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홈플러스 익스포저 1.3조 넘어…메리츠금융 1.2조 최다
페이지 정보

본문
[한국경제TV 박찬휘 기자]
법원이 대형마트 홈플러스 회생 절차를 시작한 가운데, 금융권의 홈플러스 관련 익스포저대출·지급보증 등 위험노출액가 1조3천억 원를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
4일 홈플러스 측이 법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전체 금융권의 홈플러스 총 익스포저는 약 1조3,461억5천만 원 수준이다.
메리츠금융그룹메리츠증권·화재·캐피탈의 익스포저가 1조2,160억 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은행권의 익스포저도 1,105억5천만 원에 달했다.
구체적으로 메리츠증권 익스포저가 6,550억 원이며, 메리츠화재와 메리츠캐피탈은 각각 2,810억 원, 2,800억 원이다.
5대 은행 중에서는 KB국민은행이 546억7천만 원으로 가장 많고, 신한은행 288억8천만 원, 우리은행 270억 원이다.
하나은행과 NH농협은행은 홈플러스를 대상으로 집행한 대출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한화증권도 홈플러스에 약 1천억 원을 빌려줬으나, 지난해 상환이 끝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업계에선 이들이 별다른 문제 없이 자금을 회수할 것으로 보고 있다.
메리츠금융 3사는 지난해 5월 홈플러스에 선순위 대출을 집행했다.
홈플러스는 부동산 신탁회사와 맺은 신탁계약의 수익증권을 메리츠금융 3사에 담보로 제공했고, 해당 신탁계약은 홈플러스의 부동산 및 유형자산을 신탁재산으로 관리 중이다.
신탁사의 담보가치는 약 4조7천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메리츠증권 관계자는 "신탁사의 담보가치가 충분한 만큼 대출 자금 회수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며 "특히 메리츠금융 3사는 해당 담보에 대해 1순위 수익권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수익권 행사는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와 무관하며 EOD기한이익상실 발생 시 즉시 담보 처분권이 생긴다"고도 강조했다.
박찬휘 기자 pch8477@wowtv.co.kr

법원이 대형마트 홈플러스 회생 절차를 시작한 가운데, 금융권의 홈플러스 관련 익스포저대출·지급보증 등 위험노출액가 1조3천억 원를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
4일 홈플러스 측이 법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전체 금융권의 홈플러스 총 익스포저는 약 1조3,461억5천만 원 수준이다.
메리츠금융그룹메리츠증권·화재·캐피탈의 익스포저가 1조2,160억 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은행권의 익스포저도 1,105억5천만 원에 달했다.
구체적으로 메리츠증권 익스포저가 6,550억 원이며, 메리츠화재와 메리츠캐피탈은 각각 2,810억 원, 2,800억 원이다.
5대 은행 중에서는 KB국민은행이 546억7천만 원으로 가장 많고, 신한은행 288억8천만 원, 우리은행 270억 원이다.
하나은행과 NH농협은행은 홈플러스를 대상으로 집행한 대출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한화증권도 홈플러스에 약 1천억 원을 빌려줬으나, 지난해 상환이 끝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업계에선 이들이 별다른 문제 없이 자금을 회수할 것으로 보고 있다.
메리츠금융 3사는 지난해 5월 홈플러스에 선순위 대출을 집행했다.
홈플러스는 부동산 신탁회사와 맺은 신탁계약의 수익증권을 메리츠금융 3사에 담보로 제공했고, 해당 신탁계약은 홈플러스의 부동산 및 유형자산을 신탁재산으로 관리 중이다.
신탁사의 담보가치는 약 4조7천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메리츠증권 관계자는 "신탁사의 담보가치가 충분한 만큼 대출 자금 회수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며 "특히 메리츠금융 3사는 해당 담보에 대해 1순위 수익권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수익권 행사는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와 무관하며 EOD기한이익상실 발생 시 즉시 담보 처분권이 생긴다"고도 강조했다.
박찬휘 기자 pch8477@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본격화한 트럼프발 관세대전…커지는 불확실성 속 고심하는 한국 기업들 25.03.04
- 다음글조원태 "아시아나와 통합 장기적으로, 꾸준히" 25.03.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