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공급망 최적화 및 기술 경쟁력 확보 나서야"
페이지 정보

본문
포퓰리즘 확산, 글로벌 지정학적 환경 격변 예고
2025년 6대 글로벌 지정학적 트렌드 ▲보호무역주의 확산 ▲신흥국 경제 블록화 ▲반이민 정책 확대 및 노동시장 변화 ▲친환경 전환 속도 둔화 ▲ AI 생태계 장악 경쟁 ▲우주 경제 패권 시대
세계 경제 재편 속 정책 방향 전환과 신기술 경쟁 심화에 회복탄력적 전략 필수
글로벌 포퓰리즘 확산으로 올해 전 세계가 급격한 지정학적, 경제적, 인구학적 변화를 맞이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선택적 세계화, 반反이민 및 친환경 정책 방향 전환, 인공지능AI 및 우주 등 신기술 패권 경쟁이 2025년 주요 글로벌 지정학적 트렌드로 부상해 기업 전략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EY한영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포퓰리즘 확산으로 선택적 세계화, 정책 방향 전환, 신기술 패권 경쟁이 2025년 주요 글로벌 지정학적 트렌드로 부상했다.
28일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EY한영대표이사 박용근 산업연구원은 EY 전략지정학적 비즈니스 그룹EY Geostrategic Business Group의 2025 EY 전략지정학적 전망2025 EY Geostrategic Outlook 리포트를 바탕으로 올해 대두될 6대 글로벌 지정학적 트렌드와 불확실성이 가중된 시장에서 국내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는 지정학적 시나리오 분석 및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EY한영 산업연구원이 꼽은 2025년 글로벌 산업을 뒤흔들 6대 지정학적 트렌드는 ▲보호무역주의 확산 ▲신흥국 경제 블록화 ▲반이민 정책 확대 및 노동시장 변화 ▲친환경 전환 속도 둔화 ▲AI 생태계 장악 경쟁 ▲우주 경제 패권 시대다.
지난해 선거 슈퍼사이클Elections Supercycle 이후 각국에서 보수 포퓰리즘 정당이 약진하면서 올해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신흥국 경제 블록화로 대변되는 선택적 세계화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 경제권은 관세와 무역 규제를 통해 자국 산업 보호에 나서는 한편, 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GCC걸프협력회의 등 신흥 경제권은 상호 협력을 강화해 기존 선진국 중심의 경제 질서를 재편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글로벌 공급망이 경제 협력 관계를 중심으로 재편되고 복잡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기업들은 지정학적 관계와 인센티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적의 공급망을 구축하고 물류·생산 전략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포퓰리즘 확산에 따른 이민 및 환경 규제 등 정책 방향이 전환될 것으로 내다봤다. 진보적 가치에서 전통적 가치로 돌아서는 흐름에 따라 미국, 캐나다, 독일 등 기존 친親이민 국가들이 반이민 정책으로 선회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저비용 노동력 감소와 인건비 상승이 불가피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따라서 기업들은 인력 운용 전략을 재정비하고 자동화 시스템 도입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친환경 기술 도입이나 탄소중립 투자 또한 AI 산업 육성 등 경제적 이익 우선 정책에 밀려 전환 속도가 다소 지연될 가능성이 있으며, 원자력·화력 발전 등 기존 에너지원 활용 재검토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바라봤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에너지 전략을 유연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AI 생태계 장악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반도체, 데이터, 사이버보안 등 핵심 기술 분야에서 국가 간 패권 다툼이 가속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각국이 AI 기술 내재화와 동맹국 협력을 강화하는 흐름에 발맞춰, 기업들은 AI 리스크 관리와 데이터·지적 재산 보호를 위한 인프라와 거버넌스 체계 구축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우주 탐사와 위성, 발사체 등을 비롯해 다양한 산업과 연계되는 우주 경제 패권 시대가 본격 도래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가 안보 및 상업화를 위한 민관 협력이 활발해지면서 항공·방산·에너지·통신 등 연계 산업에도 큰 파급 효과가 있을 것이고, 우주 자원 확보와 기술 패권 경쟁에 따른 지정학적 분쟁 가능성도 커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우주 산업과 시너지 낼 수 있는 신규 사업 기회를 발굴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EY한영 산업연구원이 6대 지정학적 트렌드가 각 산업별로 미칠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첨단 제조 및 소비재 산업은 공급망 다변화 전략 마련이 필수이며, AI·데이터 규제 강화 흐름 속에서 보안 및 규제 준수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해질 것으로 예측했다.
에너지 산업은 데이터센터 수요 급증으로 대규모 전력 공급이 가능한 발전소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친환경 정책 변화에도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사모펀드PE 산업은 AI·우주 산업 등 하이테크 분야에서 투자 기회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보호무역주의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로 자금 조달 및 투자 심리가 위축될 여지가 있다고 분석했다.
권영대 EY한영 산업연구원장은 "글로벌 사업을 영위하는 국내 기업들은 신흥 경제권 투자 확대와 중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을 검토하는 동시에, 노동력 부족 및 인건비 상승, 친환경 규제 변화에 대응할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AI 및 우주 경제 패권 경쟁이 본격화되는 만큼 산업별 맞춤형 AI 도입 전략을 고도화하고, 우주 산업과 연계한 신사업 기회를 모색해야 한다.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정책 지원과 민관 협력 생태계 조성도 중요하다"고 전했다.
