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너마저…"中조선 경쟁력, 모든 영역서 세계 최고 수준 도달"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조선업 너마저…"中조선 경쟁력, 모든 영역서 세계 최고 수준 도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2회 작성일 25-03-11 14:51

본문

조선업 기반 거제·통영·고성 임금체불 200억 이상


정부 지원과 가격경쟁력을 앞세워 성장한 중국 조선산업의 경쟁력이 모든 영역에서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이 앞서 있던 기술 격차도 상당히 좁혀졌다. 범용 반도체, 석유화학, 철강, 디스플레이, 스마트폰에 이어 조선업종에서까지 기술력을 갖춘 중국 기업과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해졌다는 얘기다.

11일 한국은행 북경사무소는 최근 발행한 ‘중국의 조선·해운업 동향 및 향후 전망’ 보고서를 통해 수주 실적과 선종, 밸류체인가치사슬 경쟁력 측면에서 중국 조선업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우선 2021년부터 수주가 큰 폭으로 늘었다. 2017년 42.2%였던 중국의 글로벌 선박 수주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70.3%로 커졌다. 같은기간 한국은 25.8%에서 16.3%로 줄었고, 일본은 11.1%에서 5.5%로 반토막났다. 지난해 말 기준 중국 조선업체의 선박 수주잔량은 전세계의 58.4%를 차지해 한국23.6%과 일본8.4%보다 많다.

생산 가능한 선박의 종류도 넓어졌다. 중국 조선업체들은 과거에는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지 않는 벌크선 등 저부가가치 선박 위주로 수주했으나, 최근에는 고부가가치 선박인 컨테이너선과 가스운반선 등의 수주계약도 늘어 수량 기준 5대 중 1대 수준으로 증가했다.

이는 조선업 밸류체인 전반의 경쟁력이 빠르게 향상된 결과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산업연구원의 분석 결과 2020년까지만 해도 조선업의 5대 경쟁력 중 한국이 연구개발Ramp;D·설계, 조달, 생산에 강점이 있고 중국이 해운업의 수요, 유지·보수가 강했다. 하지만 2023년에는 Ramp;D·설계와 조달의 경쟁력 격차는 줄고, 수요와 유지보수 경쟁력 격차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조선산업의 빠른 성장에는 우선 정부의 막대한 지원이 큰 역할을 했다. 중국 정부는 2001년 이후 정부의 5개년 계획을 발표할 때마다 조선 산업을 포함시켜 지원을 계속해왔다. 2012년부터는 ‘해양강국 건설’을 공개적인 목표로 밝히며 다양한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왔다. 중국 국영은행이 글로벌 선박금융시장에서 큰손 역할을 수행한 것도 조선 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토대가 됐다.

여기에 기업 간 Mamp;A를 통해 시장점유율을 높여 갔다. 201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중국 조선업체들이 난립하며 경쟁이 과열되고 저가 수주가 이어졌으나, 2019년 1위 기업인 중국선박공업그룹CSSC과 중국선박중공업그룹CSIC가 합병하는 등 업계 구조조정이 이뤄졌다.

중국의 낮은 물류비용과 인건비도 조선업 발전의 토대가 됐다. 중국 내 철강 공급과잉으로 선박 건조 원가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후판 가격이 크게 하락해 저가선박 수주에 도움을 줬고, 여전히 한국의 3분의 1 수준인 조선조 근로자 임금도 가격경쟁력을 뒷받침했다.

한은은 미국에서 조선·해운업 보호 기조가 커지며 중국 조선업에 대한 견제가 심화됐다고 분석했다. 코로나 팬데믹을 계기로 글로벌 해운업계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기 시작했고, 지난해 미국 정부와 의회는 조선산업 부흥과 해군력 강화를 위한 행정조치 및 법안 마련에 나섰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중국 조선업에 대한 직접 규제가 현실화되고 있다.

중국 조선업에 대한 미국의 제재는 한국 조선업에는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글로벌 해운사들의 발주가 중국 업체 대신 한국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독일 해운사 하팍로이드는 중국에 발주 예정이었던 액화천연가스LNG 컨테이너선 6척을 한국 조선업체에 맡기는 것을 검토 중이다.

다만 미국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이 한국 조선업에 긍정적인 요소지만, 외부 협력에만 의존하다 격차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보고서를 작성한 한은 북경사무소 신동주 과장은 “조선업에서 한국과 중국의 기술격차가 상당히 좁혀졌다”며 “한국의 주요 항만이 앞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내 대표 허브로서 기능을 지속해 나갈 것을 단언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조선·해운업계 내 기업, 정부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조선, 해운뿐만 아니라 정보기술IT·국방·금융 등을 아우르는 통합적인 산업 육성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홍석호 기자 will@donga.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247
어제
2,108
최대
3,806
전체
948,65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