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소가 불 붙인 건기식 유통 경쟁, 소비자는 "가성비 만족"
페이지 정보

본문
━
판 커지는 건기식 시장
균일가 생활용품 판매점 다이소에 이어 편의점까지. 유통업계가 잇따라 건강기능식품건기식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건기식 인기가 남녀노소로 확산하면서, 유통 채널에서 건기식이 새로운 먹거리로 떠오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BGF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CU는 업계 최초로 건기식 판매를 검토하고 있다. 기존에는 ‘기타가공품’으로 분류된 비타민과 홍삼 등을 팔아왔는데, 정식 허가를 받은 건기식까지 내놓겠다는 것이다.

신재민 기자
앞서 다이소는 지난달 24일부터 전국 200여개 매장에서 대웅제약과 일양약품의 3000원, 5000원짜리 비타민·루테인·밀크씨슬 등의 건기식을 팔기 시작했다. 기존 건기식이 대체로 ‘고함량 다기능’이었다면, 단일 기능과 소포장을 콘셉트로 가격을 확 낮췄다.

신재민 기자
유통업계서 건기식에 주목하는 건 시장 성장세 때문이다. 코로나19 이후 소비자들이 스스로 자신의 건강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는 ‘셀프 메디케이션’ 트렌드가 확산하면서 2020년 5조1750억원이던 건기식 시장 규모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는 지난해 6조440억원으로 증가했다. 2030년에는 25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협회 조사 결과 구매 가구는 연평균 400가구씩 늘고 있다. 특히 2022년까지는 51세 이상 고령층이 주 소비층이었으나 최근 2040세대와 아동 비중이 늘었다. 건기식이 중장년층 전유물이 아닌 남녀노소가 찾는 제품으로 자리매김했다는 것이 협회 설명이다.
약국 중심으로 유통되던 건기식이 이커머스로 접근성이 확산한 것도 시장이 커진 이유 중 하나다. 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구매액의 70%가량은 오픈마켓이나 소셜커머스 등 온라인몰에서 나왔다.

신재민 기자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소비자가 편리하고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다는 선택권 확장 측면에서 건기식 유통채널 확대는 긍정적”이라고 했다. 업계는 약사 반발과 관련, 약국점유율 4.2%은 이미 건기식 주요 채널이 아닌 데다 복약 지도가 필요한 고가의 고함량 건기식 제품은 여전히 약국서 소비될 거라 수요층이 다르다는 입장이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풍선처럼 빵 터져 급사"…뱃살 속 시한폭탄 정체
▶ 여친 강요에 모의 출산 체험한 男 끔찍한 결말
▶ 22년전 기습 입맞춤 당한 女배우의 보복 키스 발칵
▶ 女 10명 성폭행…김해 뒤집은 공포의 목사 결국
▶ 안성재 미슐랭 3스타 돌아온다…저녁 코스 가격은?
▶ 日 투명 화장실처럼?…한강 화장실도 확 바꾼다
▶ 개·고양이, 교량참사 느꼈나…CCTV 보니 깜짝
▶ 美SNL 잔인한 풍자 "젤렌스키, 푸틴에 아내 바쳐라"
▶ 이 구역 미친년 됐다…딸들의 24시간 전쟁, 왜
▶ 한가인·백지영도 보냈다…요즘 뜨는 그 학교 비밀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황수연 ppangshu@joongang.co.kr
관련링크
- 이전글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오늘 출범…하루 12시간 주식 거래한다 25.03.04
- 다음글[머니 컨설팅]ISA, 다양한 상품 투자 가능 만능 통장 25.03.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