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빅3, 수주 급감에도…中견제·친환경 수혜 기대
페이지 정보

본문
1분기 80억달러… 전년比 반토막
작년 카타르 대량 발주 기저효과
對中 제재·IMO 환경규제 강화 땐
‘반사이익’ 덕 보며 목표 달성 전망
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국내 조선 빅3의 1·4분기 수주가 전년 대비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카타르 프로젝트 대규모 발주 물량의 기저효과로 풀이된다. 수주 감소 악재에도 불구하고 조선업계에서는 올해 수주목표 달성에는 문제가 없다고 보고 있다. 오히려 미국의 중국 조선소 제재와 더불어 국제해사기구IMO의 탄소세 시행안이 확정되면 K-조선에 반사이익이 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1·4분기 국내 조선 빅3의 수주 총액은 80억4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149억달러 대비 46%가량 줄어든 규모다.
조선사별로는 HD한국조선해양이 탱커 2척 등 총 21척, 35억8000만 달러를 수주해 연간 목표180억5000만 달러의 19.8%를 달성했다. 삼성중공업은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1척 등 총 12척, 약 19억달러를 수주해 연간 목표98억달러의 19.4%를 달성했다. 한화오션은 LNG이중연료추진 초대형 컨테이너선 6척 등 총 11척, 약 25억6000만달러를 수주했다. 지난해 급감한 수주 실적은 지난해 카타르발 기저효과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 대형 조선 3사는 2023년 말부터 작년 초까지 카타르 측으로부터 LNG 운반선 44척을 수주했다. 모두 17만6000CBM급으로 HD한국조선해양 17척, 삼성중공업 15척, 한화오션 12척 등이다.
수주 실적 급감에도 불구하고 조선업계에서는 올해 수주 목표 달성에는 문제가 없다는 전망이다. 오히려 미국의 중국 견제 강화와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 K-조선에 반사이익을 볼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 조선업계에 따르면 최근 미국의 에너지 기업 엑손모빌은 중국에 발주했던 액화천연가스 벙커링 선박LNGBV 2척을 취소했다. 지난 24일현지시간 미국 무역대표부에서 중국 선박과 해운사에 수수료 부과를 논의한 공청회 이후 중국산 선박 건조 주문이 취소된 첫 사례다. 미국 정부는 미국에 들어오는 중국 선사의 선박에 100만달러약 15억원, 중국산 선박에 150만달러약 22억원 등 총 100만~300만달러약 15억~44억원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조선업계는 이달 7~11일 영국 런던에서 열리는 국제해사기구IMO 회의도 주목하고 있다. 제83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에서는 2027년 시행하기로 합의한 해운 탄소세 금액이 확정될 것으로 관측된다. 해운 탄소세 금액이 확정된다면 세계 각국이 일괄적으로 특성 산업 분야에 탄소세를 매기는 첫 번째 사례가 된다.
세계은행은 해운 탄소세가 1t당 100달러 수준으로 책정된다면 2025년부터 2050년까지 매년 글로벌 해운업계가 부담해야 하는 금액은 최대 600억달러약 88조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조선소들은 세계적으로도 친환경 선박 건조 기술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라며 "IMO 환경규제와 더불어 미국의 대중국 제재가 현실화되면 K-조선의 성장이 물을 만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동호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 개그맨에게 가슴 성추행 당한 여배우 "중요 부위 내가 만지면.."
→ 장제원 고소 여비서 "상사에게 얘기했었는데.." 뜻밖 반응
→ 단독주택에서 발견된 남녀 시신, 둘 관계 알고보니.. 소름
→ 래퍼 노엘, 父장제원 사망 후 심경 "다행히..." 고백
→ "산책했을 뿐인데..." 66세 여성, 10번째 출산 화제
작년 카타르 대량 발주 기저효과
對中 제재·IMO 환경규제 강화 땐
‘반사이익’ 덕 보며 목표 달성 전망
![]() |
1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1·4분기 국내 조선 빅3의 수주 총액은 80억4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149억달러 대비 46%가량 줄어든 규모다.
조선사별로는 HD한국조선해양이 탱커 2척 등 총 21척, 35억8000만 달러를 수주해 연간 목표180억5000만 달러의 19.8%를 달성했다. 삼성중공업은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1척 등 총 12척, 약 19억달러를 수주해 연간 목표98억달러의 19.4%를 달성했다. 한화오션은 LNG이중연료추진 초대형 컨테이너선 6척 등 총 11척, 약 25억6000만달러를 수주했다. 지난해 급감한 수주 실적은 지난해 카타르발 기저효과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 대형 조선 3사는 2023년 말부터 작년 초까지 카타르 측으로부터 LNG 운반선 44척을 수주했다. 모두 17만6000CBM급으로 HD한국조선해양 17척, 삼성중공업 15척, 한화오션 12척 등이다.
수주 실적 급감에도 불구하고 조선업계에서는 올해 수주 목표 달성에는 문제가 없다는 전망이다. 오히려 미국의 중국 견제 강화와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 K-조선에 반사이익을 볼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실제 조선업계에 따르면 최근 미국의 에너지 기업 엑손모빌은 중국에 발주했던 액화천연가스 벙커링 선박LNGBV 2척을 취소했다. 지난 24일현지시간 미국 무역대표부에서 중국 선박과 해운사에 수수료 부과를 논의한 공청회 이후 중국산 선박 건조 주문이 취소된 첫 사례다. 미국 정부는 미국에 들어오는 중국 선사의 선박에 100만달러약 15억원, 중국산 선박에 150만달러약 22억원 등 총 100만~300만달러약 15억~44억원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조선업계는 이달 7~11일 영국 런던에서 열리는 국제해사기구IMO 회의도 주목하고 있다. 제83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에서는 2027년 시행하기로 합의한 해운 탄소세 금액이 확정될 것으로 관측된다. 해운 탄소세 금액이 확정된다면 세계 각국이 일괄적으로 특성 산업 분야에 탄소세를 매기는 첫 번째 사례가 된다.
세계은행은 해운 탄소세가 1t당 100달러 수준으로 책정된다면 2025년부터 2050년까지 매년 글로벌 해운업계가 부담해야 하는 금액은 최대 600억달러약 88조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조선소들은 세계적으로도 친환경 선박 건조 기술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라며 "IMO 환경규제와 더불어 미국의 대중국 제재가 현실화되면 K-조선의 성장이 물을 만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동호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 개그맨에게 가슴 성추행 당한 여배우 "중요 부위 내가 만지면.."
→ 장제원 고소 여비서 "상사에게 얘기했었는데.." 뜻밖 반응
→ 단독주택에서 발견된 남녀 시신, 둘 관계 알고보니.. 소름
→ 래퍼 노엘, 父장제원 사망 후 심경 "다행히..." 고백
→ "산책했을 뿐인데..." 66세 여성, 10번째 출산 화제
관련링크
- 이전글오영주 장관 "산불 피해 中企 일상복귀 도울 것" 25.04.01
- 다음글김동관 부회장 등 한화에어로 임원진, 90억 규모 자사주 릴레이 추가 매입 25.04.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