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패스 이용자 300만명 돌파···월 평균 1만8000원 환급
페이지 정보

본문

대중교통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교통비를 일부 환급해주는 K-패스 시행 첫날인 지난해 5월1일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오가고 있다. 한수빈 기자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는 지난해 5월 출시된 K-패스가 10개월 만인 지난달 26일 이용자 300만명을 돌파했다고 3일 밝혔다.
대광위가 운영하는 K-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월 최대 60회1일 최대 2회까지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음달에 환급해주는 사업이다. 현재 전국 210곳의 기초 지방자치단체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대광위에 따르면 지난해 K-패스 이용자들은 월 평균 대중교통비 6만8000원 중 26.6%인 1만8000원을 환급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급률이 일반 이용자20%보다 높은 청년층30%과 저소득층53.3%은 각각 월 평균 2만원, 3만7000원을 돌려받았다. 지난 1월부터는 K-패스에 다자녀 가구 혜택이 추가돼 자녀가 2명이면 대중교통비의 30%, 3명 이상이면 50%를 돌려받을 수 있다.

K-패스 이용자 유형별 환급률.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제공
각 광역지방자치단체들은 지자체 예산을 투입해 차별화된 혜택을 추가하는 맞춤형 K-패스를 내놓고 있다. 현재 더 경기패스, 인천I-패스, 부산 동백패스, 세종 이응패스, 광주G패스, 경남패스 등 6곳의 광역 지자체에서 맞춤형 K-패스가 시행 중이며 울산광역시에서도 추진 중이다.
강희업 대광위원장은 “K-패스는 국민들의 대중교통비 부담을 경감하는 대표적 정책으로 자리 잡았다”며 “지자체 맞춤형 K-패스 사업을 발굴해 나갈 수 있도록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긴밀히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K-패스는 현재 총 12개 카드사에서 발급하는 36종의 카드로 이용할 수 있다. 대광위는 이달 중 K-패스 애플리케이션과 홈페이지를 개선해 이용자 편의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지혜 기자 kimg@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새해 대운 온다” 이 도사님, 참 용하시네요 ···MZ세대의 ‘AI’ 활용법
· 황운하, “지X 발광·망상 장애” 등 집회 발언에 사과
· 굴착기 실은 트럭, 5m 아래 갯벌 추락···40대 운전자 사망
· 갯벌에 굴 캐러 갔다가 실종된 60대 부부···끝내 시신으로
· 배달앱 일매출 9만원인데 최상위 구간?···“상생안 아니라 살생안”
· [속보]경북 구미국가산단 공장 화재로 한때 ‘대응 1단계’ 발령···인명피해 없이 진화
· “곧 상장 기대” 못믿을 비상장투자···투자자 4만명 울린 5000억대 비상장주식 사기 임원 ‘무더기 실형’
· 여당에 중립성 비판받는 전 선관위 사무총장, ‘여당 경선 후보’였다
· “헌재 9인 구성은 국회·대통령 의무”…‘제도 정비’ 숙제 남긴 헌재 첫 판단
· ‘소액주주 보호’ 상법 개정 찬성했던 정부의 딜레마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거위털이라더니 오리털?…품질 논란 휩싸인 이 기업 25.03.03
- 다음글3억 간다던 비트코인 급락…바닥은 아직? 25.03.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