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AK…알짜 애경산업 판다
페이지 정보

본문
2080·케라시스등 대표생필품 생산
![]() |
서울 마포구 애경그룹 사옥 모습 [애경그룹 제공] |
애경그룹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선제적 조치로 모태사업인 애경산업 매각을 검토하고 있다.
애경산업의 재무구조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지만 최근 실적 부진과 시장 내 경쟁 심화로 성장성이 둔화된 상황이다.
2일 애경산업에 따르면 애경그룹은 지주회사인 AK홀딩스와 애경자산관리 등이 보유한 애경산업 지분 약 63%를 처분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애경그룹은 1954년 비누, 세제 등을 만드는 ‘애경유지공업주식회사’를 모태로 성장했다. 애경산업은 1985년 4월 그룹에서 생활용품사업 부문을 떼어내 설립된 회사다.
김상준 애경산업 대표이사는 1일 내부 간담회에서 “그룹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알아보고 있다”며 매각 검토 중이란 사실을 공유했다. 그러면서 “최근 매출과 영업이익이 좋지 않았다”며 “회사 임직원의 근로안정성을 최우선으로 가져가겠다”고 강조했다.
애경그룹이 애경산업 매각을 검토하는 것은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조치다.
![]() |
AK홀딩스는 총부채가 지난해 말 기준 4조원 수준이다. 부채비율은 328.7%에 이른다. 애경산업의 시가총액은 3800억원 수준이다. AK홀딩스 등이 보유한 지분 가치는 2400억원에 달한다. 경영권 프리미엄과 자산가치 등을 합치면 매각가는 6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투자업계 관계자는 “연초부터 애경그룹 유동성 리스크에 빨간불이 켜졌다”며 “당사자는 부인했지만 제주항공 매물설이 돌기도 했다는 점은 그룹위기를 방증했다”고 말했다.
애경그룹이 핵심 계열사인 애경산업의 매각을 검토하면서 업계의 관심은 집중되고 있다. 애경산업은 국내 생활용품과 화장품 분야에서 일정한 지위를 지켜오고 있다.
특히 생활용품 ‘케라시스’와 ‘2080’, 화장품 ‘루나’ 등 대표 브랜드의 인지도가 높아 매각 이후 사업 영위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애경산업은 지난해 말 기준 부채비율이 약 25%로, 비교적 낮다.
하지만 업계 전반의 경쟁 심화와 소비 감소로 인한 성장 둔화는 향후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애경산업은 최근 실적 부진도 겪고 있다. 지난해에는 국내 화장품 ‘빅 3’ 타이틀을 에이피알APR에 내줬다.
애경산업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이 전년 대비 1.5% 증가한 6791억원을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23.5% 감소한 474억원을 기록했다. 화장품과 생활용품사업의 영업이익은 나란히 20% 이상 쪼그라들었다. 올해 매출과 영업이익을 전년 대비 10%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업계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달성 여부가 불확실하다.
한편 애경그룹은 또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에 있는 골프장 중부CC 매각도 추진 중이다. 애경케미칼이 중부CC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애경그룹이 향후 항공제주항공과 화학애경케미칼 분야에 집중할 것으로 보고 있다.
애경그룹 관계자는 “현재 그룹 재무구조 개선과 사업 포트폴리오 재조정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매각 관련 아직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말했다.
전새날·노아름 기자
[ 인기기사 ]
▶ 신정환 “교도소서 사형수가 계속 사진 달라고…연쇄살인범 강호순이었다”
관련링크
- 이전글[특징주] 포스코퓨처엠, 공매도 재개 영향에 4% 뚝 25.04.02
- 다음글최상목 "공공요금 상반기 동결…산불 피해, 4천억대 신속지원" 25.04.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