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가 쏘아 올린 스타링크 한국 상륙 임박
페이지 정보

본문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lt;앵커gt;
일론 머스크의 인공위성 기반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가 조만간 국내에서 서비스를 시작할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인터넷이 잘 터지지 않던 곳에서도 쓸 수 있게 된다고 하는데요.
우리 일상과 산업에 어떤 영향 미칠지 홍영재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lt;기자gt;
[3, 2, 1, 0. 점화.]
흰 연기를 내뿜으며 하늘을 향해 솟아오르는 로켓, 일론 머스크가 세운 미국 우주항공기업 스페이스X가 스타링크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는 장면입니다.
지난 2019년 첫 발사 이후 지금까지 총 7천 기의 위성을 쏘아 올려, 지구를 뒤덮고 있습니다.
현재 102개국에서 이 위성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르면 이달 중 우리 정부의 승인 절차를 거쳐 상반기 내 국내 서비스도 시작될 전망입니다.
지상에서 500km 상공에 떠있는 저궤도 스타링크 위성은 3만 6천km 고도에 떠있는 정지궤도 위성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10배 이상 빠릅니다.
한 번 출항하면 수개월간 통신이 닿지 않는 망망대해에 머물러야 하는 원양어선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류준혁/해운사 KLCSM 감독관 : 대부분의 환경에서는 이제 영상 통화도 원활하게 되지는 않습니다. 사실 현재 선박에서 사용하고 있는 통신 체계로서는 개개인 분들이 이제 유튜브는 시청을 할 수 없고요.]
전용 단말기가 필요하고 아직은 월 이용요금도 비싸 이동통신망이 촘촘한 국내 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도 있지만, 스타링크와 함께 서비스를 준비 중인 국내 통신사들의 시각은 다릅니다.
[강희숙/KT SAT 본부장 : 산악 지역이나 이런 부분은 아직 조금 한정적인 부분들이 있거든요. 그래서 그런 부분에서는 스타링크를 통해서 어느 정도 수요 충족이 될 것으로….]
특히 자율주행과 도심항공교통 등에 적용할 차세대 통신 기술인 6G 기반을 구축하는 데, 저궤도 위성이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강충구/고려대 교수 위성통신포럼 위원장 : 위성과 지상이 구분 없이 하나의 이제 3차원 공간에 입체적인 하나의 통합된 망으로서 볼 거기 때문에.]
스타링크 위성망을 이용하면, 비행 중인 항공기 안에서도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어 항공 서비스에도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양지훈, 영상편집 : 전민규, 디자인 : 서승현
홍영재 기자 yj@sbs.co.kr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일론 머스크의 인공위성 기반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가 조만간 국내에서 서비스를 시작할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인터넷이 잘 터지지 않던 곳에서도 쓸 수 있게 된다고 하는데요.
우리 일상과 산업에 어떤 영향 미칠지 홍영재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lt;기자gt;
[3, 2, 1, 0. 점화.]
흰 연기를 내뿜으며 하늘을 향해 솟아오르는 로켓, 일론 머스크가 세운 미국 우주항공기업 스페이스X가 스타링크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는 장면입니다.
지난 2019년 첫 발사 이후 지금까지 총 7천 기의 위성을 쏘아 올려, 지구를 뒤덮고 있습니다.
현재 102개국에서 이 위성을 이용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르면 이달 중 우리 정부의 승인 절차를 거쳐 상반기 내 국내 서비스도 시작될 전망입니다.
지상에서 500km 상공에 떠있는 저궤도 스타링크 위성은 3만 6천km 고도에 떠있는 정지궤도 위성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10배 이상 빠릅니다.
한 번 출항하면 수개월간 통신이 닿지 않는 망망대해에 머물러야 하는 원양어선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류준혁/해운사 KLCSM 감독관 : 대부분의 환경에서는 이제 영상 통화도 원활하게 되지는 않습니다. 사실 현재 선박에서 사용하고 있는 통신 체계로서는 개개인 분들이 이제 유튜브는 시청을 할 수 없고요.]
전용 단말기가 필요하고 아직은 월 이용요금도 비싸 이동통신망이 촘촘한 국내 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도 있지만, 스타링크와 함께 서비스를 준비 중인 국내 통신사들의 시각은 다릅니다.
[강희숙/KT SAT 본부장 : 산악 지역이나 이런 부분은 아직 조금 한정적인 부분들이 있거든요. 그래서 그런 부분에서는 스타링크를 통해서 어느 정도 수요 충족이 될 것으로….]
특히 자율주행과 도심항공교통 등에 적용할 차세대 통신 기술인 6G 기반을 구축하는 데, 저궤도 위성이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강충구/고려대 교수 위성통신포럼 위원장 : 위성과 지상이 구분 없이 하나의 이제 3차원 공간에 입체적인 하나의 통합된 망으로서 볼 거기 때문에.]
스타링크 위성망을 이용하면, 비행 중인 항공기 안에서도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어 항공 서비스에도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양지훈, 영상편집 : 전민규, 디자인 : 서승현
홍영재 기자 yj@sbs.co.kr
인/기/기/사
◆ 강원 50cm 눈폭탄에 마을 고립도…최대 40cm 더 온다
◆ 박근혜 "윤 수감 마음 무거워"...야 "중도 민심은 파면"
◆ "밥 주는데 오히려 저렴"…고물가에 하숙집 다시 뜬다
◆ [단독] "발암물질 주변에 확산"…슬레이트 고드름 땄더니
◆ 대통령 되면 재판 중지? 헌법 84조 논쟁…외국 사례는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기업회생 선택한 홈플러스…"대출 막히기 전에" 25.03.04
- 다음글애프터마켓 열린 넥스트레이드 25.03.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