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유예에 "더 불안"…나스닥 2.61%↓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경제TV 박근아 기자]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부 관세 유예 소식에도 3대 주가지수가 급락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이라는 불안감에 투심이 악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6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장 마감 무렵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27.51포인트0.99% 떨어진 42,579.08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amp;P500지수는 전장보다 104.11포인트1.78% 급락한 5,738.52, 나스닥종합지수는 483.48포인트2.61% 주저앉은 18,069.26에 거래를 마감했다.
트럼프는 이날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이 적용되는 품목은 오는 4월 2일까지 25% 관세를 면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전날 멕시코와 캐나다산 자동차를 1개월 관세 면제 대상에 포함한 데 이어 면제 적용 대상을 확대한 것이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오히려 투매에 나섰다. 트럼프의 정책 방향이 너무 자주 바뀌어 불안을 느낀 것으로 풀이된다. 앞으로도 정책이 쉽게 뒤집히는 불확실성이 여전할 것이라는 우려다.
트루이스트의 키스 러너 수석 시장 전략가는 "그저 혼란스러울 따름"이라며 "그 혼란은 시장의 일상적인 변동성으로 스며들고 있다"고 말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동조하며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를 공개 석상에서 비하한 것도 투심을 끌어내렸다. 월가는 헤지펀드 설립자였던 베센트가 중도적 입장을 지키며 트럼프의 정책에 제동을 걸어줄 것으로 기대해왔다.
업종별로 보면 에너지를 뺀 모든 업종이 하락했다. 임의소비재와 부동산, 기술, 통신서비스, 유틸리티는 2% 넘게 급락했다.
거대 기술기업 7곳인 매그니피센트7은 모두 하락했다. 엔비디아는 5.74%나 떨어져 시가총액이 2조7천억달러 아래로 내려왔다. 테슬라도 5.61% 떨어져 7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아마존과 메타플랫폼스도 4% 안팎으로 밀렸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는 1% 안팎의 하락률로 비교적 선방했다.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관련주도 대거 약세를 보여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4% 넘게 급락했고 지수를 구성하는 30개 종목 중 2개를 빼고 모두 내렸다.
마블테크놀로지는 작년 4분기 실적이 월가 추정치에 부합하거나 앞섰지만 실적 전망치가 기대보다 못해 주가가 20% 급락했다.
TSMC와 브로드컴, ASML, Arm 등도 3~6%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에 은행주도 2% 안팎 약세를 보였다. 은행주 전체 수익률은 주간 단위로 작년 8월 이후 최악이다.
사진=연합뉴스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부 관세 유예 소식에도 3대 주가지수가 급락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이라는 불안감에 투심이 악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6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장 마감 무렵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27.51포인트0.99% 떨어진 42,579.08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amp;P500지수는 전장보다 104.11포인트1.78% 급락한 5,738.52, 나스닥종합지수는 483.48포인트2.61% 주저앉은 18,069.26에 거래를 마감했다.
트럼프는 이날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이 적용되는 품목은 오는 4월 2일까지 25% 관세를 면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전날 멕시코와 캐나다산 자동차를 1개월 관세 면제 대상에 포함한 데 이어 면제 적용 대상을 확대한 것이다.
하지만 투자자들은 오히려 투매에 나섰다. 트럼프의 정책 방향이 너무 자주 바뀌어 불안을 느낀 것으로 풀이된다. 앞으로도 정책이 쉽게 뒤집히는 불확실성이 여전할 것이라는 우려다.
트루이스트의 키스 러너 수석 시장 전략가는 "그저 혼란스러울 따름"이라며 "그 혼란은 시장의 일상적인 변동성으로 스며들고 있다"고 말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동조하며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를 공개 석상에서 비하한 것도 투심을 끌어내렸다. 월가는 헤지펀드 설립자였던 베센트가 중도적 입장을 지키며 트럼프의 정책에 제동을 걸어줄 것으로 기대해왔다.
업종별로 보면 에너지를 뺀 모든 업종이 하락했다. 임의소비재와 부동산, 기술, 통신서비스, 유틸리티는 2% 넘게 급락했다.
거대 기술기업 7곳인 매그니피센트7은 모두 하락했다. 엔비디아는 5.74%나 떨어져 시가총액이 2조7천억달러 아래로 내려왔다. 테슬라도 5.61% 떨어져 7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아마존과 메타플랫폼스도 4% 안팎으로 밀렸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는 1% 안팎의 하락률로 비교적 선방했다.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관련주도 대거 약세를 보여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4% 넘게 급락했고 지수를 구성하는 30개 종목 중 2개를 빼고 모두 내렸다.
마블테크놀로지는 작년 4분기 실적이 월가 추정치에 부합하거나 앞섰지만 실적 전망치가 기대보다 못해 주가가 20% 급락했다.
TSMC와 브로드컴, ASML, Arm 등도 3~6%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에 은행주도 2% 안팎 약세를 보였다. 은행주 전체 수익률은 주간 단위로 작년 8월 이후 최악이다.
사진=연합뉴스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사진] 중장년 취업박람회 찾은 시민들 25.03.07
- 다음글[기고]특별연장근로 효과, 인가요건 완화에 달렸다 25.03.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