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억 넘던 집값이…" GTX 개통만 기다렸던 집주인들 패닉
페이지 정보

본문
"GTX에 9억 넘던 집값이 4억대로 뚝"
GTX 발표·착공 때 급등한 운정 집값…개통 후엔 하락
개통만 기다린 집주인들…매물은 16% 급증
GTX 발표·착공 때 급등한 운정 집값…개통 후엔 하락
개통만 기다린 집주인들…매물은 16% 급증

사진=뉴스1
운정신도시 집값이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A 노선 운정중앙역~서울역 구간 개통에도 침체가 계속되고 있다. 교통 호재가 선반영됐고 상급지로 평가되는 일산 집값이 약세를 보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파주시 목동동 운정화성파크드림시그니처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4억9800만원23층에 거래됐다. 1월 4억8500만원12층에 비해 소폭 올랐지만, GTX에 대한 기대감으로 집값이 상승하며 기록한 최고가 9억5000만원25층에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그친다.

서울역 내 운정중앙역 방향 GTX-A 탑승구역 모습. 사진=연합뉴스
GTX 운정중앙역 인근 다른 아파트들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목동동 산내마을9단지힐스테이트운정 전용 59㎡는 지난달 4억8000만원25층에 손바뀜됐다. 전달 5억2900만원15층과 비교해 한 달 만에 5000만원가량 내렸다. 최고가인 7억3000만원12층과 비교하면 2억5000만원 하락했다.인근 산내마을6단지한라비발디도 지난달 전용 84㎡가 4억2000만원24층에 팔렸다. 최고가인 6억2800만원15층보다 2억원 넘게 낮은 액수다. 운정신도시센트럴푸르지오 전용 84㎡ 역시 지난달 6억3100만원2층에 거래되면서 최고가인 9억4000만원13층에서 3억원 넘게 떨어졌다.

경기 파주시 동패동 GTX-A 운정중앙역 1번 출구.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12월 GTX A노선 운정중앙역~서울역 구간이 개통하면서 파주 운정신도시에서 서울역까지 22분 주파가 가능해졌다. 기존에 1시간 반가량 걸리던 것과 비교하면 접근성이 크게 개선됐다. 서울 접근성이 대폭 개선된 만큼 지역 부동산 업계에서는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도 나왔지만, 현실은 달랐다.목동동 한 개업중개사는 "GTX A노선 계획이 발표된 시기와 착공하던 시기에는 일대 집값이 급등했다. 반년 사이 2억원은 올랐을 정도"라며 "개통 시점에도 집값이 오르길 기대해 호가를 높인 집주인이 많았는데, 정작 지난해에 비해 매수자도 줄고 가격도 하락했다"고 푸념했다.
다른 개업중개사도 "GTX가 개통하면서 서울 전세살이를 끝내고 운정에 내 집을 마련하겠다는 매수자들이 일부 있다. 이들로 인해 신고가를 경신한 단지도 나왔다"면서도 "어디까지나 일부의 이야기이고, 대부분은 지난해 말에 비해 다소 가격이 내린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3월 넷째 주 파주시 집값은 0.05% 내리면서 6주 연속 하락했다. 파주시 집값은 올해 들어서만 0.17% 떨어졌다. GTX 개통을 기다렸다가 매물을 내놓는 집주인이 몰리면서 매물 적체도 한층 심화했다.

운정신도시 전경. 사진=파주시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운정중앙역 개통일인 지난해 12월 28일 5453건이던 파주시 아파트 매물은 이달 5일 6329건으로 16% 늘어났다. 같은 기간 경기도 아파트 매물 증가율인 9.1%를 훌쩍 뛰어넘는 수치다.부동산 업계에서는 GTX 호재가 가격에 선반영돼 개통 후에도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더해 대출 규제와 탄핵 정국으로 매수심리가 위축됐고, GTX A노선을 공유하면서 파주보다 서울에 가까운 고양시 집값이 약세를 보이는 점도 운정신도시 집값이 오르지 않는 원인으로 꼽는다.
한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저금리 시기와 GTX 착공 시점이 맞물리면서 운정신도시 일대 집값이 투기적으로 상승한 측면이 있다"며 "올해와 내년 입주 물량도 1만가구에 육박해 당분간 상승을 기대하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울과 더 가까운 일산 집값이 일산테크노밸리 개발과 선도지구 재건축 등 이슈에도 하락세를 유지하는 중"이라며 "특히 킨텍스역 주변 아파트 집값도 약세를 보이면서 운정신도시 집값 상방을 누르는 효과를 내고 있다"고 덧붙였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관련링크
- 이전글상품권 중단·신용 등급 바닥은 예고편…파장 커지는 홈플러스 사태 25.03.06
- 다음글"비타민 반값이라 좋았는데…" 다이소 건기식 철수, 왜? [수민이가 화났... 25.03.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