조세일보 / 이현재 기자 rozzhj@joseilbo.com
2025년 6대 글로벌 지정학적 트렌드 ▲보호무역주의 확산 ▲신흥국 경제 블록화 ▲반이민 정책 확대 및 노동시장 변화 ▲친환경 전환 속도 둔화 ▲ AI 생태계 장악 경쟁 ▲우주 경제 패권 시대
세계 경제 재편 속 정책 방향 전환과 신기술 경쟁 심화에 회복탄력적 전략 필수
글로벌 포퓰리즘 확산으로 올해 전 세계가 급격한 지정학적, 경제적, 인구학적 변화를 맞이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선택적 세계화, 반反이민 및 친환경 정책 방향 전환, 인공지능AI 및 우주 등 신기술 패권 경쟁이 2025년 주요 글로벌 지정학적 트렌드로 부상해 기업 전략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EY한영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포퓰리즘 확산으로 선택적 세계화, 정책 방향 전환, 신기술 패권 경쟁이 2025년 주요 글로벌 지정학적 트렌드로 부상했다.
28일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EY한영대표이사 박용근 산업연구원은 EY 전략지정학적 비즈니스 그룹EY Geostrategic Business Group의 2025 EY 전략지정학적 전망2025 EY Geostrategic Outlook 리포트를 바탕으로 올해 대두될 6대 글로벌 지정학적 트렌드와 불확실성이 가중된 시장에서 국내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는 지정학적 시나리오 분석 및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EY한영 산업연구원이 꼽은 2025년 글로벌 산업을 뒤흔들 6대 지정학적 트렌드는 ▲보호무역주의 확산 ▲신흥국 경제 블록화 ▲반이민 정책 확대 및 노동시장 변화 ▲친환경 전환 속도 둔화 ▲AI 생태계 장악 경쟁 ▲우주 경제 패권 시대다.
지난해 선거 슈퍼사이클Elections Supercycle 이후 각국에서 보수 포퓰리즘 정당이 약진하면서 올해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신흥국 경제 블록화로 대변되는 선택적 세계화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 경제권은 관세와 무역 규제를 통해 자국 산업 보호에 나서는 한편, 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GCC걸프협력회의 등 신흥 경제권은 상호 협력을 강화해 기존 선진국 중심의 경제 질서를 재편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글로벌 공급망이 경제 협력 관계를 중심으로 재편되고 복잡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기업들은 지정학적 관계와 인센티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적의 공급망을 구축하고 물류·생산 전략을 재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포퓰리즘 확산에 따른 이민 및 환경 규제 등 정책 방향이 전환될 것으로 내다봤다. 진보적 가치에서 전통적 가치로 돌아서는 흐름에 따라 미국, 캐나다, 독일 등 기존 친親이민 국가들이 반이민 정책으로 선회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저비용 노동력 감소와 인건비 상승이 불가피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따라서 기업들은 인력 운용 전략을 재정비하고 자동화 시스템 도입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 친환경 기술 도입이나 탄소중립 투자 또한 AI 산업 육성 등 경제적 이익 우선 정책에 밀려 전환 속도가 다소 지연될 가능성이 있으며, 원자력·화력 발전 등 기존 에너지원 활용 재검토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바라봤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에너지 전략을 유연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AI 생태계 장악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반도체, 데이터, 사이버보안 등 핵심 기술 분야에서 국가 간 패권 다툼이 가속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각국이 AI 기술 내재화와 동맹국 협력을 강화하는 흐름에 발맞춰, 기업들은 AI 리스크 관리와 데이터·지적 재산 보호를 위한 인프라와 거버넌스 체계 구축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우주 탐사와 위성, 발사체 등을 비롯해 다양한 산업과 연계되는 우주 경제 패권 시대가 본격 도래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가 안보 및 상업화를 위한 민관 협력이 활발해지면서 항공·방산·에너지·통신 등 연계 산업에도 큰 파급 효과가 있을 것이고, 우주 자원 확보와 기술 패권 경쟁에 따른 지정학적 분쟁 가능성도 커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우주 산업과 시너지 낼 수 있는 신규 사업 기회를 발굴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EY한영 산업연구원이 6대 지정학적 트렌드가 각 산업별로 미칠 영향을 분석한 결과, 첨단 제조 및 소비재 산업은 공급망 다변화 전략 마련이 필수이며, AI·데이터 규제 강화 흐름 속에서 보안 및 규제 준수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해질 것으로 예측했다.
에너지 산업은 데이터센터 수요 급증으로 대규모 전력 공급이 가능한 발전소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친환경 정책 변화에도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사모펀드PE 산업은 AI·우주 산업 등 하이테크 분야에서 투자 기회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보호무역주의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로 자금 조달 및 투자 심리가 위축될 여지가 있다고 분석했다.
권영대 EY한영 산업연구원장은 "글로벌 사업을 영위하는 국내 기업들은 신흥 경제권 투자 확대와 중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을 검토하는 동시에, 노동력 부족 및 인건비 상승, 친환경 규제 변화에 대응할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AI 및 우주 경제 패권 경쟁이 본격화되는 만큼 산업별 맞춤형 AI 도입 전략을 고도화하고, 우주 산업과 연계한 신사업 기회를 모색해야 한다.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정책 지원과 민관 협력 생태계 조성도 중요하다"고 전했다.
조세일보 / 이현재 기자 rozzhj@joseilbo.com
관련링크
- 이전글코스피, 관세전쟁 우려에 2600선 붕괴…장 초반 1%대 하락 25.02.28
- 다음글서울우유, 2년 연속 연매출 2조원 돌파…"우유시장 점유율 45%" 25.02.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