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기습 회생 후폭풍…업체들 납품 중단 도미노
페이지 정보

본문
"차례대로 정산" 발표에도…대금 회수 막막한 입점업체
일부 소비자들 "갖고 있는 상품권 빨리 써야"
홈플러스 소유 사모펀드 MBK 부실 경영 비판 목소리도
일부 소비자들 "갖고 있는 상품권 빨리 써야"
홈플러스 소유 사모펀드 MBK 부실 경영 비판 목소리도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국내 대형마트 2위,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가면서 후폭풍이 큽니다.
입점업체들 사이에선 대금 정산을 제대로 받을 수 있을지 불안해 하는 반응이 큰데, 이 소식은 전다빈 기자입니다.
[기자]
홈플러스에서 매장을 운영 중인 A씨는 설명절 매출이 포함된 1월 대금 2천만원을 한푼도 받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홈플러스 측에선 아무 공지도 없었습니다.
[홈플러스 입점 소상공인 : 당장 인건비 지급하고 대금 납품해야 할 게 2300만원인데… 홈플러스 측에서 아무런 대책을 안 세워주고 있고 아무런 답변이 없습니다.]
논란이 커지자 홈플러스 측은 법원 승인을 받은 오늘6일부터 차례대로 정산을 시작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언제 순서가 돌아올지 알 수 없는 데다, 당장 손에 쥔 운영자금도 없는 입점업체들은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여기다 LG전자를 비롯해 동서식품, 롯데칠성 등 식품업체들도 하나둘 납품을 중단하고 있습니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납품 대금을 제때 받지 못할 우려가 있어서 중단을 결정했다"라고 밝혔습니다.
홈플러스 손절에 나서는 공급업체가 늘수록, 경쟁력은 더 떨어져 손실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앞서 티메프 사태를 겪은 소비자들 사이에선 갖고 있는 상품권을 빨리 써버려야 한다는 움직임도 일고 있습니다.
업계에선 홈플러스를 소유한 사모펀드 MBK가 부실 경영에 책임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막대한 빚을 내 무리하게 대형마트를 인수한 뒤에도 급변하는 유통 환경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단 겁니다.
[안수용/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 위원장 : MBK가 홈플러스 인수 당시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 1조원을 투자하겠다 공언한 바 있습니다. 그들은 단 하나의 약속도 지키지 않고 있습니다.]
홈플러스는 6천억 넘는 가용자금이 있는 만큼 미정산 사태는 없을 거란 입장이지만, 사태가 장기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영상취재 조용희 반일훈 / 영상편집 김지우 / 영상디자인 유정배]
전다빈 기자 chun.dabin@jtbc.co.kr
[핫클릭]
▶ 공군 "폭탄 8발 비정상 투하"…포천 민가 덮쳐 7명 부상
▶ 이재명 뭐라 했길래? 김두관 "충격..사과하라" 발끈
▶ 주가 급등 묘한 타임라인…김 여사 연관설 재점화
▶ "한국, 이대로면 반토막 난다"…100쪽 분량 날아든 경고
▶ "불륜했지" 아내에게 수갑 채우고 채찍질…성고문까지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국내 대형마트 2위,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가면서 후폭풍이 큽니다.
입점업체들 사이에선 대금 정산을 제대로 받을 수 있을지 불안해 하는 반응이 큰데, 이 소식은 전다빈 기자입니다.
[기자]
홈플러스에서 매장을 운영 중인 A씨는 설명절 매출이 포함된 1월 대금 2천만원을 한푼도 받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홈플러스 측에선 아무 공지도 없었습니다.
[홈플러스 입점 소상공인 : 당장 인건비 지급하고 대금 납품해야 할 게 2300만원인데… 홈플러스 측에서 아무런 대책을 안 세워주고 있고 아무런 답변이 없습니다.]
논란이 커지자 홈플러스 측은 법원 승인을 받은 오늘6일부터 차례대로 정산을 시작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언제 순서가 돌아올지 알 수 없는 데다, 당장 손에 쥔 운영자금도 없는 입점업체들은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여기다 LG전자를 비롯해 동서식품, 롯데칠성 등 식품업체들도 하나둘 납품을 중단하고 있습니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납품 대금을 제때 받지 못할 우려가 있어서 중단을 결정했다"라고 밝혔습니다.
홈플러스 손절에 나서는 공급업체가 늘수록, 경쟁력은 더 떨어져 손실은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앞서 티메프 사태를 겪은 소비자들 사이에선 갖고 있는 상품권을 빨리 써버려야 한다는 움직임도 일고 있습니다.
업계에선 홈플러스를 소유한 사모펀드 MBK가 부실 경영에 책임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막대한 빚을 내 무리하게 대형마트를 인수한 뒤에도 급변하는 유통 환경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단 겁니다.
[안수용/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 위원장 : MBK가 홈플러스 인수 당시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해 1조원을 투자하겠다 공언한 바 있습니다. 그들은 단 하나의 약속도 지키지 않고 있습니다.]
홈플러스는 6천억 넘는 가용자금이 있는 만큼 미정산 사태는 없을 거란 입장이지만, 사태가 장기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영상취재 조용희 반일훈 / 영상편집 김지우 / 영상디자인 유정배]
전다빈 기자 chun.dabin@jtbc.co.kr
[핫클릭]
▶ 공군 "폭탄 8발 비정상 투하"…포천 민가 덮쳐 7명 부상
▶ 이재명 뭐라 했길래? 김두관 "충격..사과하라" 발끈
▶ 주가 급등 묘한 타임라인…김 여사 연관설 재점화
▶ "한국, 이대로면 반토막 난다"…100쪽 분량 날아든 경고
▶ "불륜했지" 아내에게 수갑 채우고 채찍질…성고문까지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관련링크
- 이전글HMM 신임 대표에 최원혁 전 LX판토스 사장 내정 25.03.06
- 다음글시지바이오, 3회 연속 우수기업연구소 선정 25.03.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