凍土, 유빙, 엑손 트라우마…알래스카 LNG 쉽지않은 까닭
페이지 정보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앞줄 왼쪽이 4일현지시간 워싱턴DC 연방의회 의사당에서 연설하고 있다. AP=연합뉴스
트럼프의 호언장담에도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사업이 쉽지 않을 것으로 에너지 업계가 전망하는 이유다. 자칫하면 우여곡절 끝에 표류하는 동해 가스전처럼 알래스카판 ‘대왕고래’ 프로젝트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트럼프의 의지에 따라 사업 진행이 급물살을 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4일현지시간 워싱턴DC 연방의회 의사당 연설에서 “알래스카에 세계 최대 규모 중 하나인 천연가스 파이프라인을 건설하고 있다”며 “일본, 한국과 다른 나라가 수조 달러씩 투자하며 우리 파트너가 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한국가스공사와 SK이노베이션, GS에너지 등 에너지 업계,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 등 조선업계는 계산기를 두드리고 있다. 하지만 사업의 잠재성에도 불구하고 여러 난제가 복합적으로 얽혔다는 점에서 정부만 바라보는 모양새다. 알래스카 북부에서 대규모 석유·천연가스 유전을 발견한 건 1960년대지만 6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 개발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먼저 알래스카 산유지가 북부 노스슬로프 일대란 점에 주목해야 한다. LNG를 주요 소비처와 가까운 남부까지 보내려면 1300㎞ 길이 가스관을 놓아야 한다. 이 길은 1년 내내 땅이 얼어있는 영구 동토층이다. 여름철 배수가 잘되지 않아 호수인 곳도 많다. 기초 공사부터 어렵다는 얘기다.
대우조선해양현 한화오션에서 LNG 개발사업 등을 경험한 권효재 한양 상무는 “가스관은 99.9% 짓더라도 0.1%가 이어지지 않으면 실패하는 사업”이라며 “가스관을 잇더라도 극한 추위와 강풍으로 유지·보수하기 어려운 극한의 조건”이라고 설명했다.

신재민 기자
우종훈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는 “과거보다 기술이 많이 나아져 쇄빙 LNG선 개발도 가능하다”라면서도 “건조 비용이 늘어나는 데다, 유빙이 있을 경우 배가 느려져 수익성을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1989년 미국 알래스카만 남부에서 일어난
이런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트럼프가 밀어붙이면 사업은 추진될 가능성이 크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6일 "어렵다는 건 누구나 알고 있기 때문에 정부와 기업이 한·미협의체를 구성해 신중하게 따져보겠다"고 말했다. 엑손모빌 등 글로벌 정유사가 과거 프로젝트에서 철수한 사례에 대해서는 “과거보다 기술이 발전했다. 트럼프 정부 측에서 의지가 있는 만큼 규제 등을 빠르게 해소하리란 점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섣불리 긍·부정을 판단하지 않겠다는 말이다.
무엇보다 트럼프가 관심을 보인 만큼 참여 여부를 관세 같은 다른 협상의 지렛대로 삼을 수 있다는 점도 고려 대상이다. 이 관계자는 “정부는 관세, 비관세, 알래스카 LNG 개발, 조선, 에너지 다섯 가지를 종합적으로 보며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종훈 교수는 “트럼프가 일방적으로 밀어붙인다면 국내 업계도 일단은 참여를 검토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며 “잠재성은 있지만, 워낙 장기·대규모 프로젝트인 만큼 정부 주도로 시추부터, 플랜트, 가스관, LNG선 등 어느 분야에 얼마까지 참여할지 다각도로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기환·김연주 기자 khkim@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이경규 "미치겠더라" 44년 개그대부의 질투
▶ 아내 손발 묶고 30㎝ 성인용 도구로…잔혹남편 충격
▶ 여장교 속옷서 DNA 나왔다…대령 발뺌에 공군 발칵
▶ 살인 미수 잡히자…2억 내고 풀려난 유명배우 충격
▶ 7개월간 주3회씩…에이즈 숨기고 여중생 성매매
▶ 길바닥 드러누운 비키니 여배우…"최악" 조롱 뭔일
▶ 성폭력 의혹 장제원 "그렇게 가버리면…힘들다" 문자
▶ 흰색 가운 입고…책받침 여신 왕조현 깜짝 근황
▶ 女 10명 성폭행…김해 뒤집은 공포의 목사 최후
▶ 대치맘 논란 입 연 이수지 "의도한 대로 안 흘러가"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기환 khkim@joongang.co.kr
관련링크
- 이전글한국전기연구원, 전기차 충전 분야 발전 위한 다자간 협약 체결 25.03.06
- 다음글다시 도는 폐점 리스트…흔들리는 홈플러스, 소비자는 불안 25.03.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