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00가구 중 8가구꼴로 빈집…경기도·경상도 순으로 많아
페이지 정보

본문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인구 고령화로 인해 지방 등을 위주로 빈집이 늘면서 전국적으로는 100가구 가운데 8가구가 빈집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이 통계청 주택총조사를 토대로 발표한 연도별·지역별 미거주 주택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의 빈집 수는 2023년 말 기준 153만4천가구다.
이는 전년 대비 약 5.7%, 2015년 대비로는 43.6%나 늘어난 수치다.

전국 빈집 수는 2015년 106만8천가구였으나 2016년 112만가구, 2017년 126만4천가구, 2018년 141만9천가구 등으로 늘어났으며 2019년에는 151만7천가구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택가격이 상승세를 보인 2020~2021년에는 수가 감소하며 2021년 139만5천가구까지 줄었으나 2022년부터 다시 늘어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전체 주택 가운데 빈집 수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15년 6.5%에서 출발해 전반적으로 증가세다.
2019년에는 8.4%까지 치솟았다가 2021년 7.4%로 떨어졌지만 2022년 7.6%, 2023년 7.9%로 다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전체 빈집 가운데 18.6%를 차지했으며 경남8.7%, 경북8.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경기도 내에서는 평택의 빈집 비중이 11.2%로 가장 컸고, 화성8.1%, 부천6.3%, 수원6.1%, 남양주5.0% 순으로 뒤이었다.
인구 대비 빈집 수 비중을 보면 전국 기준으로 인구 1천명당 빈집 수는 29.9가구로, 2015년1천명당 20.7가구보다 늘었다.
전남은 1천명당 67.2가구, 강원도는 54.0가구, 충남은 53.1가구로 각각 조사돼 인구수가 적은 비수도권의 인구 대비 빈집 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주택 수 대비 빈집 수 비중이 높았던 경기도의 경우 인구수가 많은 영향으로 인구 대비 빈집 수는 21.0가구로 적은 편이었다. 서울이 1천명당 11.5가구로 가장 적었다.
경기도에 이어 전체 주택 수 대비 빈집 수 비중이 높았던 경남과 경북은 인구 1천명당 빈집 수가 각각 40.8가구, 50.5가구로 나타나 인구 대비해서도 빈집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정연은 지자체 차원에서 빈집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기적으로 방치되는 빈집은 주변 주택까지 영향을 끼치며 빈집화할 가능성이 크고, 이는 안정상의 문제와 도시 슬럼화 문제, 이로 인한 범죄 우발지역으로 번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다.
고하희 건정연 부연구위원은 "지자체가 지역 내 빈집을 지자체 공유재산으로 편입한 뒤 정비·리모델링을 거쳐 저소득층과 청년층 임대주택으로 활용하거나 용도를 상업용으로 전환해 저렴한 대부료로 지역 사회에 기여하는 방은 등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lucid@yna.co.kr
끝-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 ☞ [샷!] 한국 영주권 얻기 위한 연봉 기준은?
- ☞ 강릉 저수지 인근 차량서 남녀 3명 숨진 채 발견
- ☞ 부산교통공사 여성 샤워실에 몰카…범인은 40대 직원
- ☞ 장제원, 2015년 성폭행 혐의 피소 경찰 수사…장 "사실 아냐"
- ☞ 지병 앓아온 70대 숨진채 발견…80대 남편은 저수지서 구조
- ☞ "북한 EMP탄 투하하면…한국상공 비행기들 거의모두 추락할수도"
- ☞ 혼자 집에 있다가 화재로 숨진 초등생…온정의 손길 잇따라
- ☞ 경찰, 사무관리비 유용 전남도청 공무원 130여명 검찰 송치
- ☞ PC방 간 사이 숨진 23개월 아기…아동방임 혐의로 부모 입건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lt;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gt;
관련링크
- 이전글미국 증시, 관세 전쟁이 촉발한 롤러코스터…나스닥종합↓·테슬라↓·엔비... 25.03.05
- 다음글작년 1인당 국민소득 3만6624달러…11년째 3만달러대 25.03.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