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식당 가서 김치 더 주세요 말도 못 꺼내겠네?"
페이지 정보

본문
김치 15.3%, 커피 8.3%, 빵6.3%, 햄 6.0% 등 식품 물가 급등
전문가들 “주요 가공식품 가격 상승…전체 물가 상승 견인”
3월 물가, 대학등록금 인상 등 공공서비스 가격 상승도 원인
3월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2% 넘게 오르면서 석 달 연속 2%대 상승세를 유지했다. 특히 가공식품 가격이 급등하며 전체 물가 상승을 견인했다.
3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292020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지난해 9∼12월 1%대를 유지했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2.2%, 2월 2.0%, 3월 2.1%로 세 달 연속 2%대를 나타냈다.
특히 가공식품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다. 가공식품 상승률은 3.6%로, 2023년 12월4.2% 이후 1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물가를 0.30%포인트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주요 품목별로 보면 김치15.3%, 커피8.3%, 빵6.3%, 햄·베이컨6.0% 등이 크게 상승했다. 이들 품목은 최근 출고가가 인상된 제품들이다.
4월에도 가공식품 물가 상승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1일부터 8개 식품기업이 제품 가격을 일제히 인상했다. 오뚜기는 라면 16개 제품의 출고가를 평균 7.5% 올렸으며,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카레와 짜장 등 간편식 가격도 인상했다.
남양유업도 초코우유와 과일주스 등 주요 제품의 가격을 200원씩 인상했다. 외식업체인 노브랜드 버거와 롯데리아 역시 각각 1일, 3일부터 메뉴 가격을 조정했다.
가공식품 출고가 인상은 즉각적으로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지는 않지만, 재고 소진 후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밥상 물가’를 반영하는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3% 하락하며 2월-1.4%에 이어 두 달 연속 내렸다. 그러나 농축수산물 전체 가격은 0.9% 상승했다. 특히 축산물3.1%과 수산물4.9%의 오름폭이 컸다.
수산물의 경우 2023년 8월6.0% 이후 1년 7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김32.8%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는데, 이는 조업일수 감소로 생산량이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서비스 가격은 2.3% 상승했다. 특히 개인서비스3.1%와 공공서비스1.4%의 상승이 두드러졌다. 공공서비스의 경우 대학등록금 인상 영향으로 2월0.8%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통계청은 “3개월 연속 2%대 상승률은 가공식품과 개인서비스 가격 상승이 주요 원인”이라며 “1·2월에는 석유류 가격이 영향을 미쳤고, 3월에는 대학 납입금 인상에 따른 공공서비스 물가 상승이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최근 영남권을 강타한 산불이 물가에 미칠 영향에 대해선 “3월 물가에는 반영되지 않았으나, 사과·양배추·양파·마늘과 일부 국산 소고기 가격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또한 미국의 관세 부과 영향에 대해서는 관세는 수출품에 적용되기 때문에 국내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는 어렵지만, 환율이 오를 경우 품목별로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소비자물가 상승은 지속적인 가공식품 가격 인상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며 “라면, 음료 등 주요 가공식품 가격이 연쇄적으로 오르며 가격 전반에 파급 효과를 미치고 있다. 특히 3월 물가는 대학등록금 인상 등 공공서비스 가격 상승도 주요 원인이었다”고 분석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그냥 못 보겠다”…백종원, ‘90도 사과’ 뒤 곧장 달려간 이곳
▶ “보기 싫어!” 이재명 얼굴 친 이재민…지지자들, 기부 ‘취소’ 행렬
▶ 엄마 미모 몰빵…오지헌 딸들 ‘믿기지 않는 외모’
▶ 전남편 15억 빚 갚는 중…61세 박해미 세 번째 결혼?
▶ 방송서 속옷까지 벗었다... “정자 1억 개” ‘54세’ 男개그맨 정체
▶ “요즘 女공무원 너무 많아…산불 투입 어렵지” 울산시장 발언 논란
▶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아내가 생겼다" "오피스 남편이 생겼다" 떳떳한 관계?
