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밖에서 한판 붙자"…삼성·LG 디스플레이 전쟁 이것까지 확전태세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집 밖에서 한판 붙자"…삼성·LG 디스플레이 전쟁 이것까지 확전태세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3회 작성일 24-01-21 15:03

본문

뉴스 기사
2030년 시장 규모 425억 달러
삼성전자, 글로벌 1위 굳히기
LG전자, 사이니지에 힘 실으며 추격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사이니지 시장을 놓고 첨예한 경쟁을 이어가고 있다. 사이니지는 공공장소와 상업공간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로 대형 빌딩 스크린, 옥외 전광판, 키오스크 등으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시내 한복판에서도 초대형 사이니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서울 코엑스에서는 삼성전자·LG전자 사이니지가 정면 대결을 펼치고 있다. 삼성전자는 SM타운에서 아나모픽Anamorphic·입체 착시 효과 3D 영상을 선보였고, LG전자는 파르나스호텔에서 지주형 사이니지를 내놨다.

news-p.v1.20240121.287bf30a77244fd485355fa606f06aa8_P2.jpg


21일 시장조사업체 프레시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은 2020년엔 204억4000만달러약 27조4000억원에 머물렀지만, 2030년에는 425억4000만달러약 57조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일찌감치 사이니지 시장에 진출해 글로벌 1~2위를 다투고 있다.

업계 안팎에선 사이니지가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새로운 먹거리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와 LG전자를 제외한 나머지 사업자들의 점유율은 미미한 수준”이라며 “성장하는 시장의 열매를 양사가 가져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기업·소비자간거래B2C에 집중됐던 사업에서 벗어나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할 수 있는 기회로도 꼽힌다. 사이니지는 기존 가전제품과 달리 공공기관·기업이 고객이기 때문이다. 가전 수요 회복이 더딘 상황에서 사이니지 B2B로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news-p.v1.20240121.c290862c9d1841d2b6f87d69dbd4778b_P1.jpg


앞서 나가고 있는 기업은 삼성전자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022년에 점유율 31.1%를 기록하며 세계 1위를 차지했다. 2009년 사이니지 사업을 시작한 이후로는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사이니지가 광고 디스플레이로만 인식되는 시대는 끝났다”며 “교육·스포츠·예술 등에서 활용되는 플랫폼으로 거듭났다”고 강조했다. 사이니지 전자칠판으로 학습 편의성을 높이고, 경기 실황도 큰 화면으로 뚜렷하게 살펴볼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삼성전자는 서버 기반의 운영 소프트웨어 매직인포를 고도화해 클라우드 바탕으로 차세대 사이니지 운영 플랫폼 삼성 VXT를 구현했다. 삼성 VXT는 초연결이라는 기조에 맞춰 ‘스마트’ 사이니지에 방점을 찍었다.

news-p.v1.20240117.07eb6c7f08b84ad2a1d9fc694ac63f07_P1.jpg


LG전자는 2022년에는 점유율 11.9%를 차지하며 글로벌 2위 자리를 지켰다. 2위에 그치지 않고 삼성전자와 점유율을 좁혀 나가겠다는 것이 LG전자 목표다. 최근에는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사장가 B2B 강화를 선언하며 사이니지 사업에도 힘을 실었다.

신규 투자액을 10조원으로 늘려서 사업을 키워나가겠다는 것이다. 조 사장은 지난 10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사이니지 등 B2B 사업이나 웹OS 플랫폼 사업과 같은 고성장·고수익 핵심 사업에 투자를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올레드 기술력도 사이니지에 적용하고 있다. LG전자 관계자는 “올레드 사이니지는 기존 제품과는 차별화된 기술로 설치공간 제한을 없앴다”며 “고객의 시선 집중을 통해 브랜드 홍보 효과를 끌어올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news-p.v1.20240121.6cf4db33d7514d97915892bb0e9c3112_P2.jpg


LG전자는 55인치 투명 올레드 사이니지를 활용해 자동문도 만들었다. 평소에는 광고·홍보 영상을 송출하다가 고객이 문 앞으로 다가가면 ‘스르르’ 열린다. 생활 곳곳에서도 LG전자 사이니지를 접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LG전자는 자체 콘텐츠·플랫폼 서비스인 웹OS를 사이니지에 접목했다. 박형세 LG전자 HE사업본부장사장은 “고객들이 사이니지 등에서 웹OS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TV뿐 아니라 사이니지에도 웹OS를 탑재해 미디어 플랫폼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월 70만원 넣으면 5년후 5천만원 ‘이 통장’…“이젠 3년 채워도 비과세”

‘15.7억 대박’ 로또 1등 17명 또 무더기 당첨…‘5870만원’ 2등도 76명

“우유식빵 9만개 100원에 쏜다”…파리바게뜨 이벤트 뭐길래

1km 떨어진 동전 맞출 정도···英 레이저무기 ‘용의 화염’

백화점보다 비싼 명동 길거리 음식에 “한국인은 안 먹어요?”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248
어제
1,352
최대
2,563
전체
434,03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