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사태 판박이?…토이저러스 파산 과정보니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홈플러스 사태 판박이?…토이저러스 파산 과정보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5회 작성일 25-03-07 17:13

본문

- 노조 중심으로 대규모 실직 우려 목소리 거세져
- 2005년 사모펀드에 인수됐던 토이저러스 사례 회자
- LBO로 막대한 부채부담·납품사 공급중단 등 ‘유사’
- 당시 3000여명 실직, “사업경쟁력 강화 방안 내놔야”
[이데일리 김정유 기자] ‘홈플러스 사태’가 일파만파 확산하면서 납품업체들과 근로자들의 불안감을 확산시키고 있다. 이에 대주주인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의 무리한 차입경영에 대한 비판도 점차 거세지고 있다.

일각에선 2017년 파산한 글로벌 장난감 유통업체 ‘토이저러스’ 사례와 매우 유사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토이저러스도 사모펀드 KKR과 베인캐피털파트너 등이 차입인수LBO로 피인수됐다가 막대한 부채 부담에 무너졌다. 당시 수천명의 실직자를 야기시켰던만큼 홈플러스의 근로자들의 우려도 커진 모양새다.

홈플러스 사태 판박이?…토이저러스 파산 과정보니
사진=AFP
7일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에 따르면 MBK는 2015년 홈플러스 인수 후 지속적인 구조조정과 인력감축에 나서왔다. 홈플러스 근로자 수는 2015년 2만 6477명에서 지난해 2만 12명으로 약 10년간 6400여명 줄었다. 간접 고용 인력까지 포함하면 약 1만명이 감소했다는 것이 노조 측 주장이다. 노조는 홈플러스 기업회생 과정에서 근로자들이 대량 실직하는 구조조정 상황이 오지 않을지 우려하고 있다.


아직 기업회생 첫 단계인만큼 이 같은 노조의 우려는 과도하다는 주장도 나온다. 하지만 일각에선 과거 사모펀드의 무리한 차입경영으로 파산까지 이른 토이저러스 사태와 비슷한 상황인만큼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상 영업을 할 것”이라는 MBK와 홈플러스 측 설명과 달리 일부 납품업체들이 제품 공급을 중단하는 등 ‘회생 기업’ 딱지로 인한 시장과 소비자 신뢰도가 급격하게 떨어지고 있어서다.

토이저러스 사례는 2005년 KKR과 베인캐피털이 LBO 방식으로 75억 달러에 인수했지만 이후 막대한 부채 부담에 시달린 끝에 파산에 다달했던 사건이다. 토이저러스는 피인수된 뒤 한동안 보유금의 절반을 이자 상환 비용으로 지출해야 했다. 오프라인 유통업체의 경쟁력이라 할 수 있는 점포 확장, 판촉, 온라인 사업 성장 등을 강화할 여력이 부족했다.

당시 미국 유통시장은 아마존 등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업체들의 급부상으로 오프라인 업체들이 힘을 잃고 있던 상황이었다. 여기에 사모펀드의 무리한 차입경영까지 더해지면서 급속도로 경쟁력을 잃었다는 지적이다. 후폭풍은 상당했다. 토이저러스로부터 대금을 받지 못할 것을 우려했던 납품업체들은 순차적으로 제품 공급을 끊었다. 여기엔 장난감 1위 기업 ‘마텔’ 등도 있었는데, 시장 1등 기업이 이탈하자 납품업체들의 릴레이 공급 중단이 이어졌다.

경쟁력 있는 제품을 배치해 소비자를 오프라인 매장으로 이끌어야 하는 토이저러스 입장에선 타격이 컸다. 영업이 제대로 되지 않자, 토이저러스도 다른 납품업체들에게 지급할 대금이 지연되는 등 악순환이 지속됐다. 그 결과는 결국 파산보호 신청이었다. 본사의 약 3000명의 근로자가 실직했고, 전 세계 장난감 유통업계에도 타격을 입히는 등 후폭풍이 거셌다.

이 같은 토이저러스 사례는 현재 홈플러스 상황과 유사하다. 파산신청까지 가진 않았지만 온라인 환경에 밀린 오프라인 유통이란 산업적 환경 변화뿐만 아니라 사모펀드 MBK의 무리한 차입경영 속 막대한 부채 부담, 기업회생 신청으로 인한 납품중단 릴레이 등이 비슷하다. 홈플러스 근로자들이 최근 기업회생 신청 이후 벌어지는 혼란에 더 예민하게 반응하는 이유다.

특히 홈플러스는 차입금 상환을 위해 ‘매각 후 재임대’Samp;LB 방식을 도입, 자가매장을 임대매장으로 전환, 임대 비용으로 재무 구조가 더 악화됐다는 평가를 받는다. 소위 말하는 ‘알짜 매장’을 순차 매각하면서 대형마트 자체의 경쟁력도 잃었다는 지적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이마트와 롯데마트도 같은 영업환경 속에서 점포 구조조정을 했지만, 특화 매장 개편 등으로 선택과 집중한 반면 홈플러스는 그런 전략이 눈에 보이지 않았다”며 “MBK가 투자에 인색하다는 얘기들이 업계 내부에서도 많이 흘러나왔던 게 사실인데 단순 회피가 아닌, 사업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방안부터 내보여야 하지 않겠나”고 꼬집었다.

▶ 관련기사 ◀
☞ 尹 구속 취소에 지지자들, 구치소· 관저 몰려가…즉각 석방 구호
☞ 장제원 측 비서에 여자친구 제안? 인격살해 행위 멈춰라
☞ 시아버지가 이철규 의원...며느리도 대마 의혹 입건
☞ 화교라더니 애국 판사…‘尹 석방 지귀연 부장판사는 누구?
☞ 독일 공영방송, 한국 계엄 옹호 논란 다큐 방영 취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김정유 thec9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24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6,22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