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징어 1만원 육박·방어 북상…해수부, 기후변화 대책마련 착수
페이지 정보

본문
생태계 변동 감시체계 구축·대중성 어종 6종 수급예측모형 개발 연구
서울=연합뉴스 전재훈 기자 = 최근 들어 어획량이 줄어들면서 밥상에 오르는 수산물 가격이 뛰고 있다. 고수온 등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어군 형성이 부진하거나 어군이 이동하는 등 어장지도가 바뀌면서 전반적인 어업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어서다.
해양수산부는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 환경과 생태계 변동을 감시하고, 대중성 어종 6종 등 수산물 수급 예측 모형을 개발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최근 오징어와 고등어, 명태, 마른 멸치 등 대중성 어종 가격이 평년과 전년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달 28일 기준 연근해산 냉장 물오징어 가격은 한 마리 9천417원으로 1년 전, 평년과 비교해 각각 21.2%, 27.2% 올랐다.
국산 냉장 고등어 가격은 한 마리 4천653원으로 1년 전보다 20.7% 올랐고, 마른 멸치는 100g당 2천534원으로 17.2% 비싸졌다.

서울=연합뉴스 진연수 기자 =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 2025.2.9 jin90@yna.co.kr
수산물 가격이 오른 것은 최근 어획량이 감소한 탓이다.
통계청이 지난달 21일 발표한 2024년 어업생산동향조사를 보면, 작년 전체 어업 생산량은 361만t톤으로 전년보다 2.2% 줄었다.
특히 밥상에 자주 오르는 수산물의 연근해 어획량은 전년보다 11.6% 줄어든 84만1천t으로 집계됐다.
이는 1971년76만4천t 이후 가장 적은 양이다. 우리나라 연근해 어업 생산량은 1980년대 평균 151만t 수준에서 2000년대 116만t으로 급감한 뒤 꾸준히 줄고 있다.
오징어의 작년 생산량은 1만3천500t으로 전년보다 42%나 줄었다. 고등어와 갈치는 각각 17.4%, 26.6% 줄었다.
어획량 감소는 고수온 등 기후변화의 영향이 크다.
국립수산과학원은 과학조사선 관측 결과 작년 우리 바다 연평균 표층 수온이 18.74도로, 최근 57년간 관측된 수온 중 가장 높았다고 분석했다.
수협중앙회 관계자는 "수온이 오르면서 기존에 형성된 어장이 다른 바다로 이동하면서 오징어와 고등어, 멸치 등 특정 어종의 어획량이 줄거나 정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제주 연안의 수온 상승으로 방어 어장이 북상하거나, 서해에서 잡히던 꽃게가 수온이 오른 동해에서 잡히는 등 어장 지도가 바뀌면서 어업에 차질이 생긴 것이다.
통계청은 "고수온 영향으로 어군 형성이 부진했고, 자원량이 줄어 고등어류와 멸치, 갈치, 오징어 생산량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고수온으로 어장 지도를 다시 그리는 동시에 양식장에 있는 물고기의 집단 폐사도 나타나고 있다.
해수부에 따르면 작년 고수온으로 인한 양식업 피해액은 1천430억원으로, 집계를 시작한 2012년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피해 규모가 컸던 만큼 양식어종의 가격은 뛰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지난 1월 인기 횟감 어종인 광어와 우럭 도매가격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각각 18.7%, 55.0% 뛰었다고 분석했다.

울진=연합뉴스 황수빈 기자 = 지난 23일 경북 울진항에서 문어 대신 잡힌 꽃게. 2024.12.24 hsb@yna.co.kr
해수부는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 환경과 생태계 변동을 감시하는 체계 구축을 위해 최근 2025년 해양 기후변화 감시·예측 정보 통합 생산 연구용역을 냈다.
해수부 관계자는 "바다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감시하고 예측 정보를 어민에게 제공하기 위한 사업"이라며 "수온과 해수면, 염분, 해류 등 기후 요소를 감시해 해양기후 장기 예측 시나리오를 생산하는 게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해수부는 대중성 어종의 수급 불안에 미리 대응하고 물가를 관리하기 위한 수급 예측모형 개발 연구도 추진한다.
해수부는 우선 고등어와 오징어, 갈치, 명태, 참조기, 마른 멸치 등 대중성 어종 6종을 대상으로 생산량과 산지 가격, 재고량, 수출·수입량을 고려해 수급과 가격을 종합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고수온으로 인한 양식업 폐사 문제와 관련 고수온에서 양식이 가능한 대체 품종을 보급하거나 양식장 이전 지원을 추진 중이다.
광역 면허 이전 제도를 도입해 기존 허가 지역을 떠나 양식하기 좋은 장소로 양식장을 이전할 수 있도록 하거나, 기존에 허가받은 어업 해역에서 어업하기 어려운 어업인을 대상으로 허가 지역이나 업종 변경을 지원할 방침이다.
kez@yna.co.kr
끝-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 ☞ 해남 갯벌에 굴 따러 간 60대 부부 실종…남편 숨진채 발견
- ☞ 프라모델의 전설…김순환 아카데미과학 회장 별세
- ☞ 자녀 13명 머스크, 2주 만에 14번째 아이 소식
- ☞ 천연기념물 10년 제주흑돼지 "식당에서 먹어도 괜찮나요?"
- ☞ [샷!] "청바지 3천원"에도…지갑 안 열리네
- ☞ 尹 재판날 관광객 제로였던 헌재 앞 인도…업종별 희비교차
- ☞ "아저씨랑 아줌마가 싸워요"…112신고에 마약 투약 들통
- ☞ "술값 비싸다" 맥주병 깨며 소란 피운 60대 벌금 1천만원
- ☞ 상선 지시로 필로폰 배달·영양제 불법주사 간호사 실형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lt;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gt;
관련링크
- 이전글트럼프 전략자산 밝힌 리플·솔라나·카르다노 급등…비트코인 9만4000달... 25.03.03
- 다음글커피 공화국 시대 저무나…신규창업 역대 최대폭 감소 25.03.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