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개인부터 기관까지 투자자 피해 커져
페이지 정보

본문
![]() |
서울 시내 한 홈플러스 매장 모습 / 사진=연합뉴스 |
지난 4일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밟아 개인부터 기관 투자자까지 피해가 예상돼 경제계 전반에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어제7일 오뚜기, 삼양식품 등 일부 업체가 납품을 재개하며 협력사 대거 이탈 추세는 막았지만 불안은 여전한 상황입니다.
오늘8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이번 홈플러스 법정관리로 자금을 빌려준 메리츠금융지주, 투자한 국민연금, 개인 등 총 피해액이 수조 원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개인 투자자 피해액의 경우, 홈플러스는 기업 어음, 카드대금 유동화 증권 등을 개인한테 판매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해 이를 돌려주지 않을 시 피해액은 7,619억 원에 달합니다.
기관투자자 피해도 막심합니다. 메리츠금융지주 상대로 1조 2,000억 원 대출이 남아 있고, 국민연금은 투자한 6,121억 원 중 3,131억 원을 회수해 미수금이 2,990억 원입니다.
일부 협력업체는 대금을 받지 못하고 있고, 정산을 받지 못했다는 매장 점주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홈플러스 측은 납품대금 지급을 재개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황입니다.
이번 홈플러스 법정관리는 사모펀드PEF MBK파트너스의 경영 능력이 부족해서 발생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경영 정상화를 위해 법정관리 신청이 불필요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습니다.
홈플러스 측은 이번 법정관리 신청이 "단기 자금 상환 부담을 줄이기 위한 것"이라며 "사전 예방적 차원"이라는 입장입니다. 지난달 신용평가사들은 홈플러스 기업 어음, 단기 사채 신용 등급을 A3에서 A3-로 강등한 바 있습니다.
한편 홈플러스는 1997년 삼성물산 유통부문으로 대구에서 첫 매장을 선보인 이후 지난 30년 간 재무악화로 수차례 위기를 겪었습니다. 1999년 삼성물산은 영국 유통업체인 테스코에 경영권과 지분 49%를 넘겼지만, 이후 2014년 테스코가 분식회계 논란에 휘말리며 다시 매물로 나왔습니다.
2015년 MBK는 캐나다 연금투자위원회CPPIB, 싱가포르 테마섹 홀딩스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홈플러스 지분 100%를 약 7조 2,000억 원에 인수했습니다.
[지선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jsw990339@gmail.com]
MBN 화제뉴스
김주하 앵커 MBN 뉴스7 저녁 7시 진행
MBN 무료 고화질 온에어 서비스 GO!

관련링크
- 이전글"전세 무서워" 1인실 98만원에도 대학가서 인기 터진 이곳 25.03.09
- 다음글"클릭 몇 번으로 면세점 보다 싸게 샀어요"…김고은도 반한 알럭스[럭셔... 25.03.0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