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싸도 너무 비싸다…이러다 손가락만 빨겠다"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경제TV 전민정 기자]
3월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2.1% 오르며 석 달 연속 2%대 상승세를 유지했다.
특히 먹거리 가격이 줄줄이 오르며 가공식품 상승률이 3%를 넘겨 15개월만에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지수는 116.292020년=100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2.1%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12월 1%대를 유지했지만, 올해 1월 2.2%로 올라섰고 2월 2.0%, 3월 2.1%로 3개월 연속 2%대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엔 특히 먹거리 물가가 크게 들썩였다.
가공식품은 상승률은 3.6%로 2023년 12월4.2% 이후 1년 3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이를 통해 전체 물가를 0.30%포인트 끌어 올렸다.
특히 김치15.3%, 커피8.3%, 빵6.3%, 햄 및 베이컨6.0% 등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이들은 최근 출고가가 인상된 품목이다.
이달 1일부터 8개 식품기업의 제품 가격이 일제히 인상되면서 당분간 가공식품 물가 상승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오뚜기는 라면 16개 제품의 출고가를 평균 7.5% 올렸는데, 라면 제품뿐만 아니라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카레와 짜장 등 간편식 가격도 인상하기로 했다.
우유와 음료 가격도 올라 남양유업은 초코우유와 과일주스 등 주요 제품의 가격을 200원씩 인상한다고 밝혔다.
노브랜드 버거와 롯데리아도 각각 1일, 3일부터 메뉴 가격을 올리기로 했다.
가공식품 출고가 인상은 즉각 물가에 반영되지는 않고, 재고 여부 등에 따라 순차적으로 영향이 나타난다.
밥상 물가를 보여주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1.3% 내렸다. 2월-1.4%에 이어 두 달 연속 하락했다.
그러나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0.9% 상승했다.
특히 축산물3.1%과 수산물4.9%에서 오름폭이 컸다. 수산물은 2023년 8월6.0% 이후 1년7개월만에 최대 상승 폭을 보였다.
김32.8% 가격 상승세가 지속된 가운데 조업일수 감소로 생산량이 줄어든 영향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서비스 가격도 2.3% 상승했다.
개인서비스가 3.1%, 공공서비스가 1.4% 올랐는데, 특히 공공서비스는 대학등록금 인상 여파로 2월0.8%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3개월 연속 2%대 상승률은 가공식품과 개인서비스 상승이 영향을 미쳤다"며 "1·2월은 석유류 영향이 컸고, 3월은 대학 납입금 상승에서 비롯된 공공서비스 인상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영남권을 강타한 산불의 영향에는 "3월 물가에 반영되지는 않았지만 재배 면적을 볼 때 사과·양배추·양파·마늘과 일부 국산 소고기 물가에 향후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싶다"고 내다봤다.
미국 관세 부과 영향에는 "관세는 밖으로 나가는 것들에 대한 것이라서 직접적으로 물가 영향을 이야기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며 "환율이 오르면 품목별로 시차는 있겠지만 상승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향후 물가는 기상여건, 지정학적 요인 등 불확실성이 있는 상황으로 정부는 총력을 다해 물가안정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민 생활과 밀접한 먹거리 가격 안정을 위해 주요 품목별 수급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변동 요인에 대해서는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라며 "최근 산불로 인한 농축산물 피해를 신속히 조사하고, 수급 영향을 분석해 적기 대응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전민정 기자 jmj@wowtv.co.kr

3월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2.1% 오르며 석 달 연속 2%대 상승세를 유지했다.
특히 먹거리 가격이 줄줄이 오르며 가공식품 상승률이 3%를 넘겨 15개월만에 가장 높은 상승폭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지수는 116.292020년=100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2.1%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12월 1%대를 유지했지만, 올해 1월 2.2%로 올라섰고 2월 2.0%, 3월 2.1%로 3개월 연속 2%대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엔 특히 먹거리 물가가 크게 들썩였다.
가공식품은 상승률은 3.6%로 2023년 12월4.2% 이후 1년 3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이를 통해 전체 물가를 0.30%포인트 끌어 올렸다.
특히 김치15.3%, 커피8.3%, 빵6.3%, 햄 및 베이컨6.0% 등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이들은 최근 출고가가 인상된 품목이다.
이달 1일부터 8개 식품기업의 제품 가격이 일제히 인상되면서 당분간 가공식품 물가 상승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오뚜기는 라면 16개 제품의 출고가를 평균 7.5% 올렸는데, 라면 제품뿐만 아니라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카레와 짜장 등 간편식 가격도 인상하기로 했다.
우유와 음료 가격도 올라 남양유업은 초코우유와 과일주스 등 주요 제품의 가격을 200원씩 인상한다고 밝혔다.
노브랜드 버거와 롯데리아도 각각 1일, 3일부터 메뉴 가격을 올리기로 했다.
가공식품 출고가 인상은 즉각 물가에 반영되지는 않고, 재고 여부 등에 따라 순차적으로 영향이 나타난다.
밥상 물가를 보여주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1.3% 내렸다. 2월-1.4%에 이어 두 달 연속 하락했다.
그러나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0.9% 상승했다.
특히 축산물3.1%과 수산물4.9%에서 오름폭이 컸다. 수산물은 2023년 8월6.0% 이후 1년7개월만에 최대 상승 폭을 보였다.
김32.8% 가격 상승세가 지속된 가운데 조업일수 감소로 생산량이 줄어든 영향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서비스 가격도 2.3% 상승했다.
개인서비스가 3.1%, 공공서비스가 1.4% 올랐는데, 특히 공공서비스는 대학등록금 인상 여파로 2월0.8%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3개월 연속 2%대 상승률은 가공식품과 개인서비스 상승이 영향을 미쳤다"며 "1·2월은 석유류 영향이 컸고, 3월은 대학 납입금 상승에서 비롯된 공공서비스 인상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영남권을 강타한 산불의 영향에는 "3월 물가에 반영되지는 않았지만 재배 면적을 볼 때 사과·양배추·양파·마늘과 일부 국산 소고기 물가에 향후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싶다"고 내다봤다.
미국 관세 부과 영향에는 "관세는 밖으로 나가는 것들에 대한 것이라서 직접적으로 물가 영향을 이야기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다"며 "환율이 오르면 품목별로 시차는 있겠지만 상승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향후 물가는 기상여건, 지정학적 요인 등 불확실성이 있는 상황으로 정부는 총력을 다해 물가안정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민 생활과 밀접한 먹거리 가격 안정을 위해 주요 품목별 수급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변동 요인에 대해서는 신속히 대응할 방침"이라며 "최근 산불로 인한 농축산물 피해를 신속히 조사하고, 수급 영향을 분석해 적기 대응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전민정 기자 jmj@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너도나도 난리"…이미지 생성모델 인기에 가입자 수 폭발한 챗GPT 25.04.02
- 다음글나스닥 11% 폭락…트럼프 관세 전쟁 50일 처참한 성적표 25.04.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