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환율 막느라 38억달러 썼는데, 상호관세에 1500원 위기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치솟는 환율 막느라 38억달러 썼는데, 상호관세에 1500원 위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3-31 18:31

본문

- 작년 말, 비상계엄에 환율 1480원대
- 4분기 환율 165원 급등, 당국 개입 커져
- 올해도 탄핵 정국에 상호관세에 ‘고환율’
- “관세 강도 따라 환율 변동성 확대…상단 1500원”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비상계엄 사태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등으로 원·달러 환율이 1480원대까지 치솟자 지난해 4분기 외환 당국이 38억달러 규모를 팔아 시장 안정에 나섰지만, 환율 오름세가 좀처럼 진정되지 않고 있다.

탄핵 정국이 예상보다 길게 이어지는데다 미국의 상호관세까지 앞두며 환율은 종가 기준 지난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까지 올랐다. 시장에서는 오는 4월 2일현지시간 상호관세가 본격화하면 환율이 1500원대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치솟는 환율 막느라 38억달러 썼는데, 상호관세에 1500원 위기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비상계엄에 4분기 38억달러 팔았다


한국은행이 31일 공개한 ‘2024년 4분기 외환당국 순거래’에 따르면 외환 당국은 지난 4분기 시장 안정을 위해 외환시장에서 37억 5500만달러약 5조 5000억원를 순매도했다. 원화 가치가 하락하면서 달러를 매도해 외환보유액이 줄었다는 의미다. 당국은 통상 환율이 급히 변동하면 시장에 개입한다.

당시 환율은 종가 기준 지난 9월 말 1307.8원에서 12월 말 1472.5원까지 12.59%164.7원 치솟았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에 이어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당시에는 환율이 장중 한때 1486.2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이처럼 시장의 변동성이 확대하며 환율이 ‘심리적 저항선’에 가까워질 때마다 당국의 개입이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시장에서는 외환 총매수에서 총매도를 뺀 외환 순거래액이 올 1분기에도 순매도를 이어갔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올 들어서도 1400원대를 지속해온 환율은 31일 종가 1472.9원을 기록하며 금융위기 수준까지 치솟았다.

관세공포에 1500원 바라보는 환율

이날 엠피닥터에 따르면 환율은 기준 전 거래일 종가1466.5원보다 6.4원 오른 1472.9원에서 거래를 마쳤다. 주간 종가 기준으로 올해 연중 최고치이자, 금융위기 시절인 지난 2009년 3월 13일1483.5원이후 15년 9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기도 하다.

문제는 앞으로 환율 상승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가 코앞으로 다가오며 원·달러 환율이 1500원을 돌파하리라는 전망도 이어진다.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발표에 이어 4월 2일 미국의 상호관세 내용이 발표되면 글로벌 관세전쟁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특히 어느 국가가 ‘더티 15국’에 포함돼 상대적으로 높은 관세율을 적용받을지가 관심사다.

시장에서는 상호관세 발표가 원·달러 환율에 대형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실제 관세 부과 여부와 향후 협상을 두고 불확실성이 커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공격적인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그에 따른 물가 상승 우려가 커지자 한미 금리 차 역전 폭이 확대하리라는 예상도 원·달러 환율에 부담이 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예상과 달리 연 1회 금리인하에 그칠 가능성도 제기되면서다.

게다가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선고가 예상보다 지연되며 정국 혼란이 지속하고 내수 부진이 이어지는 점 역시 환율을 압박하는 모습이다.

상호 관세를 앞두고 외국인 투자자들의 이탈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날 국내 증시는 3% 급락했고 일본, 대만, 홍콩 등 주요국 증시도 급락하며 ‘검은 월요일’블랙 먼데이 공포가 현실화했다.

상호관세 우려에 글로벌 위험회피 심리가 강해지면서 안전자산인 달러화는 강세를 나타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최근 103에서 움직였으나 이날 장중에는 104를 상회했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상호관세 발표를 금융시장이 대형 악재로 인식할지 혹은 불확실성 해소로 판단할지에 따라 달러화 흐름도 큰 폭의 변동성을 보일 것”이라며 “상호관세와 함께 국내 정치 불확실성 장기화로 국내 성장률 전망치의 추가 하향 조정과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 상승세는 원화에 부담 요인”이라고 판단했다.

PS25033101373.jpg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 관련기사 ◀
☞ 김수현 "소아성애자·미성년자 그루밍? 고 김새론 증거 조작" 오열
☞ 김수현, 퇴장까지 눈물…김새론 언제 만났냐 질문에 보인 반응 [뒷얘기]
☞ 김수현 측 고 김새론 유족 상대로 120억 상당 손해배상 청구 소송
☞ 아이들 안고 냅다 달렸다…광주 어린이집 화재로 50여명 대피
☞ “女 하체 싱싱한 20대 후반 애 낳아야 ” 여고 남교사 발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이정윤 jyoon@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2,041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7,33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