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김승연 세 아들 경영 승계 완료…유상증자 논란 잠재울까
페이지 정보

본문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 한화 제공
한화그룹의 지주사 격인 주한화는 31일 김 회장의 지분 22.65%의 절반인 11.32%가 세 아들에게 증여됐다고 공시했다. 증여 지분은 김동관 부회장 4.86%, 김동원 사장 3.23%, 김동선 부사장 3.23%씩이다. 이번 증여로 세 아들의 주한화 지분율은 42.67%가 돼 경영권도 승계된다. 다만 김 회장은 지분 증여 이후에도 그룹 회장직을 유지한다.
증여 후 주한화의 지분율은 한화에너지 22.16%, 김 회장 11.33%, 김동관 부회장 9.77%, 김동원 사장 5.37%, 김동선 부사장 5.37% 등이 된다. 이 중 한화에너지는 김동관 부회장이 50%, 김동원 사장과 김동선 부사장이 각각 2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한화에너지 지분을 주한화 지분으로 환산해 더할 경우 김동관 부회장의 지분율은 20.85%로 늘어 주한화의 최대주주가 된다. 이로써 김동관 부회장은 그룹 후계자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게 됐다.
지분 증여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로 인한 논란을 가라앉히기 위한 것이란 견해가 지배적이다. 군사장비와 화약을 생산하는 방산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20일 국내 자본시장 역사상 최대인 3조6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발표한 바 있다. 해외생산 거점 확대 등을 위한 투자 자금 확보를 이유로 들었지만 시장에선 거센 비판이 이어졌다. 김동관 부회장의 그룹 지배력을 높이기 위한 ‘비용’을 주주들에게 전가하려 한 것 아니냐는 것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유상증자에 앞서 한화오션 지분 7.3%를 한화에너지와 한화임팩트 등으로부터 1조3000억원을 들여 매입한 바 있다.
큰 폭으로 올라있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가는 유상증자 발표 다음날 13% 급락했다. 주한화의 주가 역시 비슷하게 떨어졌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거머쥐게 될 3조6000억원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최대주주인 주한화의 돈이 포함되기 때문이다.
한화 측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한화오션 지분 인수는 승계와 무관하다”고 여러차례 밝혔지만 분노는 식지 않았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조9000억원대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데다 지난해 1조700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둔 터라, 유상증자 불가피성을 설득하기 쉽지 았았다. 한화에너지가 확보한 한화오션 지분 매각대금이 승계 자금 아니냐는 설까지 돌았다. 한화에너지는 세 아들이 지분 100%를 갖고 있다.
논란이 커지자 김동관 부회장이 30억원의 사재를 털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 매입에 나섰지만, 금융감독원이 유상증자 증권신고서 정정을 요구하며 제동이 걸렸다.
결국 한화는 김승연 회장의 ‘지분 증여’로 편법 승계 우려의 고리를 끊었다.
한화는 이날 보도자료에서 “승계와 관련한 불필요한 논란과 오해를 신속하게 해소해 본연의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서 승계를 완료했다”면서 “지배구조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시급하고 절실한 대규모 해외 투자 등 글로벌 사업전략을 과감하게 실행하려는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화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에 대해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유럽 방산 블록화, 경쟁 방산업체들의 견제 등에 대응하기 위해 생존전략으로 유상증자를 결정했다”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한화오션 지분 인수 역시 승계와 무관하고, 두 회사의 글로벌 육해공 방산 패키지 영업을 위한 전략적 조치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지분 증여에 따른 승계 완료로 ‘한화·한화에너지 합병을 위해 한화의 기업가치를 낮춘다’는 오해가 바로잡히고, 주주가치 훼손에 대한 의구심도 해소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회장의 지분 증여로 김동관 부회장 등이 내야 할 증여세는 2218억원 규모다. 한화는 “방산, 조선해양, 우주항공 등 차세대 핵심 사업에 집중해 기업가치 제고에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송윤경 기자 kyung@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속보]한화 김승연 회장, ㈜한화 지분 11.32% 세 아들 증여…경영승계 완료
· 국힘 김미애, 장제원 겨냥 “누구든 돈과 권력으로 범죄 저질러선 안돼”
· ‘위헌’ 마은혁 미임명은 놔두고···문형배·이미선 후임 지명 요구한 여당
· “민중이 방심하면, 윤석열 같은 독버섯 생겨” 깨달음 얻었다는 소설가 현기영
· ‘서부지법 난입’ 혐의로 기소된 다큐 감독은 왜 무죄를 주장하나
· 윤건영 “검찰, 윤석열 구속취소 전후 문재인 전 대통령에 2차례 소환 요구”
· 이재명, 한덕수에 수차례 회동 제안…총리실, 사실상 거절
· [단독]2년전 ‘판박이 산불’로 백서까지 내고도 최악 산불 참사 못막았다
· 김수현 “미성년자 교제 아녔다”···고 김새론 유족 반박하며 소송전 알려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주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코오롱그룹, 서울대와 미래소재 연구개발…전문인력 양성 25.03.31
- 다음글한화에어로 11조 투자…유럽 방산시장 집중공략 25.03.3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