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행동주의 주체는 기관투자자 아닌 소액주주"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주주행동주의 주체는 기관투자자 아닌 소액주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1회 작성일 25-03-09 15:01

본문

quot;주주행동주의 주체는 기관투자자 아닌 소액주주quot;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상장사를 대상으로 주주행동주의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관투자자 대신 소액주주들이 주요 주체로 나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류 변화에 기업들도 소액주주를 위한 다양한 소통방안을 준비하고 있었다.

9일 대한상의가 300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주주행동주의 확대에 따른 기업 영향 조사에 따르면 상장기업의 40%는 최근 1년사이 주주들로부터 주주관여를 받은적이 있다고 답했다. 주주관여는 경영진과의 대화, 주주서한, 주주제안 등 기업 경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기 위한 주주행동주의 활동을 의미한다.

주주관여의 주요 주체는 과거 연기금·사모펀드 등 기관투자자에서 소액주주로 변화하고 있었다. 주주관여를 받았던 기업의 90.9%복수응답는 소액주주 및 소액주주연대가 주주행동주의의 주체라고 답했다. 연기금은 29.2%, 사모펀드 및 행동주의펀드는 19.2%였다.


주주관여의 구체적 내용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배당확대61.7%, △자사주 매입·소각47.5%, △임원의 선·해임19.2%, △집중투표제 도입 등 정관변경14.2% 등 이었다고 답했다.

주주행동주의 확대에 대한 기업의 대응 방안을 묻는 질문에는 ‘주주와의 소통 강화’를 준비하고 있다는 답변이 61.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면담·letter·제안 등에 대한 대응매뉴얼 마련30.7% △사외이사·여성이사 수 확대 등 이사회 구성 변경14.0% △법적 대응 준비4.0% 등이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는 “국내 주주행동주의가 최근 온라인 플랫폼 발달 및 밸류업 정책과 맞물리며 소액주주로 주도권이 옮겨간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만 소액주주들의 요구사항은 주로 배당확대와 자사주 매입·소각 등 단기적 이익에 초점이 맞춰져있다”고 말했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722
어제
1,992
최대
3,806
전체
951,11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