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식 자동화 목표는 작업자 제로 아닌 불량률 제로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일본식 자동화 목표는 작업자 제로 아닌 불량률 제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4회 작성일 25-03-06 18:18

본문

완전 무인 아닌 최소 인원 개입
불량률 100만개 중 0.3개 불과
일본 제조업계의 자동화는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해 기계와 로봇이 작업자를 대체하는 무인화가 아니라 최소 인원이 개입하는 방식이다. 자동화自動化라는 단어도 사람인 변#x4ebb;을 붙여 자동화自#x50cd;化라고 쓴다. 일본이 이 같은 자동화를 고집하는 이유는 제품 불량률을 최소화하는 데 훨씬 효과적이라고 판단해서다. 자동화 장비의 이상을 방치해 대량으로 불량이 나올 수 있는 상황을 작업자가 차단한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게 ‘안돈行燈’ 방식이다. 조명 기구를 뜻하는 안돈은 자동화 설비에 이상 징후가 나타나면 작업자가 곧바로 생산라인을 멈추고 관리감독자에게 빛이나 경고음으로 이상을 알리는 시스템이다.

작업자의 실수를 방지하기 위한 ‘포카요케fool-proof’도 일본식 자동화의 한 형태다. 초보자가 일해도 정상 제품이 나오도록 하는 장치다.

미후네는 이런 절차를 거쳐 아예 작업자 단계에서 불량품을 걸러내는 ‘자공정완결自工程完結’ 시스템을 구축했다. 작업자 스스로 품질을 완결한다는 뜻이다. 검사자는 물론 검사 공정 자체가 따로 없는 이유다. 이런 식으로 월 950만 개 제품을 생산하는 미후네의 납입불량률은 3~4건0.3~0.4PPM에 불과하다. ‘꿈의 불량률’로 불리는 1PPM보다 낮은 수치다. PPM은 100만 개 중 1개의 불량이 발생할 때 쓰는 단위다.

일본에는 미후네와 비슷한 중소 제조업체가 적지 않다. 절삭 가공 분야의 도요타 2차 부품사 AVEX의 불량률은 0.05PPM, 에노키공작소는 0.2PPM이다. 사출성형 업체 신고기연의 불량률은 ‘제로’0PPM다. 국내 부품 업계 관계자는 “통상 7~11PPM인 한국 중소 제조업체의 불량률과 비교할 때 일본 제조업의 불량률은 거의 신의 경지에 다다른 것 같다”고 평가했다.

도요타·나고야=이정선 중기선임기자 leeway@hankyung.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647
어제
2,108
최대
3,806
전체
949,05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