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살리려던 설 임시공휴일, 해외여행만 살렸다
페이지 정보

본문
정부가 지난 1월 임시공휴일을 지정했지만, 내수 부양 효과는 기대에 못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10일 법무부에 따르면 1월 내국인 출국자 수는 297만5191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7.3% 증가했다. 2019년 1월293만219명을 넘어선 역대 최대 규모다. 국가별로는 일본 출국이 93만5815명으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이 44만1189명으로 뒤를 이었다. 최근 엔화값이 상승세를 보이는 등 환율만 놓고 보면 좋은 환경이 아닌데도 여행은 더 많이 떠났다는 뜻이다. 1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면서 설 연휴를 포함해 최장 9일간의 황금연휴가 만들어진 게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김영옥 기자
재화 소비의 정도를 보여주는 ‘1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6% 줄었다. 의복 등 준내구재-2.6%, 화장품 등 비내구재-0.5% 등의 판매 감소가 원인이다. 12월 반짝 상승했지만, 다시 흐름이 꺾였다. 소매판매는 10월 1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 연휴를 만들었던 지난해 10월에도 0.7% 감소했다.
1월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 등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0.8% 줄었고, 1월 온라인 쇼핑액 역시 4.4% 감소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내수 경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온라인 쇼핑액은 소비 활력을 따져볼 수 있는 지표다. 전반적으로 관광을 제외하면 뚜렷한 내수 반등을 확인할 수 없었다는 뜻이다. 정부는 “효과가 있다, 없다 단언할 단계는 아니지만 면밀한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기획재정부 관계자며 명확한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되레 ‘돈 아껴서 해외여행 간다’는 속설은 증명됐다. 지난해 내국인의 국외 소비지출은 30조9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2.6% 증가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전 수준을 거의 회복해가는 흐름이다. 같은 기간 국내 소비지출은 0.7% 증가에 그쳤다. 전체 소비지출의 98%를 차지하는 국내 지출이 7조3000억원 증가하는 동안, 2%에도 못 미치는 국외 지출은 5조7000억원이나 증가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국외 소비 역시 국내총생산GDP상 민간소비로 잡히는데 지난해 미약하게 관측된 소비 회복세도 국외 소비 증가에 기인한 측면이 있다”며 “이참에 임시공휴일 지정의 정확한 경제 효과를 따져보고, 정책 활용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여행업계 관계자는 “명절이라 망설였던 사람들도 연휴 기간을 둘로 쪼개 여행을 다녀올 수 있게 된 것”이라며 “일본이나 동남아는 이전에 다녀온 경우가 많고, 여행 준비도 간단하기 때문에 수요가 급증한 거로 보인다”고 말했다.
세종=장원석 기자 jang.wonseok@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나훈아 꺾기 못한다? 임영웅 성대의 비밀
▶ 휘성, 자택서 숨진채 발견…"비통한 심정" 충격 비보
▶ 아내 손발 묶고 30㎝ 성인용 도구로…잔혹남편 충격
▶ 노래방서 붙어있던 중년男女…자세히 보니 경악
▶ 女관광객 집단 성폭행…동행男은 강에 던져져 익사
▶ 30세男이 홍콩 뒤집다…전설의 맛집 비밀
▶ "성폭행 당하고도 모른다…역사상 최악 성범죄" 충격
▶ "똑바로 살겠다"던 김호중, 실형에 반성문 100장
▶ 여장교 속옷서 DNA 나왔다…대령 발뺌에 공군 발칵
▶ 신애라 이어 김영철도 당했다…"국적 박탈" 무슨 일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장원석 jang.wonseok@joongang.co.kr
관련링크
- 이전글SC제일은행, 홈플러스 어음 부도 처리…당좌거래 정지 25.03.10
- 다음글반려견 예전에 다쳤는데, 보험 가입 뒤 수술비 청구…실손 뺨치는 펫보험 ... 25.03.1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