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계 논란 불식본연 사업 집중…증여 승부수 던진 한화 김승연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승계 논란 불식본연 사업 집중…증여 승부수 던진 한화 김승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3-31 18:16

본문

- 경영권 승계 논란 불식, 증여로 정면 돌파
- 김동관, 그룹 후계자 입지 공고히 다져
- 김동원·김동선, 각자 영역서 장악력 강화
[이데일리 하지나 기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31일 전격적으로 ㈜한화 지분 11.32%를 세 아들에게 증여한 건 최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를 비롯해 잇따른 한화그룹의 지배구조 개편 움직임이 경영권 승계를 위한 포석이란 시각이 잇따랐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즉, 선제적으로 그룹 승계를 마무리 지으는 정공법으로 경영권 승계를 둘러싼 모든 논란을 불식시키겠다는 게 김승연 회장의 복안인 셈이다.

승계 논란 불식본연 사업 집중…증여 승부수 던진 한화 김승연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20일 이사회를 열어 3조6000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결의했다. 유럽, 중동, 호주, 미국 등지에 전략적 해외 생산 거점을 확보해 2035년 전사 매출 70조원, 영업이익 10조원 규모 글로벌 톱티어Top Tier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하지만 시장에선 양호한 현금흐름을 보유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채권이나 차입이 아닌 유상증자를 선택한 데에 의문을 제기했다.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4년간 3~4조원의 잉여현금흐름을 창출하면 유상증자는 불필요한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유상증자 발표 직전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1조3000억원을 들여 한화오션 지분을 인수한 점도 논란을 키웠다. 회사 측은 방산과 조선해양 사업 간 시너지를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일각에선 경영권 승계를 위한 지배구조 강화에 현금을 사용하면서 정작 본업에는 주주 자금을 활용한다는 비판이 거셌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등 3형제가 100% 지분을 보유한 한화에너지가 기업공개IPO를 추진한 점도 경영 승계의 일환으로 보이기 충분했다. 업계에선 한화에너지를 상장한 후 그룹 지주사 역할을 하는 ㈜한화와 합병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지난해 7월 주식 공개매수를 통해 ㈜한화 지분 5.2%를 매입한 데 이어 11월에는 고려아연이 보유한 ㈜한화 지분 7.25%까지 확보했다. 한화에너지가 몸집을 키우는 동시에 ㈜한화의 기업가치가 하락할수록 합병 시 지분율 희석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해석도 나왔다.

이번 김승연 회장의 지분 증여로 이러한 논란을 해소할지 관심이 집중된다. 실제로 애초 이례적으로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힌 금융감독원은 지난 27일 “유상증자 당위성, 주주 소통 절차, 자금 사용 목적 등에서 투자자의 합리적 투자 판단에 필요한 정보의 기재가 미흡하다”면서 정정신고서를 요구했다.

이번 지분 증여로 ㈜한화의 지분 구조는 한화에너지22.16%, 김승연 회장11.33%, 김동관 부회장9.77%, 김동원 사장5.37%, 김동선 부사장5.37%으로 재편되며 사실상 그룹의 경영권 승계가 마무리됐다는 평가다. 세 아들이 한화에너지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어, 이들의 ㈜한화 지분율은 총 42.67%에 달하게 됐다. 방산·조선·에너지 사업을 이끌고 있는 김동관 부회장의 경우 그룹 지배구조의 최정점인 ㈜한화 지분을 바탕으로 그룹 후계자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할 것으로 관측된다. 김동원 사장과 김동선 부사장도 각각 한화생명을 중심으로 한 금융그룹 구축, 한화갤러리아를 지주사로 하는 계열 분리 등 각자의 사업 영역에서 장악력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회사 측은 “이번 지분 증여로 승계가 완료됨에 따라 시급하고 절실한 대규모 해외 투자 목적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를 승계와 연결시키는 억측과 왜곡은 불식될 것”이라면서 “또한 ‘㈜한화-한화에너지 합병을 위해 ㈜한화의 기업가치를 낮춘다’는 오해가 바로 잡히고, 주주가치 훼손에 대한 의구심도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 관련기사 ◀
☞ 김수현 "소아성애자·미성년자 그루밍? 고 김새론 증거 조작" 오열
☞ "기업 회생 없다더니" 말 바꾼 발란…결국 제2의 티메프 터졌다
☞ 김수현 측 고 김새론 유족 상대로 120억 상당 손해배상 청구 소송
☞ `장제원 성폭력` 피해자 측 10년 전 강남 호텔서 당했다
☞ "왜 중국이 지은 건물만 무너졌나"…태국 조사 착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하지나 hjina@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2,037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7,33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