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 절반 이상은 억대 연봉…5년 새 6배 넘게 증가
페이지 정보

본문

차준홍 기자
31일 재계에 따르면 연결기준 매출 상위 100대 기업비금융 상장사의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을 넘은 기업은 총 55개로 집계됐다. 이같은 ‘1억원 클럽’에 속하는 대기업은 최근 5년간 증가하는 추세다. 2019년 9개에 불과했으나 2020년 12개, 2021년 23개, 2022년 35개, 2023년 48개, 지난해 55개로 늘었다. 5년 새 6.1배 늘어난 것이다. 특히 지난해에는 현대글로비스1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1억1800만원, KTamp;G1억700만원 등 7개 기업이 새로 1억원 클럽에 이름을 올렸다.

점심시간이 지난 오후 한 직장인이 걸음을 옮기고 있다. 기사 본문 내용과 직접적인 관계 없음. 뉴스1
업종별로는 에너지 기업의 연봉이 높았다. 에쓰오일1억5400만원, SK이노베이션 1억5800만원, E11억2000만원, SK가스1억1900만원 등 에너지 기업들의 평균 연봉은 이마트5100만 원, 롯데쇼핑5250만 원 등 유통·식품 기업에 비해 약 3배에 달했다.
매출 상위 10대 기업의 전체 평균 근속연수는 12년 6개월로 나타났다. 직원 평균 근속연수가 가장 긴 기업은 기아로, 21년 8개월을 기록했다. 반면 HD현대그룹의 지주사인 HD현대는 2년 8개월로 가장 짧았다. HD현대 관계자는 “계열사와 지주사HD현대를 오가는 경우가 있어 근속연수가 짧게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HD현대를 제외한 나머지 기업 9곳은 모두 평균 근속연수가 10년 이상인 걸로 나타났다.

차준홍 기자
양근원 한국경영자총협회 임금HR정책팀장은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의 연봉상승 폭이 가팔라 노동시장의 이중구조가 심화되고 있다”며 “생산성 개선 없이 임금만 오른다면 기업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노유림 기자 noh.yurim@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신정아 "尹 무서워 오줌쌌다"…조사실서 무슨일이
▶ 남편이 성폭행한 10대, 4번 찾아간 60대 아내 결국
▶ "두 시신, 따로 옮겨라"…한날 죽은 예비부부 비극
▶ "싱크홀에 딸급식이 빵" 불만 올린 전 아나운서 결국
▶ 손 묶인 채 車트렁크에 갇혔다…악몽의 5시간, 뭔일
▶ 휴대폰 수리 맡겼다가…2억 뜯긴 90대, 무슨 일
▶ "난 여성 아닌 여장남자"…3200만 中쯔양 충격 고백
▶ "난 동성애자"…하이브 걸그룹 멤버 깜짝 커밍아웃
▶ 쥐 이어 바퀴벌레 나왔다…日 3대 규동 식당 발칵
▶ 공짜 와인 깔렸다…캘리포니아의 로드트립 유혹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노유림 noh.yurim@joongang.co.kr
관련링크
- 이전글두산퓨얼셀, 한국전력기술과 맺은 4천억 연료전지 공급계약 해지 25.03.31
- 다음글한화생명·현대해상, 킥스 방어 자본성 증권 발행 5조 넘어 25.03.3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