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 수단인데? 전문가들도 갸웃…홈플 사태 어떻길래
페이지 정보

본문
"정상화" 말했지만…커지는 불신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갑작스레 홈플러스가 회생 절차에 들어가면서 입점 업체들의 불신은 커지고 있습니다. 홈플러스는 하루빨리 정상화하겠다고 했지만, 여전히 대금은 밀려 있는 상태입니다. 게다가 대주주인 MBK파트너스는 다른 기업 인수를 추진하고 있어 논란입니다.
전다빈 기자입니다.
[기자]
홈플러스의 깜깜무소식 대금 미납에 90여 명의 입점 업주들이 SNS 채널에 모였습니다.
[홈플러스 입점 업체 업주 : 6일까지 100분 정도 다 들어오셨다가 비밀번호를 걸어놔서…아직 공지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지금 다들 답답하신 분들 들어오신 거고…]
입점 업체들은 이번 사태가 다분히 의도적이라고 지적합니다.
[홈플러스 입점 업체 업주 : 악질적인 게 저희한테 대금을 납부해야 되는 날에 회생 절차를 신청했다고 하더라고요. 밤에. 업주들 대금까지 묶어놓고 신청을 한 거죠.]
홈플러스 측은 "다음 주 중 지급이 완료될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갑작스런 혼란을 야기한 대주주 MBK 파트너스의 책임론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통상 기업 회생 신청은 최후의 수단인데 선제적인 신청 의도가 의심스럽다고 지적합니다.
[박상인/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 : 의문들이 생기는 거죠. 청산으로 가려고 일부러 지금 회생 신청해서 자기들 빚도 좀 털어내면 좋고 그래서 하는가 하는 생각이…]
홈플러스 노조 역시 앞으로의 대량 해고나 청산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유통업계에선 MBK가 그동안 홈플러스 자체의 경쟁력 강화보단 현금 마련에 집중해 왔다고 분석합니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 이 사태는 MBK의 돈을 중심으로 한 그동안의 의사결정 때문"이라며 "의혹 해소 및 정상화를 위해 MBK가 좀 더 적극적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MBK는 다른 기업 인수를 계속 추진하고 있어 불신은 더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영상편집 백경화 / 영상디자인 조성혜]
전다빈 기자 chun.dabin@jtbc.co.kr
[핫클릭]
▶ 윤 대통령 구속 취소 후폭풍…법원 내부서도 "유감"
▶ "소신껏 결정" 검찰총장 발언하는 사이 들려온 외침이
▶ 문상호 "계엄 선포됐으니 모든 건 합법"…고문도 준비
▶ "최후 수단인데?" 전문가들도 갸웃…홈플 사태 보니
▶ 부메랑 된 폭탄발언…美 경제 감도는 미묘한 기류가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갑작스레 홈플러스가 회생 절차에 들어가면서 입점 업체들의 불신은 커지고 있습니다. 홈플러스는 하루빨리 정상화하겠다고 했지만, 여전히 대금은 밀려 있는 상태입니다. 게다가 대주주인 MBK파트너스는 다른 기업 인수를 추진하고 있어 논란입니다.
전다빈 기자입니다.
[기자]
홈플러스의 깜깜무소식 대금 미납에 90여 명의 입점 업주들이 SNS 채널에 모였습니다.
[홈플러스 입점 업체 업주 : 6일까지 100분 정도 다 들어오셨다가 비밀번호를 걸어놔서…아직 공지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지금 다들 답답하신 분들 들어오신 거고…]
입점 업체들은 이번 사태가 다분히 의도적이라고 지적합니다.
[홈플러스 입점 업체 업주 : 악질적인 게 저희한테 대금을 납부해야 되는 날에 회생 절차를 신청했다고 하더라고요. 밤에. 업주들 대금까지 묶어놓고 신청을 한 거죠.]
홈플러스 측은 "다음 주 중 지급이 완료될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갑작스런 혼란을 야기한 대주주 MBK 파트너스의 책임론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통상 기업 회생 신청은 최후의 수단인데 선제적인 신청 의도가 의심스럽다고 지적합니다.
[박상인/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 : 의문들이 생기는 거죠. 청산으로 가려고 일부러 지금 회생 신청해서 자기들 빚도 좀 털어내면 좋고 그래서 하는가 하는 생각이…]
홈플러스 노조 역시 앞으로의 대량 해고나 청산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유통업계에선 MBK가 그동안 홈플러스 자체의 경쟁력 강화보단 현금 마련에 집중해 왔다고 분석합니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 이 사태는 MBK의 돈을 중심으로 한 그동안의 의사결정 때문"이라며 "의혹 해소 및 정상화를 위해 MBK가 좀 더 적극적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MBK는 다른 기업 인수를 계속 추진하고 있어 불신은 더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영상편집 백경화 / 영상디자인 조성혜]
전다빈 기자 chun.dabin@jtbc.co.kr
[핫클릭]
▶ 윤 대통령 구속 취소 후폭풍…법원 내부서도 "유감"
▶ "소신껏 결정" 검찰총장 발언하는 사이 들려온 외침이
▶ 문상호 "계엄 선포됐으니 모든 건 합법"…고문도 준비
▶ "최후 수단인데?" 전문가들도 갸웃…홈플 사태 보니
▶ 부메랑 된 폭탄발언…美 경제 감도는 미묘한 기류가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관련링크
- 이전글홈플러스 사태, 커지는 MBK 책임론…고려아연 인수 시 우려 높아 25.03.10
- 다음글살 떨리는 난방비…작년보다 얼마나 올랐을까? 25.03.1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