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 쇼크 빙산의 일각…이커머스도 심각하다
페이지 정보

본문
━
출구 없는 유통업 위기
국내 2위 대형마트인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가면서 유통가에 긴장감이 확산하고 있다. 안 그래도 유통가 인수합병Mamp;A 시장이 얼어붙은 상황에서 터진 악재라서다. 유통업체 매각 정체가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쿠팡, 네이버 양강 체제가 가속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금액 회수 지연 우려에 홈플러스 상품권 사용을 중단하는 업체가 늘고 있다. CJ푸드빌과 신라면세점, CGV 등이 이날부터 사용을 중단했다. 일각에선 홈플러스 대주주인 MBK파트너스 측이 막대한 차입금으로 회사를 인수한 후 기습적으로 회생을 신청했다며 먹튀 책임론을 제기하고 있다. 홈플러스는 이와 관련해 이날 2015년 인수 이후 MBK가 단 한 차례도 배당을 받지 않았고 인위적 구조조정도 없었다는 입장을 냈다.
하지만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가면서 온·오프라인 유통 플랫폼의 매각 시장에는 먹구름이 잔뜩 끼고 있다. 쿠팡과 네이버 등의 e커머스전자상거래 양강 체제가 굳어지고 C커머스중국 이커머스 업체까지 최근 공격적으로 세를 불리는 상황에 악재가 겹친 탓이다. 오프라인은 물론 온라인 토종 유통업체들이 매물로 쌓이는 현실이 반복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로 SK스퀘어의 자회사인 11번가는 2023년 11월부터, 티메프티몬·위메프는 지난해부터 새 주인 찾기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큰 진척이 없다. 11번가는 수익성 개선에 집중해 주력 사업인 오픈마켓의 지난해 연간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이 흑자를 내고 매각 희망가를 애초 1조원에서 5000억원 수준으로 낮췄지만 시장 반응이 영 시큰둥하다. 티메프 법정관리인 측은 당초 티몬과 위메프를 일괄 매각하려 했다가, 사정이 여의치 않자 개별 매각으로 방향을 바꿨다. 그 결과 최근에야 신선식품 새벽 배송 기업 오아시스와 티몬 인수 논의가 진전되고 있다.
당초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 보유 자산 중 알짜로 평가되는 기업형 수퍼마켓SSM인 홈플러스 익스프레스를 분리 매각해 투자금을 회수하려 했다. MBK 측이 SSM을 쪼개 매물로 내놓은 건 그나마 오프라인 유통쪽에서 선방하고 있는 분야라서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SSM 매출 성장률은 4.6%로 전년3.7%에 이어 연속 성장세다. 대형마트2023년 -0.5%, 2024년 -0.8%의 고전과 대비된다. 308개 매장을 거느린 홈플러스 익스프레스의 SSM 시장 점유율매장 수 기준은 20%가 넘는다. 그러나 지난해 6월부터 반년이 넘도록 인수 희망자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업계의 반응이 냉담한 이유는 ‘애매한 매장 크기’다. 대개 SSM 매장은 660~990㎡약 200~300평 크기다. 반면 홈플러스 익스프레스는 차별화 전략으로 역세권 중심의 198~330㎡약 60~100평 크기 매장을 출점했다. SSM업계에선 ‘너무 작다’는 반응인 반면 평균 매장 크기가 66㎡약 20평인 편의점업계에선 ‘너무 크다’고 본다. 직영점이 많다는 점도 마이너스 요인으로 꼽는다. 홈플러스 익스프레스는 본사에서 직접 운영하는 직영점 비중이 70%가 넘는다. GS프레시의 경우 직영점 비중은 20% 수준이다. 홈플러스가 회생절차에 들어가면서 안 그래도 주인을 찾기 어려웠던 매각 작업은 사실상 중단됐다.
유통 업계 관계자는 “기존 오프라인 업체뿐 아니라 토종 이커머스들도 버티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매물로 나와도 마땅한 인수 희망자를 찾기는 어려워질 것”이라고 했다.
황수연·최현주 기자 ppangshu@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이경규 "미치겠더라" 44년 개그대부의 질투
▶ 여장교 속옷서 DNA 나왔다…대령 발뺌에 공군 발칵
▶ 의대 안간다? 전지현도 보낸 귀족학교 실체
▶ 아내 손발 묶고 30㎝ 성인용 도구로…잔혹남편 충격
▶ 흰색 가운 입고…천녀유혼 왕조현 캐나다 근황 포착
▶ 女 10명 성폭행…김해 뒤집은 공포의 목사 최후
▶ 170명 안 탔는데 그냥 간 비행기…황당 출발 전말
▶ 지인 2명과 여성 성폭행…아이돌 퇴출된 男 결국
▶ "풍선처럼 빵 터져 급사"…뱃살 속 시한폭탄 정체
▶ 노엘父 장제원 성폭행 혐의…"2015년 일? 사실무근"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황수연.최현주 ppangshu@joongang.co.kr
관련링크
- 이전글파장 커지는 홈플러스 사태…수천억 손실 위기라는 채권투자자 25.03.05
- 다음글개회사 하는 윤진식 회장 25.03.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