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배터리 빅3 점유율, 4년 만에 절반 가까이 하락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K배터리 빅3 점유율, 4년 만에 절반 가까이 하락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8회 작성일 24-12-10 00:36

본문

흔들리는 배터리 생태계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LG에너지솔루션엔솔·SK온·삼성SDI 등 K배터리 ‘빅3′의 점유율이 4년 만에 절반 가까이 줄었다. 9일 시장조사 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10월 배터리 3사의 점유율은 20.2%로, 최고치였던 지난 2020년34.7%에 비하면 4년 새 14.5%포인트 감소했다.

K배터리는 반도체·자동차 등을 이을 한국 산업의 차세대 주력 산업으로 꼽혀왔다. 2020~2022년 전후만 해도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 판매되는 전기차 10대 중 3~4대는 한국 기업의 배터리가 탑재되며 승승장구했다. 하지만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이 이어지는 데다 전기차 보조금 등을 반대하는 트럼프 2기 정부 출범까지 앞두고 있어 불확실성이 더욱 커진 상태다. 트럼프 당선인은 바이든 정부 때 도입된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등 전기차·배터리 보조금을 대폭 축소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배터리 업계는 사업 다각화와 기존 투자 계획을 최대한 늦추는 방안을 통해 ‘전기차 보릿고개’를 넘겠다는 계획이다. 배터리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 기업들은 배터리 시장 규모 자체가 쪼그라드는 상황 속에서 뾰족한 대안을 찾지 못해 우려가 크다.


그래픽=김성규

그래픽=김성규

◇K배터리 불황 속 다각화

한국 배터리 기업들의 주력 시장인 미국·유럽에 비해 중국에서만 성장세가 유지되면서 중국 기업에 시장 점유율을 뺏기고 있다. 올해 1~10월 글로벌 전기차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포함 판매량은 약 1356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24% 늘었다. 하지만 증가율의 상당 부분은 중국 내수 몫이다. 중국을 뺀 미국, 유럽 등 나머지 시장에서의 판매는 이 기간 5.6% 늘어나는 데 그쳤다. 중국 자동차 기업들은 대부분 자국 배터리 기업의 제품만 쓴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부진은 배터리 3사의 공장 가동률에 반영되고 있다. 2022년 말만 해도 70~80%에 달했던 공장 가동률은 3분기 기준 삼성SDI가 68%, LG엔솔이 60%, SK온이 46% 안팎에 그쳤다. 미국 IRA를 근거로 받은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액을 빼면 3사 모두 지난 3분기 적자를 기록했다.

LG엔솔의 경우 이런 상황을 넘어서기 위해 최근 각형 배터리 개발을 시작했다. CATL 등 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주력으로 삼았던 제품이다. 그간 LG엔솔 등 한국 기업들은 주머니 형태를 띤 파우치형 배터리를 주로 개발해왔지만 중국 배터리 기업 추격을 위해서 제품 다각화에 나선 것이다. 미국 테슬라가 주도하면서 벤츠 등이 채택하고 있는 원통형 배터리도 개발해 판매를 늘릴 예정이다.

SK온 역시 동시에 각형과 원통형 개발·양산을 준비 중이다. 또 포드와 합작한 블루오벌SK의 켄터키 2공장 공사 속도를 늦추고, 가동 일정도 미루는 등 생산 시설 재편에도 나서고 있다. 삼성SDI는 2027년 양산을 목표로 ‘전고체 배터리’ 등에 주력하고 있다.

그래픽=김성규

그래픽=김성규

◇공급망 전체의 문제로

배터리 소재·부품·장비 산업에 닥친 위기는 더 크다. 주요 기업은 공장 가동을 멈추거나 사업 계획을 대폭 미루는 등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배터리 4대 소재인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을 생산하는 국내 대표 기업 8곳 중 7곳은 올해 3분기 적자를 기록했다.

국내 유일 음극재 생산 기업인 포스코퓨처엠의 공장 가동률은 2022년 60%대에서 최근 약 15%로 급감했다.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다. 국내 1위 양극재 생산 기업 에코프로비엠은 2027년까지 생산 규모를 22만t에서 71만t으로 늘리기로 했는데, 이 목표를 3년 뒤인 2030년으로 미뤘다. 배터리 제조사 SK온, 완성차 기업 포드와 2026년 양산 목표로 추진하던 캐나다 공장도 불투명해졌다. 작년 약 2조6000억원에 일진머티리얼즈 인수를 완료하고, 신사업으로 배터리용 동박을 확대했던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도 내년 완공 예정이었던 스페인 생산 공장을 2년 후로 미뤘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 이 고비를 넘지 못하면 힘들게 일군 배터리 생태계가 고사할 수 있는 상황인데, 각종 지원책이 절실한 상황에서 국내 정치가 혼란스러워 불확실성만 더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 조선닷컴 바로가기]
[ 조선일보 구독신청하기]

정한국 기자 korejung@chosun.com 이정구 기자 jglee@chosun.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2,005
어제
2,066
최대
3,806
전체
792,42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