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트럼프 韓 25% 상호관세 발표에 연이은 긴급 회의
페이지 정보

본문
한 대행, 긴급 경제안보전략 TF 주재...산업장관, 민관합동 관세 조치 대책 회의
![]() |
[로이터] |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 한국산 수입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정부가 긴급 대책 회의를 열고 대응 방향을 논의한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3일 오전 서울에서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에 ‘긴급 경제안보전략 TF태스크포스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미국이 상호관세를 발표된 직후 최대한 빠르게 우리 정부의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총리실이 전했다.
앞서 한 대행은 지난달 25일 그동안 경제부총리가 주재해온 대외경제현안간담회를 자신이 주재하는 경제안보전략TF로 격상했다.
미국 신정부 관세정책 등 대외 불확실성 증가에 대한 대응력을 제고하고, 통상과 안보 이슈 간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민·관 공동 대응 체계를 강화하겠다는 취지에서다.
한 대행은 이어 지난 1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서울공관에서 이재용 삼성그룹회장·최태원 SK그룹회장·정의선 현대차그룹회장·구광모 LG그룹 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첫 회의를 열었다.
또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오전 미국 관세 조치 대책 회의를 주재한다. 주요 경제단체와 업종별 협회·단체, 국책 연구기관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릴 회의에서 정부는 미국이 발표한 25%의 상호관세가 우리 업계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할 것으로 관측된다.
주요 경제단체와 업종별 협회·단체, 국책 연구기관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릴 회의에서 정부는 미국이 발표한 25%의 상호관세가 우리 업계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할 것으로 관측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한국 등 대미 주요 수출국을 대상으로 10∼49%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한국의 상호관세율은 25%로 베트남46%, 중국34%, 대만32%, 인도26% 등보다는 낮지만, 일본·말레이시아24%, 유럽연합EU·20%, 영국10% 등보다는 높다.
미국이 지난달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이날 전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대부분 상품을 무관세로 교역하던 한국의 수출 산업에 타격이 우려된다.
이에 정부는 반도체, 자동차, 철강 등 주요 업종에 대한 영향을 점검하고, 앞으로 수출에 미칠 파장을 분석하는 한편, 현지 생산 확대 등 대응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대미 수출은 전년도보다 10.4% 증가한 1278억달러, 대미 무역수지는 557억달러 흑자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 인기기사 ]
▶ 유승준 “다시 만나자” 깜짝 발언…‘23년째 진행형’ 병역 논란 쟁점은?
관련링크
- 이전글빗썸·모니모·스타벅스 싹쓸이…다가져간 KB, 은행도 1위 굳히기 25.04.02
- 다음글관세 54% 날벼락 中, 위안화 급락…"많은 결과 초래" 경고 25.04.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