▶ 예비신랑과 2번 만에 성병…“지금도 손이 떨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전문가들 “주요 가공식품 가격 상승…전체 물가 상승 견인”
3월 물가, 대학등록금 인상 등 공공서비스 가격 상승도 원인
3월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2% 넘게 오르면서 석 달 연속 2%대 상승세를 유지했다. 특히 가공식품 가격이 급등하며 전체 물가 상승을 견인했다.
![]() |
게티이미지뱅크 |
특히 가공식품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다. 가공식품 상승률은 3.6%로, 2023년 12월4.2% 이후 1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물가를 0.30%포인트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주요 품목별로 보면 김치15.3%, 커피8.3%, 빵6.3%, 햄·베이컨6.0% 등이 크게 상승했다. 이들 품목은 최근 출고가가 인상된 제품들이다.
4월에도 가공식품 물가 상승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1일부터 8개 식품기업이 제품 가격을 일제히 인상했다. 오뚜기는 라면 16개 제품의 출고가를 평균 7.5% 올렸으며,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카레와 짜장 등 간편식 가격도 인상했다.
남양유업도 초코우유와 과일주스 등 주요 제품의 가격을 200원씩 인상했다. 외식업체인 노브랜드 버거와 롯데리아 역시 각각 1일, 3일부터 메뉴 가격을 조정했다.
가공식품 출고가 인상은 즉각적으로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지는 않지만, 재고 소진 후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밥상 물가’를 반영하는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3% 하락하며 2월-1.4%에 이어 두 달 연속 내렸다. 그러나 농축수산물 전체 가격은 0.9% 상승했다. 특히 축산물3.1%과 수산물4.9%의 오름폭이 컸다.
수산물의 경우 2023년 8월6.0% 이후 1년 7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김32.8% 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는데, 이는 조업일수 감소로 생산량이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 |
라면과 햄버거, 맥주, 커피, 빵, 초콜릿 등 가격이 품목과 기업을 가리지 않고 줄줄이 인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지난달 30일 서울 시내의 한 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최근 달러 강세와 비상계엄 여파, 원재료 등 각종 비용이 오르면서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지수 상승률이 곧 3%를 웃돌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
통계청은 “3개월 연속 2%대 상승률은 가공식품과 개인서비스 가격 상승이 주요 원인”이라며 “1·2월에는 석유류 가격이 영향을 미쳤고, 3월에는 대학 납입금 인상에 따른 공공서비스 물가 상승이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최근 영남권을 강타한 산불이 물가에 미칠 영향에 대해선 “3월 물가에는 반영되지 않았으나, 사과·양배추·양파·마늘과 일부 국산 소고기 가격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또한 미국의 관세 부과 영향에 대해서는 관세는 수출품에 적용되기 때문에 국내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는 어렵지만, 환율이 오를 경우 품목별로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소비자물가 상승은 지속적인 가공식품 가격 인상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며 “라면, 음료 등 주요 가공식품 가격이 연쇄적으로 오르며 가격 전반에 파급 효과를 미치고 있다. 특히 3월 물가는 대학등록금 인상 등 공공서비스 가격 상승도 주요 원인이었다”고 분석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그냥 못 보겠다”…백종원, ‘90도 사과’ 뒤 곧장 달려간 이곳
▶ “보기 싫어!” 이재명 얼굴 친 이재민…지지자들, 기부 ‘취소’ 행렬
▶ 엄마 미모 몰빵…오지헌 딸들 ‘믿기지 않는 외모’
▶ 전남편 15억 빚 갚는 중…61세 박해미 세 번째 결혼?
▶ 방송서 속옷까지 벗었다... “정자 1억 개” ‘54세’ 男개그맨 정체
▶ “요즘 女공무원 너무 많아…산불 투입 어렵지” 울산시장 발언 논란
▶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아내가 생겼다" "오피스 남편이 생겼다" 떳떳한 관계?
▶ 예비신랑과 2번 만에 성병…“지금도 손이 떨려”
관련링크
- 이전글에브리봇, 침구로봇청소기 X1 현대홈쇼핑 론칭 25.04.03
- 다음글한국투자증권, PB 대상 美 스티펄 애널리스트의 해외투자 세미나 개최 25.04.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