다.

청년들의 중장기적 자산 형성을 위해 현 정부가 주요 국정 과제로 추진했지만 기본금리는 높지 않은 편이다. 청년도약계좌의 전신 격인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11개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기업·부산·대구·광주·전북·제주은행이 기본금리는 5.0%로 동일, 우대금리를 0.5~1.0%p로 소폭 상이하게 설정했던 바 있다.

이번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IBK기업은행이 4.5%로 가장 높은 기본금리를 제시, 그 뒤를 NH농협은행4.0%이 이었다. 참여 은행 12곳 가운데 9곳신한·우리·하나·국민·대구·부산·광주·전북·경남이 3.5%의 기본금리를 내놨다. SC제일은행은 2024년도 출시로 방향을 바꿨다.


[서울=뉴시스] 8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5년간 70만원씩 납입하면 최대 5000만원을 모을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가 오는 6월 말 출시된다. 그래픽=전진우 기자 618tue@newsis.com /사진=뉴시스
[서울=뉴시스] 8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5년간 70만원씩 납입하면 최대 5000만원을 모을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가 오는 6월 말 출시된다. 그래픽=전진우 기자 618tue@newsis.com /사진=뉴시스

"꼴찌만 면하자" 은행권 눈치 게임

여기에 우대금리까지 더하면 최고금리가 연 5.5~6.5%가 된다. 연 0.5%로 통일된 소득 우대금리와 연 1.5~2.0% 수준인 은행별 우대금리를 더해서다. 기업은행이 6.5%로 가장 높고 전북은행이 5.5%로 가장 낮았다.

소득 우대금리는 △총급여 2400만원 이하인 경우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이 1600만원 이하인 경우 △연말정산한 사업소득이 1600만원 이하인 경우 적용된다. 은행별 우대금리 요건에는 크게 급여 및 카드 실적, 첫거래, 자동이체, 마케팅 동의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첫 번째 숙제를 제출했지만 은행권 셈법은 여전히 복잡하다. 이번 1차 금리 공시 이후 은행들은 조율을 거쳐 오는 12일 최종 금리를 공시한다. 이 과정에서 결국 최종 금리는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금융권에서는 보고 있다.

특히 이번 청년도약계좌 금리 결정을 앞두고 은행권은 많이 팔수록 손해인 역마진 구조가 될 수 있다며 우려했다. 최근 은행 정기 예·적금 금리가 연 2~3%대까지 떨어진 상황에서 청년도약계좌에 기대되는 금리는 그 두배에 이르기 때문이다. 앞으로 국내외 긴축 기조가 완화되면 일반 상품과 금리 격차는 더 벌어지게 된다.

은행권 관계자는 "청년을 돕는 취지의 상품이니 최대한 좋게 만들고 싶지만 수익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노릇"이라고 토로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금리가 너무 낮아도 문제고 높아도 문제"라며 "중간만 하자는 게 분위기"라고 전했다.

한편 적금담보대출 가산금리는 차이가 뚜렷했다. 청년도약계좌 중도 해지를 막기 위해 거론된 방법이다.

기업은행이 0.6%로 가장 낮았고 그 다음이 신한1.0%이었다. 이어 우리·하나·대구·경남은행이 1.2%, 국민은행은 1.25%를 제시했다. 농협·부산·광주·전북은행의 적금담보대출 가산금리가 1.3%로 가장 높았다.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국민가수 이선희 근황 "회삿돈으로 집 인테리어를..."
"하반신은 10만원" 돈 주고 스킨십하는 유명 부부
대구 하수도관서 발견된 백골 시신, 알고보니...소름
"33살 됐는데 3000만원 모은 여자 걸러라" 뜨거운 논쟁
"14년차 검사 월급 실수령액이요? 세후로..." 깜짝 공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349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09,86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