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인 줄 알았는데 지하실이…" 2550→870 역대 최저 공인중개사 개업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바닥인 줄 알았는데 지하실이…" 2550→870 역대 최저 공인중개사 개업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3회 작성일 25-03-11 08:43

본문

거래절벽 속 신규개업 감소, 1월 기준 역대 최저
직거래 시장 급성장…중개업 시장 위축 요인
"무등록·불법 중개 증가 우려… 제도 개선 추진"

1월 개점 공인중개사의 수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사상 처음으로 1000명 이하로 줄었다. 전통적으로 1월은 전년도 시험 합격자를 중심으로 연중 가장 개업이 활발한 시기이나, 서울이나 지방 가릴 것 없이 새로 문을 연 중개사의 수가 확 줄었다. 부동산 경기 침체의 여파가 시장 깊숙이 침투한 여파로 분석된다.

amp;quot;바닥인 줄 알았는데 지하실이…amp;quot; 2550→870 역대 최저 공인중개사 개업

부동산 시장이 호황이었던 2018년 1월에는 개업 공인중개사 수가 2550명에 달한 적도 있다. 그러나 2021년 2000명 선이 무너진 이후 꾸준히 감소세로 접어들면서 결국 올 1월 1000명 선 아래까지 내려왔다. 게티이미지

11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1월 개업한 공인중개사는 870명으로 집계됐다. 201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1월 개업 숫자가 가장 적었다. 전년 1월의 1118명과 비교하면 22.1% 감소했다. 같은 기간 폐업852명과 휴업118명을 선택한 공인중개사 합계는 970명으로, 문을 새로 연 곳보다 많았다.

지역 불문 전국 동시다발 감소…거래절벽 직격탄

부동산 시장이 호황이었던 2018년 1월에는 개업 공인중개사 수가 2550명에 달한 적도 있다. 그러나 2021년 2000명 선이 무너진 이후 꾸준히 감소세로 접어들면서 결국 올 1월 1000명 선 아래까지 내려왔다. 중개사 감소는 지역을 가리지 않았다. 공인중개사협회 산하 19개 지부 중에서 전남과 제주를 제외한 모든 지부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개업 숫자가 감소했다. 2024년 1월과 비교해 반토막 난 곳도 있었다. 대구59→24명와 대전34→16명 등이다.

부동산 거래가 줄어든 것이 인기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이다. 부동산 시장 호황기였던 2020년과 2021년 100만건을 웃돌았던 주택 거래량은 2022년 50만 수준으로 추락했다. 이후 2년에 걸쳐 조금씩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지난해 64만2576건으로 고점과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한때 ‘국민 자격증’으로 불렸던 공인중개사 시험의 인기 역시 내리막이다. 응시자 수가 2021년 39만9975명에서 지난해 21만5081명으로 줄었다. 반토막 수준이다.

ae_1741655944474_566954_2.jpg

경기 침체, 내수부진 등 대내외적인 악재로 인해 소상공인들의 폐업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 신촌의 한 상가밀집지역에 빈점포들이 즐비하다.

직거래 비중 치솟아…"무등록·불법 중개 많아"
ae_1741655944468_113742_1.png

직거래가 활발해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복기왕 의원실이 국토교통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11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성사된 부동산 거래 318만6963건 중에서 중개를 통한 거래는 54.2%172만8659건, 직거래는 45.8%145만8304건로 집계됐다. 중개와 직거래가 거의 ‘반반’ 수준이다. 대표적인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의 경우 2021년 268건에 불과했던 부동산 거래가 지난해 3만4482건으로 불어났다. 증가 폭이 3년 만에 100배가 넘는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거래절벽’과 직거래 비중 증가로 중개사 시장이 상대적으로 위축됐다"고 분석했다. 다만 "직거래 중 상당수가 무등록이나 불법 중개사를 통한 거래가 이뤄지는 경우가 많아 관련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행법이나 판례상 일회성 중개에 한해 무등록 중개행위를 처벌하지 않는다. 협회는 일회성이더라도 개업 공인중개사가 아닌 자가 중개 행위를 하는 것 자체를 금지하는 입법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ae_1741655944465_187454_0.jpg


오유교 기자 5625@asiae.co.kr

[관련기사]
주가하락은 시작에 불과?…"대규모 붕괴 이어질 것" 또 다시 경고한 부자아빠
"내 아들 결혼식이지만 가는게 맞나"…尹 탄핵심판에 재판관 고민
"지금까지 먹어본 최고의 딸기"…한 알 2만8000원 日딸기 뭐길래
"웃고 있는 신사임당"…5만원권 낯설다 했더니
참기름인데 낯익은 맛이…오뚜기 옛날참기름 부적합 판정 이유는

2025년 사주·운세·토정비결·궁합 확인!
다들 한다는 AI, 실패 사례로 배우는 AI 기술

lt;ⓒ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g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79
어제
1,871
최대
3,806
전체
952,24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