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부산 KTX 요금 7만 원으로 오르나?…코레일 17% 인상 추진 > 경제기사 | econom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경제기사 | economics

서울~부산 KTX 요금 7만 원으로 오르나?…코레일 17% 인상 추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4회 작성일 25-03-07 04:31

본문

24%까지 검토했다 17% 확정
물밑 정부 설득 작업에 착수
해마다 수천억 영업적자 부담
전문가 "인상 시기라도 결정을"
서울~부산 KTX 요금 7만 원으로 오르나?…코레일 17% 인상 추진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이 고속철도KTX 운임을 서울~부산 기준 5만9,800원에서 7만 원으로 올리는 인상안을 추진한다. 운임을 14년째 동결한 만큼, 올해는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6일 철도 업계에 따르면 코레일 여객사업본부는 최근 운임 인상률 목표치를 17%로 확정하고 물밑에서 정부 설득 작업에 착수했다. 철도 운임은 국토교통부가 기획재정부와 협의해 상한을 고시하면 코레일이 최종 결정한다. 마지막 KTX 운임 고시는 2011년 11월이었다.

코레일은 당초 24% 인상안까지 검토한 것으로 확인됐다. 운임 동결 기간 소비자물가상승률과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국민 부담과 반발을 우려해 최종 인상률 목표치를 낮췄다. 업계 관계자는 "코레일 안팎에서는 두 자릿수 인상률만 관철해도 성공이라는 분위기"라고 귀띔했다.

이에 대해 코레일은 "하반기 인상을 목표로 인상률을 산정한 것이 맞다"면서도 "아직 내부 검토 단계"라고 말을 아꼈다. 코레일은 운임 인상을 공론화하는 대신 임원이 학계 토론회에 참가하는 등 우회적으로 여론을 조성하고 있다.

운임 인상 요구에는 나름 명분이 있다. KTX 열차 절반 이상이 2033~2034년 한꺼번에 퇴역해 수조 원에 달하는 대체 비용 마련이 시급하다. 해마다 수천억 원씩 발생하는 영업적자도 고질적 문제다. 영업적자는 코로나19가 유행한 2020년 1조 원을 넘었고 2023년에도 4,415억 원에 달했다. 운영비를 충당하려 공사채를 찍으니 부채와 이자 비용이 치솟는다. 부채는 같은 기간 17조4,000억 원에서 20조4,000억 원으로 불어났다. 2023년에는 하루 10억 원꼴로 이자 비용이 발생했다.

9673a3bb-cd31-4872-8ad6-c9e0dc0b89fe.jpg

철도 운임을 대폭 인상한 사례가 없는 것은 아니다. 정부가 운영비를 직접 보조하는 민자사업BTO인 공항철도는 직통 열차 운임을 지난해 12월 1만1,000원에서 1만3,000원으로 18% 올렸다. 민자사업자와 정부가 맺은 실시협약 운임1만8,700원보다는 아직 낮지만 2023년 1,500원을 인상한 뒤 1년 만에 또 올렸다. 국토부는 "직통 열차 이용자가 급증했고 승객 86%가 외국인"이라며 "공항철도 적자 운영으로 정부 부담이 가중돼 운임을 조정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KTX 운임 인상이 연내 가능할지는 미지수다. 정부는 지난해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공공요금 인상이 불가피한 경우, 시행 시기를 이연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올해는 정국까지 혼란해 정부 부담이 더 크다. 국토부는 운임 동결로 철도 사업자가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경영평가 제도를 개편할 방침본보 3월 5일 자 보도이다.

전문가들은 문제를 덮어놓으면 후폭풍만 키운다고 경고한다. 전현우 서울시립대 자연과학연구소 연구원은 "정권 입장에서는 공공요금을 건드려 좋을 것이 하나도 없다"면서도 "운임을 올려도 좋을 외부 조건이 갖춰질 시기는 오지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언젠가는 곪아 터질 문제, 누군가는 인상을 결정해야 한다는 얘기다.

연관기사
#x2022; KTX 운임 못 올리니 땜질?…코레일 경영평가 제도 개편한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30416150001816
#x2022; KTX 열차 과반 한꺼번에 퇴역…교체비 6조 원 어디서 구하나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30613510003919

김민호 기자 kmh@hankookilbo.com

관련기사
- 누구도 검증 안 한 틀린 좌표… 원칙 탓 2호기도 따라 쐈다
- 홍준표 트럼프와 담판 배짱 나 말고 누가 있나 [인터뷰]
- 이재용 회장에게서 국내 주식 부자 1위 빼앗은 이 사람
- 추성훈 야노 시호와 정확한 정산... 계좌이체가 일상
- [단독] 전광훈 자금줄 종교법인 감시 없이 그냥 믿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74
어제
1,992
최대
3,806
전체
950,37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