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지출중 최다 식음료 물가, 전체 상승률의 2배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저소득층 지출중 최다 식음료 물가, 전체 상승률의 2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0회 작성일 25-04-02 11:46

본문

기사 이미지
■한경협 ‘소득분위별 분석’

식료품 최근 10년간 41% 올라

전체 소비자물가는 21% 상승

최빈층 체감물가 상승률 23%

소득 낮을수록 체감물가 높아

“농산물 수급 안정화 등 시급”


저소득층 가구의 소비 지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식료품·비주류음료의 10년 물가상승률이 전체 물가상승률보다 2배로 높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소득이 낮을수록 물가 상승으로 인한 부담이 그만큼 컸다는 얘기다.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유통규제를 개선하고 농산물 수입 다변화 등과 같은 정책적 변화가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최근 10년간2014∼2024년 소득분위별 소비자 체감물가 추이를 분석한 결과, 최빈층인 소득 1분위의 체감물가 상승률이 23.2%였다고 2일 밝혔다. 고소득층인 5분위20.6%보다 2.6%포인트 높은 수치다. 체감물가는 소비자들의 매년 실제 소비 패턴품목별 지출 비중을 반영해 산정한 물가다. 소득분위별 체감물가 상승률을 보면 2분위 22.4%, 3분위 21.7%, 4분위 20.9% 등 소득이 낮을수록 체감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를 연도별로 분석할 경우 최근 2019년부터 2024년까지 6년 중 2022년을 제외하고 1분위의 체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분위보다 매년 높았다. 이에 대해 한경협은 코로나19 직전부터 저소득층인 1분위의 체감물가가 5분위보다 지속해서 높게 유지돼왔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저소득층의 부담을 높인 주요 요인은 식료품비와 난방비 등 주거 관련 비용 상승으로 분석됐다. 통상 저소득층일수록 처분가능소득 대비 식비와 주거비 비중이 절대적으로 큰데, 이들 비용이 다른 분야보다 많이 올랐다. 지난해 기준 소득 1분위의 지출 비중이 높은 분야는 식료품·비주류 음료20.9%, 주택·수도·광열20% 등으로 식비와 주거비 등 생존과 직결된 영역에 집중돼 있었다. 1분위는 지출 비중이 가장 낮은 항목은 교육1.4%, 주류·담배2.0%, 의류·신발3.7%, 통신4.0% 등이었다.

지난 10년간 저소득층의 지출 비중이 가장 높은 식료품 물가는 41.9% 상승해 전체 물가상승률21.2%의 2배에 달했다. 같은 기간 주택·수도·광열 비용 또한 17.5% 올랐다. 반대로 고소득층인 소득 5분위에서 지출 비중이 높은 교통13.0%, 교육10.5%, 오락·문화9.0%의 물가상승률은 10년간 각각 5.3%, 10.6%, 9.2% 올라 전체 물가 상승률을 크게 밑돌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10년간 먹거리 물가가 크게 상승하며 취약계층의 체감물가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며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농산물 수급 안정화 대책을 마련하고 유통규제를 개선하는 한편 농산물 수입 다변화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용권 기자 freeuse@munhwa.com

[ 문화닷컴 | 모바일 웹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다음 뉴스 채널 구독 ]

[관련기사/많이본기사]

장제원 성폭행 피해자 대리인 김재련… ‘박원순 사건’ 피해자 변호도

[속보]이복현 금감원장 사의…“상법개정안 거부, 尹 이라면 달랐을 것”

8:0 파면이냐, 5:3 기각이냐… 재판관들, 선고일까지 평의

장제원 사망에 “죽을 용기로 살지…모욕 견디기 어려웠나”는 홍준표

尹선고 D-2…전원일치면 ‘이유’, 의견 갈리면 ‘주문’ 먼저 읽는다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023701-555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12
어제
1,992
최대
3,806
전체
950,80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